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안과질환/9. 야맹증/10. 만성 축성 시신경염

미션(cmc) 2011. 9. 11. 06:43

안과질환

 

9. 야맹증

개 요


어두워지면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질병이다. 선천적인 체질을 이어 받은 사람이 걸리는 경우와 영양 실조에서 오는 경우가 있다. 
 

증 상


몸이
아픈 곳없으나 에도 어두운 곳에 있는 물건보이지 않고 저녁때나 새벽녘의 어둑어둑한 때에도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각막의 시각을 관리하는 비타민 A단백질작용에 의한 것인데 그 중 비타민A결핍되어 시각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황달을 앓을 때에 야맹증이 일어나는 수도 있다.
 

치 료


정명, 간유, 양로, 찬죽, 사죽공,
태양,
풍지, 동자료, 광명
 

이 침

족 침

비타민 요법

비타민 A를 섭취

식이요법


당근, 시금치, 금침채, 칠성장어
 

 

 

10. 만성 축성 시신경염

개 요


흔히
근시혼동하고 있다. 이것은 비타민 B1 부족으로 인하 여 각기에 걸렸을 때 걸리기 쉬운 눈병이지만 비타민 B1의 부족만이 그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그밖에 지방성  경화증, 영양실조, 과도한 음주, 과도한 흡연, 부비강의 염증 을 들 수 있다. 또 근시안인 사람이 안경을 사용하지 않을 때 같은 증상을 나타내므로 혼돈하는 수가 있고, 이 병은 대체로 청년기에 많이 걸리는 눈병중에 하나이다.
 

증 상


단순히 시력이 약해지는 것 뿐만이 아니라 물체의 형태가 뚜렷이 보이지 않거나 눈이 부시거나 강한 광선 속에서는 더욱 물체의 형태가 보이지 않는다.
자각적인 증세로 눈도 머리도 피로해지고 머리가 무겁고 아프며 불안, 불면, 식욕부진, 이명, 현기증, 구갈등에 시달리게 된다.
 

치 료


 상용혈 : 풍지, 구후, 합곡, 태양, 정명, 찬죽
 
비용혈 : 승유, 간유, 신유, 족삼리, 광명, 사죽공
 

이 침

족 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