근육의 구조
- 대흉근, 소흉근은 가슴근육의 해부학 용어 입니다. 대흉근은 손으로 직접 만져지는 가슴근육의 맨 바깥쪽부분입니다. 그러나 소흉근은 대흉근 안쪽에 있기 때문에 만져지거나 보이지는 않습니다.
- 상완이두근은 흔히 이두박근이라고 말하는 근육입니다. 손바닥을 위로보게 한뒤 팔을 구부리면 알통이 볼록하게 나옵니다. 그것이 바로 상완이두근입니다. 하지만 상완근은 상완이두근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서 만져지거나 보이진 않습니다. 손 바닥을 아래로 보게한뒤 팔을 구부릴때 수축하는 근육이 상완근입니다.
- 복부주변의 근육에는 복직근, 내-외복사근, 복횡근이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복근은 바로 복직근이며 중앙 복직근 옆에는 외복사근이 있습니다. 외복사근 안쪽에는 내복사근이 있으며 보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가장 복부안쪽에는 복횡근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 전완굴근은 일반적으로 손목을 구부릴 때 관련되는 근육의 총칭입니다. 세부적인 근육의 명칭이 너무 많아서 이정도만 알아두어도 될것입니다.
- 대퇴사두근무리에는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중간광근의 서로다른 4개의 근육들이 있습니다. 대퇴직근은 무릎에서 골반까지 연결된 유일한 근육이며 그외의 3개 근육들은 무릎에서 대퇴골까지만 연결되어 있습니다. 허벅지전면의 약간 안쪽부분이 내측광근이며 약간 바깥쪽이 외측광근입니다. 그리고 중간광근은 허벅지 중앙부분에 있으며 대퇴직근에 가려서 보이지 않습니다.
- 내전근 무리는 다리를 안쪽으로 모을 때 사용되는 근육들입니다. 허벅지에서 가장 안쪽부분이며 다리를 모을 때 서로 붙는 부분입니다.
- 전경골근은 종아리 맨 앞쪽입니다. 발끝을 들 때 사용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8/45_cafe_2007_10_06_21_30_47077fd7ebe29)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8/9_cafe_2007_10_06_21_30_47077fdbb76c3)
한 개의 근육은 수많은 근섬유(muscle fiber)로 구성되어 있고 각 근 섬유는 많은 핵(nuclear)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근육의 구조적인 단위입니다.
- 근 섬유속(Faseiculi) : 개별적인 근 섬유들의 섬유다발
- 근 섬유막(Endomysium) : 결합조직으로 각각의 근 섬유로 둘러싸서 근 섬유속을 형성한다.
- 근 주막(Perimysium) : 인접한 여러 개의 근 섬유속들을 함께 묶은 흰색의 섬유성 결합 조직입니다.
- 근 외막(Epimysium) : 전체근육을 둘러싸는 외부의 결합조직인데 모든 근 섬유속을 함께 묶어서 한 개의 근육을 형성
- 미토콘드리아(Mitochonelria) : 근장속에 있는 작은 막대기 모양을 하고 있으며 세포의 발전소라 하며 근 수축을 위한 에너지 대사가 이곳에서 이루어집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9/35_cafe_2007_10_06_21_30_47077fe90e175)
근육의 특성 근육에는 그 성질에 따라 속근(Fast-tuitch : FT, Type-I fiber)또는 백근(White muscle)이라 하고 지근(slow twitch :ST, Type-I fiber)또는 적근(Red muscle)이라고도 합니다.
속근(FT)은 근 수축 속도가 빠르며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운동종목에 필요한 근육이며 피로에 따라 저항력이 낮아 쉽게 피로해 집니다. 그와 반대로 지근(ST)은 근수축 속도가 느려 저강도 지구성 운동종목(마라톤, 경보)에 필요하고 피로에 대한 저항력이 높습니다.
FT섬유는 크게 FTa와 FTb섬유로 세분하기도 합니다. 가벼운 힘이 필요 할 때는 ST섬유만이 사용되죠. 부하가 있는 운동일수록 FTa(약간의 지구력 운동)섬유 FTb(순발력 근육)섬유 순으로 동원됩니다. 아주 무거운 부하에서도 위의 3가지 섬유를 모두 동원되기도 한답니다.
지근과 속근의 특성
특성 |
속근(FT) |
지근(ST) |
수축시간 |
빠르다(0.25sec) |
느리다(0.75sec) |
근육에 대한 신경활동 |
고빈도→간헐적 |
저빈도→지속적 |
글리코겐 |
높다 |
낮다 |
ATP생성과정 |
무산소 시스템 |
유산소 시스템 |
모세혈관 밀도 |
낮다 |
높다 |
피로 |
빠르다 |
느리다 |
신경섬유의 직경 |
크다 |
작다 |
신경전달 속도 |
빠르다 |
느리다 |
마이오글로빈 함량 |
작다 |
많다 |
운동형태 |
단거리적 운동 |
장거리적 운동 |
수축력 |
크다 |
작다 |
경기다의 비율 |
단거리 순수가 높다 |
지구성 경기자가 높다 |
유산소적 효소활동 |
낮다 |
높다 |
미토콘드리아 밀도 |
낮다 |
높다 |
출처 : 다음카페"바람이 숨쉬는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