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기본학

*14경맥의 유주|

미션(cmc) 2012. 1. 7. 10:52

임맥

 

순행

전정중선(임신선, 복부전중선)을 따라 회음에서 시작하여 곡골, 중극, 관원을 거쳐 승장에서 끝남

 

밖으로 흐름

 하복부 중극(中極)의 아래에서 시작되어 회음부로 나와 외음부를 들렀다가 음모제를 상행, 배꼽(신궐)을 거쳐 흉부, 후두를 거쳐 아랫입술 밑에 이른다

중극 → 1.회음(:정궁, :포궁)외음부음모제 → 2.곡골 → 3.중극 → 4.관원 → 5.석문 → 6.기해 → 7.음교 → 8.신궐 → 9.수분 → 10.하완 → 11.건리 → 12.중완 → 13.상완 → 14.거궐 → 15.구미 → 16.중정 → 17.전중 → 18.옥당 → 19.자궁 → 20.화개 → 21.선기후두부 22.천돌후두부 23.염천아랫입술 24.승장

갈라짐

 아랫입술 밑에서 둘로 나뉘어져 입술을 돌아 은교(齦交)에서 독맥과 만나고 다시 갈라져서 안면으로 나와 눈 밑에서 양교맥(陽蹻脈),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과 만난다.

아랫입술 24.승장둘로 나뉘어져입술을 돌아 은교(齦交)에서 독맥과 만나고다시 갈라져서 안면으로 나와 눈 밑에서 양교맥(陽蹻脈),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의 승읍과 만난다.

 

독맥(督脈)

순행

 아랫배에서 일어나 회음으로 내려가 체표로 나오고 뒤로 등뼈를 따라 올라 위로 넓게 퍼진다. 그 주된 줄기는 견갑부에서 좌우로 나뉘었다가 다시 정중선상에서 합하여 상행하고 뒷덜미 풍부(風府)에 이르고 뇌로 들어간 다음 위로 머리 꼭대기로 올라가고 다시 머리의 정중선을 따라 이마, , 윗입술을 지나 윗잇몸에서 끝난다.

 다른 줄기는 꼬리뼈 끝에서 족소음, 족태양경과 만나고 척추를 뚫고 들어가 신()과 연결된다.

 또 한 줄기가 아랫배에서 위로 배꼽을 지나 심()에 들어가고 인후에서 충맥, 임맥과 만나고 이마 아래를 지나 입술을 돌고 두 눈 사이의 중간에서 끝난다.

 또 다른 줄기가 족태양경과 함께 눈가에서 시작하여 이마로 올라가고 정수리에서 좌우로 엇갈리며, 머리 속으로 들어간다.

. 아랫배회음 → 1.장강 → 2.요유 → 3.양관 → 4.명문 → 5.현추 → 6.척중 → 7.중추 → 8.근축 → 9.지양 → 10.영대 → 11.신도 → 12.신주풍문(방광경) → 13.도도 → 14.대추 → 15.아문 → 16.풍부 → 17.뇌호

    18.강간 → 19.후정 → 20.백회 → 21.전정 → 22.신회 → 23.상성 → 24.신정 → 25.소료 →26.수구 → 27.태단 →28.은교

. 꼬리뼈 끝족소음, 족태양경척추를 뚫고들어가 신()과 연결된다.

. 또 한 줄기가 아랫배에서위로 배꼽() → 인후에서 충맥, 임맥과 만나고이마 아래를 지나

   입술을 돌고두 눈 사이의 중간에서 끝난다.

. 또 다른 줄기가 족태양경과 함께 눈가에서 시작이마정수리에서 좌우로 엇갈리며머리 속으로 들어간다.

 

수태음 폐경

안으로 흐름

  중초의 위부(중완)에서 시작하여 밑으로 대장에 이어지고 (絡하고) 다시 위()로 올라가 위의 본문(胃上口)를 돌아 나와 위로 횡격막(橫膈膜), 즉 명치를 지나 폐에 통속하며, 폐계를 따라 흐르다가 다시 폐계를 빠져나와 인후(咽喉)를 지나 양옆으로 나뉘어져 겨드랑이 밑에 이른다.

  

중완(중초 위부) → 대장 낙() → 다시 올라가 상구를 돌아 횡격막을 뚫고폐에 들어갔다가다시 인후를 지나 양옆으로 나뉘어져 겨드랑이 밑에 이른다

 

밖으로

  겨드랑이 쪽에서 비스듬히 이어져 중부혈로 나와 팔 앞면의 안쪽으로 흘러 팔꿈치 안쪽 척택혈에 이르고, 팔을 거쳐서 팔의 엄지쪽 요골 가장자리로 해서 팔목 맥 뛰는 자리로 들어간 다음 촌구, 즉 태연혈, 어제혈로 이어지고 지나서 엄지손가락의 안쪽 끝 손톱 모퉁이 소상혈에 도달한다.

 

겨드랑이 밑에서 1.중부로 나와 → 2.운문팔앞면의 안쪽인 3.천부 → 4.협백으로 흘러팔꿈치 안쪽 5.척택에 이르고 → 6.공최를 거쳐팔의 엄지쪽 요골 가장자리로 해서 팔목 맥 뛰는 자리인 7.열결 → 8.경거 → 9.태연으로 들어감다시 10.어제를 지나엄지손가락의 안쪽 끝인 11.소상에 이른다.

갈라짐

  폐경의 지락은 손목 위 열결(列缺 : 絡穴)에서 갈라져 나와 둘째손가락 끝 부분인 수양명대장경의 기시점인 집게손가락 끝 상양혈에 접경(연결)된다.

 

팔목 위 7.열결에서 갈라져수양명대장경의 기시점인 집게손가락 끝 상양으로 연결

 

井木穴

滎火穴

輸土穴

經金穴

合水穴

原穴

絡穴

郄穴

募穴

背兪穴

脈會穴

少商

魚際

太淵

經渠

尺澤

太淵

列缺

孔最

中府

肺兪

太淵

 

수양명대장경

밖으로

  집게손가락 안쪽 끝 상양에서 시작 합곡을 지나 팔목위 엄지 손가락 뒤 양근간의 움푹들어간양계를 지나 팔뚝의 바깥쪽 가장자리 큰 팔꿈치 전면을 지나 어깨관절의 앞으로 이르고 다시 뒤쪽으로 넘어가 대추에서 교회 한 후 다시 앞으로 와 쇄골 위쪽 결분으로 내려간다

  

집게손가락 안쪽 끝 1.상양에서 시작 → 2.이간 → 3.삼간 → 4.합곡을 지나팔목 위 엄지손가락 뒤 양근간의 움푹 들어간 곳 5.양계를 지나팔뚝의 바깥쪽 가장자리인 6.편력 → 7.온류 → 8.하렴 → 9.상렴 → 10.수삼리와큰 팔꿈치 전면인 11.곡지를 지나 → 12.주료 → 13.수오리 → 14.비노어깨관절의 앞인 15.견우 → 16.거골에 이른다. → 다시 뒤쪽으로 넘어가 독맥대추에서 교회 한 후다시 앞으로 와 쇄골 위쪽 족양명위경의 결분으로 내려간다

 

분지

  빗장뼈 위쪽 오목한 자리, 결분에서 상행하여 옆목을 거쳐 볼로 올라가며 아랫잇몸으로 들어감. 다시 입 양쪽을 끼고 좌우로 돌아 인중에서 교차한 후 콧구멍 옆의 족양명위경인 영향과 만난다

  

빗장뼈(쇄골) 위쪽 오목한 자리 족양명위경의 결분에서 상행하여 옆 목 부위 17.천정 → 18.부돌을 거쳐 볼로 올라가며 아랫잇몸으로 들어감. → 다시 입 양쪽을 끼고 좌우로 돌아 인중 부위인 19.화료에서 교차한 후콧구멍 옆의 족양명위경인 20.영향과 만난다

안으로

  결분에서 가슴으로 들어가 폐를 지나고 횡격막을 통해 하행, 대장에 속하고 다시 아래로 내려가 대장의 하합혈인 무릎아래의 상거허까지 그 기가 미친다

  

井金穴

滎水穴

輸木穴

經火穴

合土穴

原穴

絡穴

郄穴

募穴

背兪穴

商陽

二間

三間

陽谿

曲池

合谷

偏歷

溫溜

天樞

大腸兪

 

족양명위경

유주

鼻의 兩傍(迎香)에서 起始하고 上向하여 鼻根部()에서 左右로 交會하고 옆으로 向하여 足太陽經과 交會한다.

下向하여 鼻의 外方을 따라 上齒中으로 進入하고 돌아와서 口角을 끼고 口唇으로 돌아 上向하여 督脈의 人中穴에서 交會하고 다시 下向하여 턱의 脣溝部位에서 任脈의 承漿穴과 交會한다.

退轉하여 下顎의 後下方을 따라 本經의 大迎穴로 淺出하고 下顎角의 前下方의 頰車穴을 따라 上向하여 耳前에 分布되고 耳前의 頰骨弓上緣을 거쳐 足少陽經의 客主人穴과 交會하여, 髮의 邊緣을 따라 足少陽膽經과 懸釐, 함厭에서 交會하고 前額에 이르러 督脈의 神庭穴에서 交會한다.

(족양명위경은 코위에서 시작하여 코를 돌고 밑으로 내려가 상치를 유주한다. 그리고 돌아나와서 구각을 끼고 승장혈을 얽고 턱 뒷쪽에 있는 대영혈, 협차혈로 해서 앞으로 해서 이마, 즉 액의 발각에 이른다.

 또 곧게 내려가는 한 지맥은 결분혈에서 밑으로 내려가 유내를 거친다. 한 지맥은 복중에서 유문을 돌아서 곧바로 밑으로 내려가 기충혈에서 모든 지맥이 합쳐서 넙적다리에 있는 비관혈을 거쳐 더 밑으로 내려가 종주뼈 바깥쪽으로 가서 정강이 뼈를 따라서 발등까지 오고 다시 둘째발가락으로 나온다. 또 하나의 지맥은 발등에서 발가락으로 가는데 엄지발가락 끝의 은백혈에서 족태음경인 비경에 접법된다.)

 

밖으로

. 수양명대장경의 종점인 코의 양옆 영향에서 시작 코를 끼고 좌우로 올라가 비근부에서 만난 다음 정명에서 족태양방광경과 만난다. 그 후 코의 가장자리로 돌아 내려와 위 잇몸에 들어가고 입술을 돌아 입의 양쪽 모서리를 거쳐 밑으로 돌아 내려와 입술 밑 오목한 자리에 임맥의 끝 승장에서 만난다.

영향(수양명대장경종점) → 정명(족태양방광경) → 1.승읍 → 2.사백 → 3.거료윗잇몸에 들어감입술을 돌아 입의 양쪽 모서리 4.지창입술 밑 오목한 자리의 승장(임맥끝)

. 그 다음 아래턱 뼈를 따라 저작근 가장자리의 대영에 이른 후에 다시 턱위로 흘러서 광대 뼈 아래쪽 가장자리를 돌아 아래턱과 귀 앞 광대뼈 가장자리로 올라가 족소양담경의 상관과 만나고 머리털이 난 가장자리로 돌아 족소양담경의 현리, 함영과 만난 후 두유를 지나 이마로 가서 독맥의 신정과 만남

갈라짐

   대영앞쪽에서 옆목을 따라 내려가 인영에 이르고 기도를 따라 내려가 쇄골 위쪽 움푹파인 곳, 결분에 닿는다

5.대영 앞쪽 →  옆목을 따라 내려가 9.인영에 이르고 → 10.수돌 →  11.기사를 거쳐기도를 따라 내려가 쇄골 위쪽 움푹파인 곳, 12.결분에 닿는다

안으로

  뒤로 독맥 대추에 이르러 만나고 돌아와 다시 결분으로 들어가 횡격막으로 내려와 위에 속하고 비장에 낙한다.

  한 지맥이 위하구 유문부에서 뱃속을 지나 내려가 배의 아래 가랑이 쪽의 맥 뛰는 곳 기충에 이르러 밖으로 흐르는 맥과 합한다

. 12.결분뒤로 독맥대추에 이르러 만나고 돌아와 다시 → 12.결분으로 들어가 횡격막으로 내려와위에 속하고 비장에 낙한다.

. 한 지맥은 위하구 유문부에서뱃속을 지나 내려가배의 아래 가랑이 쪽의 맥 뛰는 곳 30.기충에 이르러 →  밖으로 흐르는 맥과 합한다

밖으로

  직행하는 줄기는 결분에서 체표로 나와 젖꼭지를 지나고 배꼽 옆으로 내려와 음모 양측의 가랑이 주름진 자리 기충에 이르러 뱃속 유문부에서 갈라져 내려온 경맥과 만난다. 계속하여 허벅다리 앞쪽으로 내려가 정강이 바깥쪽 앞을 지나 발등으로 내려가고 둘째발가락 끝 여태에서 끝난다.

  또 그 지맥 일부는 위의 하합혈인 무릎아래 3촌 족삼리에서 갈라져 나와 가운데 발가락 외측 끝으로 나온다

. 직행하는 줄기는 12.결분에서체표로 나와 13.기호 → 14.고방 → 15.옥예 → 16.응창 → 17.유중 → 18.유근 등 임맥과 4촌 떨어진 젖꼭지를 지나고 → 19.불용 → 20.승만 → 21.양문 → 22.관문 → 23.태을 → 24.활육문 → 25.천추를 거쳐 배꼽 밑으로 내려와 → 26.외능 → 27.대거 → 28.수도 → 29.귀래음모 양측의 가랑이 주름진 자리 30.기충에 이르러 뱃속 유문부에서 갈라져 내려온 경맥과 만난다. 계속하여 31.비관을 거쳐 허벅다리 앞쪽으로 내려가 32.복토 → 33.음시 → 34.양구 → 35.독비정강이 바깥쪽 앞인 36.족삼리 → 37.상거허 → 38.조구 → 39.하거허 → 40.풍륭을 지나 → 41.해계를 거쳐 발등으로 내려가고 → 42.충양 → 43.함곡 → 44.내정을 거쳐둘째발가락 끝 45.여태에서 끝난다.

. 또 그 지맥 일부는 위의 하합혈인 무릎아래 3촌 족삼리에서 갈라져 나와 가운데 발가락 외측 끝으로 나온다.

갈라짐

  발등의 충양에서 다시 한 지맥이 갈라져 나와 엄지발가락 안쪽으로 달려 족태음비경의 은백과 접합한다

발등의 42.충양에서 다시 한 지맥이 갈라져 나와엄지발가락 안쪽으로 달려 족태음비경의 은백과 접합한다

 

井金穴

滎水穴

輸木穴

經火穴

合土穴

原穴

絡穴

郄穴

募穴

背兪穴

厲兌

內正

陷谷

解谿

足三里

衝陽

豊隆

梁丘

中脘

胃兪

 

족태음비경

유주

 족태음비경은 족무지, 즉 엄지발가락에서 시작하여 족적백육제 안쪽을 돌아 위로 올라가는데 핵골(엄지발가락 뒤쪽 안쪽의 반원형 뼈) 뒤로 해서 안쪽 복사뼈 앞으로 가서 무릎 안쪽을 돌고 올라가 고관절의 안쪽으로 해서 뱃속으로 들어가

비장에 통속하고 위를 낙요하며 횡격막을 통과하여 인후를 끼고 혀에 분산되고 혀 밑으로 이어진다.

그 한가닥의 지맥은 위를 얽고 돌아서 심장으로 간다.

밖으로

 엄지발가락 안쪽 끝에서 시작, 그 안쪽의 적백육제를 따라 엄지발가락 본절 뒤를 지나 위로 올라가 안쪽복사뼈 앞쪽 가장자리를 지나 경골 안쪽 뒤 가장자리를 타고 올라가다가 발목 안쪽으로부터 8촌 되는 곳에서 족궐음간경을 넘어 앞쪽으로 나오고 무릎을 거쳐 넓적다리안쪽 앞으로 올라가 가랑이 사이를 지나 뱃속으로 들어가 임맥의 중극, 관원, 하완 등과 교회하면서 위쪽 가슴에까지 이름

발등 충양(족양명위경) → 엄지발가락 안쪽끝 1.은백에서 시작그 안쪽의 적백육제를 따라 엄지발가락 본절 뒤인 2.대도 → 3.태백 → 4.공손을 지나 위로 올라가 안쪽복사뼈 앞쪽 가장자리인 5.상구를 지나경골 안쪽 뒤 가장자리를 타고 올라가다가 6.삼음교 → 7.누곡 → 8.지기를 지나 발목 안쪽으로부터 8촌 되는 곳에서 족궐음간경을 넘어 → 9.음릉천을 거쳐앞쪽으로 나오고 무릎을 거쳐 넓적다리안쪽 앞인 10.혈해 → 11.기문으로 올라가 위경을 지나고 → 12.충문 → 13.부사인 가랑이 사이를 지나 → 14.복결 → 15.대횡을 거쳐 뱃속으로 들어가 임맥의 중극, 관원과 교회하면서 간경과 교차하여 하완을 거쳐 → 16.복애와 담경을 교차한 후 위쪽 가슴에까지 이르게 되며 → 17.식두 → 18.천계 → 19.흉향 → 20.주영을 지나 담경과 다시 교차하여 → 21.대포에 이르게 된다.

안으로

 가랑이에서 뱃속으로 따라 들어가서 중극, 관원부근에서 임맥과 만나고 비장에 닿은 다음, 위에 낙하고 명치를 거쳐 식도를 따라 올라가 혀뿌리에 이르러 혀 밑에 넓게 퍼진다

가랑이 부위인 12.충문 → 13.부사에서 뱃속으로 따라 들어가서 중극, 관원과 만나고 → 14.복결 → 15대횡하완 → 16.복해일월기문을 거쳐 비장에 닿은 다음, 위에 낙하고 명치를 거쳐 식도를 따라 올라가 혀뿌리에 이르러 혀 밑에 넓게 퍼진다

갈라짐

 한 갈래는 위에서 갈라져 명치를 지나 위로 횡격막을 뚫고 올라가 심장(심중)으로 들어가며 수소음심경과 이어진다.

井木穴

滎火穴

輸土穴

經金穴

合水穴

原穴

絡穴

郄穴

募穴

背兪穴

隱白

大都

太白

商丘

陰陵泉

太白

公孫代包

地機

章門

脾兪

 

수태양소장경

유주

 수태양 소장경은 소지, 즉 새끼손가락 끝의 소택에서 시작하여 손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거쳐 척골경사돌기 속으로 해서 척골을 따라 팔꿈치 안쪽으로 나와 팔뚝 바깥쪽 가장자리로 올라간다.

그리고 똑바로 어깨로 올라가 견갑골을 얽어매고 다시 대추혈에서 좌우 경맥이 교회한 뒤 어깨 밑의 결분혈로 들어가고 겨드랑이 밑으로 해서 심장에 락요한다.

목구멍을 돌아 밑으로 내려가 횡격막을 뚫고 위 밑으로 해서 소장에 통속한다. 일조지맥은 결분혈에서 목을 뚫고 뺨으로 해서 눈을 거쳐 내안각으로 들어가고 또 귓속으로 들어간다.

다시 귀 앞으로 해서 뺨 위쪽으로 가서 코 밑에 닿아 눈의 안쪽에 도달하고 비스듬히 연락되어 광대뼈에 닿아 별도의 락맥과 연결된다.

밖으로

  새끼손가락 바깥쪽 끝 소택에서 시작하여 손의 가장자리를 지나 손등 뒤쪽으로 손목을 지나고 척골 모서리를 거쳐 팔꿈치 뒤 안쪽의 두 뼈사이로 나와 팔뚝 뒤쪽 가장자리로 흐른다위 팔뚝 바깥쪽 어깨모서리를 거쳐 어깨부위를 두루 돌아 감싸고 제7경추아래 대추에서 만난 다음 앞으로 빗장뼈 오목한 자리 결분으로 들어간다

새끼손가락 바깥쪽 끝 1.소택에서 시작하여 → 손의 가장자리인 2.전곡을 지나  손등 뒤쪽인 3.후계 4.완골과 → 손목부위인 5.양곡을 지나고 → 6.양노인 척골 모서리를 거쳐 팔꿈치 뒤 안쪽의 두 뼈 사이로 나와 팔뚝 뒤쪽 가장자리인 7.지정 8.소해 → 9.견정으로 흐른다. 위 팔뚝 바깥쪽 어깨모서리인 10.노유를 거쳐 11.천종 → 12.병풍 → 13.곡원 → 14.견외유 → 15.견중유 등 어깨부위를 두루 돌아 감싸고7경추아래 대추에서 만난 다음 앞으로 빗장뼈 오목한 자리 결분으로 들어간다.

안으로

  결분에서 체내로 들어가 심장에 낙하고 식도를 따라 내려가 횡격막을 지나 위에 이른다상완, 중완혈 깊은 곳에서 임맥과 만나고 소장에 귀속하고 다시 아래로 내려가 소장의 하합혈인 무릎 아래의 하거허까지 그 기가 미침

갈라짐

  한 갈래는 결분에서 다시 목위로 올라 흉세유돌근 뒤로해서 뺨을 지나 눈 바깥쪽을 거쳐 귓속으로 들어감

한 갈래는 결분에서 다시 목위로 올라 흉세유돌근 뒤인 16.천창 → 17.천용을 거쳐서뺨 부분인 18.권료를 지나 눈 바깥쪽동자료화료를 거쳐 귀앞인 → 19.청궁을 지나귓속으로 들어감

갈라짐

  또 한 갈래는 턱에서 갈라져 코 뿌리를 거쳐 눈 안쪽 모서리 정명에서 족태양방광경과 이어진다

井金穴

滎水穴

輸木穴

經火穴

合土穴

原穴

絡穴

郄穴

募穴

背兪穴

少澤

前谷

後谿

陽谷

少海

腕骨

支正

養老

關元

少腸兪

 

 

족태양방광경

유주

족태양경은 방광맥이나 내안각에서 기시하여 위로 올라가 이미 끝으로 해서 두정부에 이르고 그 지맥은 이각에서 끝난다.

두정부에서 직행하는 맥은 뇌의 뒤쪽으로 해서 뇌증을 락하고 다시 빠져나와서 밑으로 내려가 항, 즉 뒷목에 이르고 어깨와 어깨쭉지를 거쳐 척추변을 끼고 허리의 등골에 이르러 신장과 방광으로 들어간다.

그 지맥은 다시 밑으로 내려가 항문으로 연결되고 궁둥이를 비스듬히 관통하여 대퇴후면으로 해서 위중혈에 이른다.

한가닥의 지맥은 어깨속에서 좌우로 나뉘어 따로따로 어깨쭉지를 관통하여 척추를 끼고 내려와 업적다리 가운데를 거치고 넙적다리 속의 뒤쪽으로 해서 괵증, 오금 한가운데 있는 위중혈에 합친다.

다시 장딴지 속을 뚫고 내려가 바깥 복사뼈의 뒤로해서 경골을 거쳐 새끼발가락 외측에서 끝난다.

 

밖으로

  눈 안쪽 모서리 정명에서 일어나 위로 이마로 올라가 머리 꼭대기 백회를 지난다그 기둥 줄기가 곧게 내려오는데 머리 정수리에서 뇌로 들어가 얽고 천주로 하행하여 독맥의 대추에서 만난 후 다시 좌우로 갈라져 견갑 내측을 따라 척추의 양옆 15푼으로 나란히 내려와 허리 신유에 이르고 엉덩이를 지나 방광의 하합혈인 오금한 가운데 위중으로 들어간다

1.정명 → 2.찬죽이마로 올라가 신정 → 3.미충 → 4.곡차 → 5.오처 → 6.승광 → 7.통천머리 꼭대기 백회를 지나고그 기둥 줄기가 곧게 내려오는데 머리 정수리에서 뇌로 들어가 얽고 → 8.낙각 → 9.옥침뇌호풍부 → 10.천주로 하행하여독맥의 대추도도에서 만난 후 다시 좌우로 갈라져 견갑 내측인 11.대저를 따라 척추의 양옆 15푼으로 나란히 내려와 → 12.풍문 → 13.폐유 → 14.궐음유 → 15.심유 → 16.독유 → 17.격유 → 18.간유 → 19.담유 → 20.비유 → 21.위유 → 22.삼초유허리 23.신유에 이르고 → 24.기해유 → 25.대장유 → 26.관원유 → 27.소장유 → 28.방광유 → 29.중려유 → 30.백환유 → 31.상료 → 32.차료 → 33.중료 → 34.하료 → 35.회양의 엉덩이를 지나 → 36.승부 → 37.은문 → 38.부극 → 39.위양방광의 하합혈인 오금한 가운데 40.위중으로 들어간다.

갈라짐

  머리 정수리에서 나와 양쪽으로 갈라져 귀의 윗부분 이상각으로 내려온다

머리 정수리 백회양쪽으로 갈라져 두임읍 →  귀의 윗 부분인 습곡곡빈으로 가며, 습곡에서부백 →  두규음완골인 이상각으로 내려온다

안으로

   밖으로 지나는 줄기가 허리에서 들어가 등뼈 옆으로 근육을 따라 몸 속으로 깊게 들어가 신장에 낙하고 방광경에 귀속한다

밖으로

   목 뒤에서 갈라진 또 다른 줄기가 견갑골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등뼈에서 양옆으로 각각 3촌 너비로 내려간다. 엉치를 돌아 엉덩이 환도를 지나 넓적다리 바깥 뒤쪽 가장자리를 지나 밑으로 내려가 오금에서 앞서의 줄기와 만나고 밑으로 내려가 비장근을 지나 다시 바깥쪽 복사뼈 뒤 곤륜으로 나와 발의 외측 가장자리로 흘러 새끼발가락 끝 지음으로 나와서 족소음신경과 이어진다

백회 → 8.낙각 → 9.옥침뇌호풍부 → 10.천주로 하행하여목 뒤에서 갈라진 또 다른 줄기가 견갑골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등뼈에서 양옆으로 각각 3촌 너비로 내려가게 되는데 41.부분 → 42.벡호 → 43.고황 → 44.신당 → 45.의희 → 46.격관 → 47.혼문 → 48.양강 → 49.의사 → 50.위창 → 51.황문 → 52.지실 → 53.포황엉치의 54.질번을 돌아엉덩이의 환도를 지나넓적다리 바깥 뒤쪽 가장자리를 지나 밑으로 내려가 오금에서 앞서의 줄기인 40.위증과 만나고 밑으로 내려가게 되는데비장근 부위인 55.합양 → 56.승근 → 57.승산 → 58.비양을 지나 → 59.부양다시 바깥쪽 복사뼈 뒤 60.곤륜으로 나와 발의 외측 가장자리인 → 61.복삼 → 62.산맥 → 63.금문 → 64.경골 → 65.속골 → 66.통곡으로 흘러새끼발가락 끝 67.지음으로 나와서족소음신경의 용천과 이어진다.

 

井金穴

滎水穴

輸木穴

經火穴

合土穴

原穴

絡穴

郄穴

募穴

背兪穴

至陰

足通谷

束骨

崑崙

委中

京骨

飛揚

金門

中極

膀胱兪

 

수궐음심포경

유주

수궐음심포경맥은 흉중에서 기시하여 심포에 통속되며, 횡경막의 밑으로 내려가 삼초의 궁에 연결된다.

그 지맥은 가슴속을 돌아나와 협하에 이르고

다시 협하의 3치 되는 곳에서 위로 올라가 겨드랑이로 연결되고

팔 안쪽으로 돌아 나오며 수태음폐경과 수소음심경맥의 중간을 따라 내려온다.

가운데 손가락 끝은 중충혈에 끝나고 그 지맥은 별도로 소지와 차지를 이어서 상통한다.

 

안으로

 가슴에서 시작되어 상초, 중초, 하초의 삼초에 낙한다.

갈라짐

 한 갈래가 가슴에 넓게 퍼져 얕게 드러나 갈비와 옆구리에 펼쳐진다

밖으로

 가슴 속에서 갈라진 한 줄기가 겨드랑이 밑으로 3촌 아래 천지에서 체표로 나와 겨드랑이를 거쳐 수태음과 수소음 사이, 즉 팔 안쪽 중앙으로 달려 팔꿈치에 이르고 밑으로 손목을 지나 손바닥 안 노궁에 들어가서 가운데 손가락 끝 중충으로 나온다

가슴속에서 갈라진 한 줄기겨드랑이 밑 3촌 아래 1.천지에서 체표로 나와겨드랑이를 거쳐수태음과 수소음 사이, 즉 팔 안쪽 중앙인 2.천천으로 달려팔꿈치인 3.곡택에 이르고밑으로 손목부위인 4.극문 → 5.간사 → 6.내관 → 7.대릉을 지나손바닥안 8.노궁에 들어가서 가운데 손가락 끝 9.중충으로 나온다

갈라짐

 손바닥에서 갈라져 넷째손가락 끝 관충으로 가서 수소양삼초경과 만난다

井木穴

滎火穴

輸土穴

經金穴

合水穴

原穴

絡穴

郄穴

募穴

背兪穴

中衝

勞宮

太陵

間使

曲澤

大陵

內關

郄門

膻中

厥陰兪

 

수소양삼초경

유주

수소양경인 삼초맥은 넷째손가락 끝의 바깥쪽 손통 모퉁이에서 기시하여 제 45 중수골간으로 해서 손등쪽을 타고 팔 바깥쪽으로 요골과 척골 사이를 유주한다.

팔 뒤꿈치를 거쳐 팔뚝 바깥쪽을 지나 어깨위를 순요하고 족소양담경과 교회를 한후 밑으로 내려와 결분혈로 들어가고 다시 더 하행하여 전중에서 갈라지고 심포락에 흩어져 락요하고 횡격막을 관통하여 삼초에 통속한다.

그 갈라진 지맥은 전중과 결분에서 위로 상행하여 경항과 이후, 이각을 돌고 다시 하행하여 턱과 뺨으로 유주한다.

또 하나의 지맥은 귀로 들어가서 다시 앞으로 빠져나와 상관으로 가서 뺨을 교차하며 눈의 가장자리, 목자에서 끝이 난다.

 

밖으로

 넷째손가락 끝관충에서 시작하여 손등으로 흘러 손목마디 한가운데를 거쳐 척골과 요골사이를 지나 팔꿈치 끝을 넘어서 팔죽지의 외측을 따라 어깨에 이르러 족소양담경의 견정과 만나고 독맥의 대추에 모여 어우러진 후 위경의 결분으로 들어간다

넷째손가락 끝 1.관충에서 시작하여 2.액문(셋째마디) → 손등으로 흘러 3.중저손목마디 한가운데 4.양지를 거쳐척골과 요골 사이인 5.외관 6.지구 7.회종 → 8.삼양락 → 9.사독을 지나 팔꿈치 끝을 넘어서 10.천정 팔 죽지의 외측을 따라 11.청냉연 → 12.소락 → 13.노회 어깨의 14.견료 15.천료에 이르러 족소양담경의 견정과 만나고 독맥의 대추에 모여 어우러진 후 위경의 결분으로 들어간다

안으로

 결분에서 전중에 나뉘어 펼쳐지고 심포에 낙하고 밑으로 횡격막을 지나서 상초중초하초에 두루 연락하고 삼초의 하합혈인 위양까지 그 기가 미친다

갈라짐

 . 한 지맥은 임맥 전중을 따라 올라 결분으로 다시 나오고 덜미 뒤로 올라가 귀 뒤를 지나 귀 꼭대기로 바로 올라가서 밑으로 구부러져 얼굴 뺨에 이른다

 . 또 한 지맥은 귀 뒤에서 갈라져 귓속으로 따라 들어가 귀 앞으로 다시 나오고 담경의 상관을 지나 얼굴 뺨에서 앞의 분지와 만나며 눈 바깥쪽 동자료에 이르러 족소양담경과 만난다

. 한 지맥은 임맥 전중을 따라 올라결분으로 다시 나오고목덜미 뒤로 올라가 16.천유귀뒤 17.예풍 → 18.계맥 → 19.노식을 지나귀 꼭대기인 20.각손으로 바로 올라가서함염을 거쳐 밑으로 구부러져현로현리곡빈 → 21.이문뺨의 22.화료 → 23.사죽공에 이른다.

. 또 한 지맥은 귀 뒤에서 갈라져 귓속으로 따라 들어가귀 앞 천궁으로 다시 나오고담경의 상관을 지나얼굴 뺨에서 앞의 분지와 만나며눈 바깥쪽 동자료에 이르러 족소양담경과 만난다

 

井金穴

滎水穴

輸木穴

經火穴

合土穴

原穴

絡穴

郄穴

募穴

背兪穴

關衝

液門

中渚

支溝

天井

陽池

外關

會宗

石門

三焦兪

 

족소양담경

담경의 유주

족소양경인 담맥은 목외자, 즉 눈끝의 가장자리에서 기시하며 머리밑을 돌고 쪽머리로 해서 다시 이후로 내려오고 뇌공과 풍지혈을 차례로 지나 수소양삼초경의 앞을 지나 어깨 위로 와서 삼초경과 교회한 뒤에 결분혈에서 그친다.

그 갈라진 지맥은 귀 뒤에서 귀속을 간통하고 빠져나와 귀 앞의 뾰족한 곳을 돈다.

지맥은 눈가장자리 끝에서 위경의 대영혈 밑으로 내려와 수소양삼초경과 교합하고 다시 하행, 협차와 결분혈을 거쳐 가슴속으로 들어가고 명치를 관통하여 간에 락요한다.

다시 담에 통속하고 협늑, 즉 옆구리 속을 지나 밑으로 기충에 들어가 음부의 모제를 돌고 비스듬히 넙적다리 뼈의 환도 혈속으로 들어간다.

결분혈에서 직하행하는 맥은 겨드랑이 밑의 가슴을 지나 계늑으로 해서 넙적다리 속으로 들어가고 다시 빠져나와 무릎 바깥쪽 가장자리 양능천 혈을 거쳐 바깥쪽으로 양보, 현종혈을 지나, 바깥 복사뼈를 통과 넷째 발가락 끝에 가서 닿는.

하나의 갈라진 지맥은 엄지발가락의 털이나 삼모의 접경부위로 가서 간경과 접경된다.

밖으로

  눈꼬리 옆 동자료에서 시작되어 위로 이마 모서리로 가고, 귀 뒤로 완골까지 내려왔다가 다시 옆머리를 돌아올라 이마를 지나 눈썹 위 양백에 닿고 재차 뒤로 돌아 풍지에 이른다. 수소양경 앞으로 어깨 위에 이르고 좌우가 독맥 대추에서 만나며 앞으로 나가 결분에 들어간다.

눈꼬리 옆 1.동자료에서 시작되어 → 2.청회 → 3.객주인(상관) → 4.함염위로 이마 모서리인 두유로 가고 → 5.현로 → 6.현리 → 7.곡빈 → 8.솔곡 → 9.천충 → 10.부백 → 11.두규음귀 뒤로 12.완골까지 내려왔다가다시 옆머리를 돌아올라 이마신정 →  13.본신을 지나눈썹 위 14.양백에 닿고 재차 뒤로 돌아 → 15.임읍 → 16.목창 → 17.정영 → 18.승영백회 → 19.뇌공 → 20.풍지에 이르고예풍천용을 거쳐수소양경 앞으로 어깨 위 21.견정에 이르고좌우가 독맥 대추에서 만나며앞으로 나가 결분에 들어간다.   * 족규음 : 새끼발가락

갈라짐

  한 가닥은 귀 뒤에서 귓속으로 들어갔다가 귀 앞에서 체표로 나오며 눈 옆 뒤쪽에서 끝난다. 눈꼬리에서 갈라져 위경의 대영으로 하행하여 볼에 분포되어 있는 수소양경의 지맥과 만난 후 눈자위 밑에 이른다. 또 한갈래가 협거를 지나 밑으로 옆목을 지나 결분에서 전맥과 합쳐진다

. 한 가닥은 귀 뒤 예풍에서귓속으로 들어갔다가귀 앞 청회에서 체표로 나오며청궁하관상관눈 옆 뒤쪽 1.동자료에서 끝난다.

. 눈꼬리인 1.동자료에서 갈라져위경의 대영으로 하행하여 볼에 분포되어 있는 수소양경의 지맥인 지창거료영향사백과 만난 후 눈자위 밑인 승읍에 이른다.

. 또 한갈래가 협거를 지나밑으로 옆목인 대영을 지나인영수돌기사결분에서 전맥과 합쳐진다

안으로

  얼굴에서 내려온 줄기와 뒷목을 거쳐 돌아온 줄기가 결분에서 만나 모인 후 가슴 속으로 들어가 명치를 지나고 간에 낙한후 담으로 들어가며 옆구리 갈비뼈 가장자리를 따라 속으로 갔다가 위경의 기충으로 나오고 서혜부 주름살을 따라 음모가까이에서 돌아 옆으로 고관절 마디 환도에 이른다

얼굴에서 내려온 기사 줄기와 뒷목을 거쳐 대추에서 돌아온 줄기가결분에서 만나 모인 후가슴속으로 들어가명치를 지나고간에 낙한 후담으로 들어가며옆구리 갈비뼈 가장자리를 따라 속으로 갔다가 장문을 거쳐위경의 기충으로 나오고서혜부 주름살을 따라음모 가까이에서 돌아옆으로 고관절 마디 30.환도에 이른다

밖으로

  한 줄기는 결분에서 겨드랑이를 따라 인체의 측면으로 내려와 옆구리를 지나고 밑으로 엉덩이 환도에서 다른 지맥과 합한 다음 다시 밑으로 넓적다리 옆으로 내려와 무릎 밖으로 나와, 담의 하합혈인 비골소두앞 가장자리 양릉천을 지나 비골아래 끝까지 곧장 내려온다바깥 복사뼈 앞 아래로 나와 발등 가장자리 넷째발가락뼈와 다섯째발가락뼈 사이로 들어와 넷째발가락 바깥쪽 끝 규음에서 끝난다.

한 줄기는 결분에서겨드랑이를 따라 인체의 측면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22.연액 → 23.첩근 → 24.일월옆구리인 25.경문 → 26.대맥 → 27.오추 → 28.유도 → 29.거료를 지나고밑으로 엉덩이 30.환도에서 다른 지맥과 합한 다음다시 밑의 넓적다리 옆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31.풍시 → 32.중도무릎 밖인 33.슬양관으로 나와담의 하합혈인 비골소두앞 가장자리 34.양릉천을 지나 → 35.양교 → 36.외구 → 37.광명 → 38.양보 → 39.현종인 비골아래 끝까지 곧장 내려오게 된다. → 바깥 복사뼈 앞 아래인 40.구허로 나와 → 41.임읍 → 42.지오회 → 43.협계를 거쳐 발등 가장자리 넷째발가락뼈와 다섯째발가락뼈 사이로 들어와넷째발가락 바깥쪽 끝 44.규음에서 끝난다.

 갈라짐

  발등 임읍에서 갈라져 나와 엄지발가락 등쪽으로 가서 족궐음간경과 만난다

발등 41.임읍에서 갈라져 나와엄지발가락 등쪽 대돈으로 가서 족궐음간경과 만난다

 

井金穴

滎水穴

輸木穴

經火穴

合土穴

原穴

絡穴

郄穴

募穴

背兪穴

足竅陰

俠谿

足臨湆

陽輔

陽陵泉

丘墟

光明

外丘

日月

膽兪

 

족궐음 간경

유주 : 간경은 폐를 돌아 나온다.

족궐음간경인 간맥은 맥이 마지막에 이르는 것으로 엄지발가락의 끝 털이 난 곳에서 기시한다.

그러나 발등위로 올라가고 태충혈을 거치고 안쪽 복사뼈 앞 1치에 있는 중봉으로 들어간다.

안쪽 복사뼈를 지나 족태음비경과 교회한 후에 뒤로 나와 오금의 안쪽을 돌고 넙적다리 안쪽을 따라 사타구니 안쪽 기충혈을 거쳐 생식기와 소복을 얽어매고 다시 올라와 위를 끼고 간에 들어가 통속하고 담에 락요한다.

그리고 횡격막을 뚫고 깊숙히 옆구리에 분포되고 인후를 끼고 더 올라가 눈과 이마를 거쳐 머리 꼭대기에 있는 독맥의 백회혈로 나온다.

갈라진 한 지맥은 눈계통을 돌고 아래로 내려와 뺨을 깊숙히 얽어매고 입술을 돈다. 도한 갈라진 지맥은 횡격막에서 폐와 상통한다.

 

밖으로

  엄지발가락의 등 쪽 털 난 부위에서 시작되어 위로 첫째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로 흘러 안쪽 복사뼈 앞 1촌 중봉을 지나 종아리 안쪽을 따라 올라가며, 복사뼈 위 8촌에서 족태음비경과 교차하여 뒤로 넘어간다. 계속하여 무릎 안쪽을 지나 허벅지 안쪽 한가운데로 올라가 음모가 있는 부위에 도달하며 생식기를 돌아 아랫배로 들어간다

엄지발가락의 등쪽 털 난 부위인 1.대돈에서 시작위로 첫째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인 2.행간 3.태충으로 흘러안쪽 복사뼈 앞 1 4.중봉을 지나 종아리 안쪽을 따라 올라가게 되며복사뼈 위 8촌에서 족태음비경과 교차하여삼음교를 지나 뒤로 넘어간다. 5.여구 → 6.중도 → 7.슬관을 지나 계속하여 무릎 안쪽인 8.곡천을 지나 허벅지 안쪽 한가운데인 9.음포를 거쳐 올라가 음모가 있는 부위인 10.족오리 11.음렴 → 12.급맥에 도달하며 생식기를 돌아 아랫배로 들어간다

안으로

  아랫배로 들어간 다음 위를 끼고 올라와 간에 속하고 담에 낙한다위로 횡격막을 지나 옆구리에 나뉘어 퍼지고 성대의 뒤쪽을 따라 올라가 목구멍, 코 부위에 이르며 위로는 눈에 연결되고 이마를 지나 정수리에 이르러 독맥과 만난다

12.급맥 → 생식기를 돌아 아랫배로 들어간 다음 → 충문부사곡골중극관원위를 끼고 올라와 13.장문간에 속하고 14.기문담에 낙한다위로 횡격막을 지나 옆구리에 나뉘어 퍼지고 성대의 뒤쪽을 따라 올라가 목구멍, 코 부위에 이르며 위로는 눈에 연결되고 이마를 지나 정수리에 이르러 독맥의 백회와 만난다

갈라짐

 한 지맥은 눈 가장자리를 따라 퍼지고, 밑으로 얼굴 뺨 속으로 흘러 입술 속으로 돌아 얽혀 있다또 다른 줄기가 다시 간()에서 갈라져 횡격막(橫膈膜)을 지나 폐()로 들어가(간주폐) 수태음폐경과 이어진다

井木穴

滎火穴

輸土穴

經金穴

合水穴

原穴

絡穴

郄穴

募穴

背兪穴

大敦

行間

太衝

中封

曲泉

太衝

蠡溝

中都

基門

肝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