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의 진단법
한의학에서는 진단을 할 때 망문문절(望聞問切)의 사진법(四診法)을 통해 진찰을 하게 되는데 이 4가지 방법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음양오행(陰陽五行)학설과 장부경락(臟腑經絡)학설, 한의학의 병인(病因)학설 등의 기본 이론으로 해석하여 환자의 병을 진단하고 병의 경중이나 예후, 원인을 짐작하고 치료법을 도출해 내게 됩니다.
1) 망 진(望診)
망진은 눈으로 보고 진찰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옛말에 망진을 잘하면 신의(神醫)라고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에 따라 눈에 혹은 몸에 총기가 나타나는 사람이 있고, 흐리멍텅 힘이 없는 사람, 얼굴색, 몸의 형체, 움직임, 혀의 상태, 분비물과 배설물의 색, 질, 량 등을 눈으로 보고서 진단하는 방법으로써 특히 오장육부에 병이 생기면 얼굴빛, 눈빛, 눈물, 피부, 손톱, 혀, 입술 등에 병이 생겼다는 신호가 오는데 이것을 바라보고 진찰하는 방법을 말 하는 것이다.
몸의 특정부위나 얼굴색으로 병을 진찰하는 것으로 이것을 오장과 오색의 관계라고 한다.
1] 얼굴이 퍼런색으로 변하면 - 간, 담의 병
2] 얼굴이 붉은색으로 변화면 - 심, 소장의 병
3] 얼굴이 누런색을 변하면 - 비, 위의 병
4] 얼굴이 흰색으로 변하면 - 폐, 대장의 병
5] 얼굴이 검은색으로 변하면 - 신, 방광의 병
2. 문 진(聞診)
문진은 귀로 듣고 진찰하며 코로 냄새를 맡아 진찰하는 것으로 옛말에 문진을 잘하면 성의(聖醫)라 하였으며 문진은 환자의 몸에서 나는 소리 즉 목소리, 기침소리, 숨소리등과 몸에서 나는 냄새로 오장육부 머리에 병이 생겼는가를 진찰하는 것을 말하는데, 환자의 언어, 호흡, 기침, 구토, 트림 등의 소리의 변화를 듣고, 신체, 입, 분비물, 배설물 등의 냄새의 변화를 맡는 것이 다 문진에 속한다. 예컨데 몸에서 나는 냄새를 가지고 진찰하는 것은 오장과 오취의 관계라고 한다.
-환자의 몸에서 누린냄새가 나면 - 간, 담의 병
-환자의 몸에서 단 냄새가 나면 - 심, 소장의 병
-환자의 몸에서 향긋한 냄사가 나면 - 비, 위의 병
-환자의 몸에서 비린 냄새가 나면 - 폐, 대장의 병
-환자의 몸에서 썩은 냄새가 나면 - 신, 방광의 병
3. 문 진(問診)
문진은 환자에게 생기는 이상 현상을 물어서 진찰하는 것이다.
옛말에 문진을 잘하면 공의(功醫)라 하였다. 의사가 환자나 환자보호자에게 물어보아 질병의 발생, 발전, 치료경과, 현재증상과 기타질병과 유관한 내용들을 이해하여 질병의 가능유인, 발병 시의 상황, 병정의 상세한 경과, 현재의 자각증상, 과거의 건강상태, 기호물의 유무, 가족의 건강 상태 등을 물어보는 것 등이 다 포함된다.
예를 들어 오장육부 등에 병이 생기면 환자 스스로만 알 수 있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를 자각 증상 이라 하는데 이것을 환자에게 물어보는 것이다.
-현재의 병의 상태 및 발생시기, 예전의 질병상황, 생활 습관, 가족의 질병
-대소변에 이상이 없는가
-소화는 잘 되는가?
-잠은 잘 자는가?
-여자의 경우 월경에 이상이 없는가
-자한이나 도한 즉 평소에 땀이 나는가
-혹은 잠자리에서 땀이 나는가
-조열 즉, 갑자기 열이 밀려오는 증상이 있는가?
-입맛은 괜찮은가?
-입이 쓰거나 마르는가?
-손발이 저린가
-불안, 초조한가
-머리가 아프거나 어지러운가 등등
4. 절 진(切診)
절진은 손을 대어보고 진찰하는 것이다. 옛말에 절진을 잘하면 교의(巧醫)라 하였다. 절진은 환자 몸 이곳저곳을 진찰자의 손끝으로 대어 보거나 또는 눌러보아 진찰하는 것인데 맥진을 통한 맥의 상태와 안진(按診)을 통한 손발의 차고 따뜻함, 복부의 종괴를 촉지 하거나 압통점(눌러서 아픈 곳)의 유무 등을 살펴보는 것이 다 포함된다.
-맥진(脈診)
일반적으로 양손의 요골동맥의 부위에서 맥의 상태를 살펴보아 병의 상태와 생사 길흉을 가려내는 것이며 양손의 요골동맥부에 손가락 세 개를 대어 3곳에서 맥을 보는데, 살짝 대어서는 육부의 상태를 보고, 꽉 눌러서는 오장의 상태를 보며 각각의 맥은 28맥이 있으므로 그것들의 조합은 변화 무쌍하다고 할 수 있다.
-복진(腹診)
복부를 눌러 보아 압통점을 찾아내고 적/취/통이 있는지 촉지 해내는 방법이며, 한의학에서는 맥진만큼이나 중요시하는 절진 법 중 하나이다.
그 외에 신체의 모든 곳을 누르거나 두드려서 진단할 수 있는데, 압통점이 나타나는 경우 이것이 어느 경락의 이상인지 살펴보아서 어느 장부에 병이 생겼는가를 가려내는 진찰법도 있다.
'침구학 > 침구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속의 두가지 기운, 음과 양 (0) | 2011.09.09 |
---|---|
한약제 169가지의 기본적인 약효 (0) | 2011.09.09 |
◈ 오행의 상생 상극 (0) | 2011.09.09 |
경락은 쉼없이 흐르고…… 막히면 병이 된다! (0) | 2011.09.09 |
한방의 4대 치료법: 약, 침, 뜸, 부항 (0) | 2011.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