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기술기준 부표
[부표 1] 동 선
동선의 종류 |
도체의 지름 (㎜) |
인장강도 [㎏f/㎟](N/㎟) |
신장률 (%) |
도전율 (%) |
경동선 |
0.4 이상 1.8 이하 1.8 초과 12.0 이하 |
[47.1~1.1d] 이상 (462~10.8d) |
- - |
96.0 이상 97.0 이상 |
연동선 |
0.1 이상 1.28 이하 0.28 초과 0.29 이하 0.29 초과 0.45 이하 0.45 초과 0.70 이하 0.70 초과 1.60 이하 1.60 초과 7.0 이하 7.0 초과 16.0 이하 |
[20.0](196) 이상 [47.1~1.1d] (462~10.8d) 미만
|
15.0 이상 20.0 이상 20.0 이상 20.0 이상 25.0 이상 30.0 이상 35.0 이상 |
98.0 이상 98.0 이상 99.3 이상 100 이상 100 이상 100 이상 100 이상 |
비고 : d는 도체의 지름 (㎜를 단위로 한다)
[부표 2] 알루미늄선
알루미늄선의 종류 |
도체의 지름 (㎜) |
인장강도 [㎏f/㎟](N/㎟) |
신장률 (%) |
경 알루미늄선 (도전율이 61.0% 이상인 것) |
1.2 이상 1.3 이하 1.3 초과 1.5 이하 1.5 초과 1.7 이하 1.7 초과 2.1 이하 2.1 초과 2.4 이하 2.4 초과 2.7 이하 2.7 초과 3.0 이하 3.0 초과 3.5 이하 3.5 초과 3.8 이하 3.8 초과 4.1 이하 4.1 초과 5.2 이하 5.2 초과 6.6 이하 |
[16.2이상](159이상) [19.0이상](186이상) [19.0이상](186이상) [18.6이상](182이상) [17.9이상](176이상) [17.2이상](169이상) [16.9이상](166이상) [16.5이상](162이상) [16.5이상](162이상) [16.2이상](159이상) [16.2이상](159이상) [15.8이상](155이상) |
1.2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상 1.5 이상 1.5 이상 1.6 이상 1.7 이상 1.8 이상 1.9 이상 2.0 이상 2.2 이상 |
반경 알루미늄선 (도전율이 61.0% 이상인 것) |
1.2 이상 1.3 이하
1.3 초과 1.5 이하
1.5 초과 1.7 이하
1.7 초과 2.1 이하
2.1 초과 2.4 이하
2.4 초과 2.7 이하
2.7 초과 3.0 이하 |
[10.0이상 16.2미만] (98이상 159미만) [10.0이상 19.0미만] (98이상 186미만) [10.0이상 19.0미만] (98이상 186미만) [10.0이상 18.6미만] (98이상 183미만) [10.0이상 17.9미만] (98이상 176미만) [10.0이상 17.2미만] (98이상 169미만) [10.0이상 16.9미만] (98이상 166미만) |
1.2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상
1.5 이상
1.5 이상
1.6 이상 |
알루미늄선의 종류 |
도체의 지름 (㎜) |
인장강도 [㎏f/㎟](N/㎟) |
신장률 (%) |
반경 알루미늄선 (도전율이 61.0% 이상인 것) |
3.0 초과 3.5 이하
3.5 초과 3.8 이하
3.8 초과 4.1 이하
4.1 초과 5.2 이하
5.2 초과 6.6 이하
|
10.0이상 16.5미만 (98이상 162미만) 10.0이상 16.5미만 (98이상 162미만) 10.0이상 16.2미만 (98이상 159미만) 10.0이상 16.2미만 (98이상 159미만) 10.0이상 15.8미만 (98이상 155미만) |
1.7 이상
1.8 이상
1.9 이상
2.0 이상
2.2 이상
|
연 알루미늄선 (도전율의 61.0% 이상인 것) |
2.0 초과 5.2 이하
5.2 초과 7.0 이하
|
6.0이상 10.0미만 (59이상 98미만) 6.0이상 10.0미만 (59이상 98미만) |
10.0 이상
20.0 이상
|
가호 알루미늄합금선 (도전율이 52.0% 이상인 것) |
1.5 이상 6.6 이하 |
[31.5이상](309이상) |
- |
고력 알루미늄합금선 (도전율이 52.0% 이상인 것) |
1.5 이상 1.7 이하 1.7 초과 1.9 이상 1.9 초과 2.1 이하 2.1 초과 2.4 이하 2.4 초과 2.7 이하 2.7 초과 3.0 이하 3.0 초과 3.8 이하 3.8 초과 4.1 이하 4.1 초과 5.2 이하 5.2 초과 6.6 이하 |
[26.7이상](262이상) [26.4이상](259이상) [26.0이상](255이상) [25.7이상](252이상) [25.3이상](248이상) [25.0이상](245이상) [24.6이상](241이상) [24.3이상](238이상) [22.9이상](225이상) [22.2이상](218이상) |
- - - - - - - - - - |
내열 알루미늄합금선 (도전율이 57.0% 이상인 것) |
1.2 이상 1.3 이하 1.3 초과 1.7 이하 1.7 초과 2.1 이하 2.1 초과 2.4 이하 2.4 초과 2.7 이하 2.7 초과 3.0 이하 3.0 초과 3.8 이하 3.8 초과 5.2 이하 5.2 초과 6.6 이하 |
[16.2이상](159이상) [19.0이상](186이상) [18.6이상](183이상) [17.9이상](176이상) [17.2이상](169이상) [16.9이상](166이상) [16.5이상](162이상) [16.2이상](159이상) [15.8이상](155이상) |
- - - - - - - - - |
고력 내열 알루미늄 합금선 (도전율이 53.0% 이상인 것 ) |
1.5 이상 1.7 이하 1.7 초과 1.9 이하 1.9 초과 2.1 이하 2.1 초과 2.4 이하 2.4 초과 2.7 이하 2.7 초과 3.0 이하 3.0 초과 3.8 이하 3.8 초과 4.1 이하 4.1 초과 5.2 이하 5.2 초과 6.6 이하 |
[26.7이상](262이상) [26.4이상](259이상) [26.0이상](255이상) [25.7이상](252이상) [25.3이상](248이상) [25.0이상](245이상) [24.6이상](241이상) [24.3이상](238이상) [22.9이상](225이상) [22.2이상](218이상) |
- - - - - - - - - - |
[부표 3] 강선 및 인바선
강선의 종류 |
도체의 지름 (㎜) |
인장강도 [㎏f/㎟](N/㎟) | |
초강력 알루미늄 복강선 |
5.0이상 |
[160.0이상](1,570이상) | |
특별 강력알루미늄 복강선 |
도전율이 20.0% 이상 23.0% 미만인 것 |
5.0이하 |
[135.0이상](1,320이상) |
도전율이 23.0% 이상인 것 |
5.0이하 |
[130.0이상](1,270이상) | |
강력 알루미늄 복강선 |
도전율이 22.0% 이상 27.0% 미만인 것 |
5.0이하 |
[125.0이상](1,230이상) |
도전율이 27.0% 이상인 것 |
5.0이하 |
[110.0이상](1,080이상) | |
보통 알루미늄 복강선 |
도전율이 30.0% 이상 35.0% 미만인 것 |
5.0이하 |
[90.0이상](883이상) |
도전율이 35.0% 이상 43.0%미만인 것 |
5.0이하 |
[70.0이상](686이상) | |
도전율이 43.0% 이상인 것 |
5.0이하 |
[40.0이상](392이상) | |
알루미늄 도금강선 |
|
2.3이하 2.3초과 2.9이하 2.9초과 3.5이하 3.5초과 3.7이하 3.7초과 5.0이하 |
[130.0이상](1,270이상) [126.5이상](1,240이상) [123.0이상](1,210이상) [119.0이상](1,170이상) [116.0이상](1,140이상) |
아연 도금강선 |
|
2.9이하 2.9초과 3.9이하 3.9초과 5.0이하 |
[125.0이상](1,320이상) [130.0이상](1,270이상) [125.0이상](1,230이상) |
알루미늄 복인바선 |
|
3.0이하 3.0초과 3.8이하 3.8초과 5.0이하 |
[105.0이상](1,030이상) [100.0이상](981이상) [95.0이상](932이상) |
아연도금 인바선 |
|
3.9이하 3.9초과 5.0이하 |
[110.0이상](1,080이상) [105.0이상](1,030이상) |
비고 : d도체의 지름(㎜를 단위로 한다)
[부표 4] 특별고압 절연전선의 전열체의 두께
도체의 공칭 단면적 |
절연체의 두께 (㎜) |
22 이상 38 이하 38 넘고 150 이하 150 넘고 500 이하 |
2.5 3.0 3.5 |
[부표 5] 고압절연전선․고압케이블 및 비행장 등화용 고압케이블의 절연체의 두께
사용전압 구 분 (V) |
도 체 |
절연체의 두께 (㎜) | |||
성형단선 및 연선 (공칭단면적㎟) |
단 선 (지름㎜) |
폴리에틸렌 혼합 물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고무 혼합물의 경우 |
천연고무혼합물의 경 우 |
부틸고무 혼합물의 경 우 | |
3,500 이하 |
8 이상 38 이하 38 초과 150 이하 150 초과 500 이하 325 초과 500 이하 500 초과 600 이하 600 초과 1,600 이하 1,600 초과 2,000 이하 2,000 초과 |
2.0 이상 3.2 이상 - - - - - - |
2.5(2.0) 3.0(2.5) 3.0(3.0) 4.0(3.0) 4,0 4.5 5.5 6.0 |
3.0 3.5 4.0 4.5 5.0 5.0 6.0 7.0 |
3.0 3.0 4.0 4.0 5.0 5.0 6.0 7.0 |
3,500을 넘는 것 |
8 이상 38 이하 38 초과 150 이하 150 초과 500 이하 500 초과 1,600 이하 1,600 초과 2,000 이하 2,000 초과 |
50 - - - - - |
4.0(2.0) 4.0(2.5) 4.5(3.0) 5.0 6.0 7.0 |
- - - - - |
5.0(4.0) 5.0 5.0 6.0 7.0 8.0 |
비고 1. 폴리에틸렌혼합물 또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혼합물의 경우의 난의 괄호내의 수치는 고압절연전선에 적용한다.
2. 부틸고무혼합물의 경우의 난의 괄호내의 수치는 비행장 등화용 고압케이블에 적용한다.
[부표 6] 저압절연전선․다심형전선 및 저압케이블의 절연체의 두께
도 체 |
절연체의 두께 (㎜) | ||||
성형전선 및 연선 (공칭단면적 ㎟) |
단선(지름㎜) |
비닐혼합물의 경우 |
폴리에틸렌 혼합물 또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혼합물의 경우 |
불소수지혼합물의 경우 |
천연고무혼합물․스틸렌부타디엔고무혼합물․부틸고무혼합물 또는 규소고무혼합물의 경우 |
0.75 이상 3.5 이하 3.5 초과 5.5 이하 5.5 초과 8 이하 8 초과 14 이하 14 초과 30 이하 30 초과 38 이하 38 초과 60 이하 60 초과 80 이하 80 초과 100 이하 100 초과 150 이하 150 초과 250 이하 250 초과 400 이하 400 초과 500 이하 500 초과 725 이하 725 초과 1,000 이하 1,000 초과 1,400 이하 1,400 초과 2,000 이하 2,000 초과 |
0.8 이상 2.0 이하 2.0 초과 2.6 초과 2.6 초과 3.2 이하 3.2 초과 4.0 이하 4.0 초과 5.0 이하 - - - - - - - - - - - - - |
0.8 1.0 1.2 1.4 1.6 1.8 1.8 2.0 2.0 2.2(1.6) 2.4(1.7) 2.6(1.9) 2.8 3.0 3.2 3.5 4.0 4.5 |
0.8 1.0 1.0 1.0 1.2 1.2 1.5 1.5 2.0 2.0 2.5 2.5 3.0 3.0 3.5 3.5 4.0 4.5 |
0.4 0.5 0.6 0.7 0.8 0.9 0.9 1.0 1.0 1.1 1.2 1.3 1.4 1.5 1.6 1.8 2.0 2.3 |
1.1 1.1 1.1 1.1 1.4 1.4 1.8 1.8 2.3 2.3 2.9 2.9 3.5 3.5 4.0 4.5 5.0 5.5 |
비고 : 괄호내의 수치는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에 적용한다.
[부표 7] 절연저항
절연체의 절연물의 종류 |
체적고유저항 (Ω-㎝) |
절연저항 (㏁-㎞) | |
비닐혼합물 |
5×1013 |
R=3.665×10-12
×ρlog10
| |
폴리에틸렌혼합물 |
표피전류가열용발열선 |
1×1014 | |
기타의 것 |
2.5×1015 | ||
불소수지혼합물 |
2.5×1015 | ||
천연고무혼합물 |
1×1015 | ||
부틸고무혼합물 |
5×1014 (1×1014) | ||
에틸렌프로필렌고무혼합물 |
5×1014 (1×1014) | ||
스틸렌부타디엔 고무혼합물 또는 규소 고무혼합물 |
1×1014 | ||
무기절연물 |
1.5×1015 |
비고 : 1. 괄호내의 수치는 고압절연전선 및 인하용 고압절연전선에 적용한다.
2. R은 20℃에서의 절연저항
3. D는 절연체의 바깥지름(㎜를 단위로 한다)
4. p는 20℃에서의 체적고유저항(Ω-㎝를 단위로 한다)
5. d는 절연체의 안지름(㎜를 단위로 한다)
6. 일 때는
로 계산한다.
[부표 8] 고압용의 캡타이어케이블의 절연체의 두께
사용전압의 구분 |
도체의 공칭 단면적 (㎜) |
절연체의 두께(㎜) | |
부틸고무혼합물의 경우 |
에틸렌프로필렌고무혼합물의 경우 | ||
1,500 이하 |
1.4 이상 38 이하 38 초과 150 이하 150 초과 325 이하 |
3.0 3.5 4.0 |
2.5 3.0 3.5 |
1,500 초과 3,500 이하 |
14 이상 38 이하 38 초과 150 이하 150 초과 325 이하 |
3.5 4.0 4.5 |
3.0 3.5 4.0 |
3,500 초과하는 것 |
1.4 이상 150 이하 150 초과 325 이하 |
6.0 6.5 |
5.0 5.5 |
[부표 9] 저압용 캡타이어케이블의 절연체의 두께
도체의 공칭 단면적 (㎟) |
절연체의 두께 (㎜) | ||||
비닐혼합물의 경우 |
폴리에틸렌혼합물 또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혼합물의 경우 |
천연고무혼합물 또는 부틸고무혼합물의 경우 | |||
비닐캡타이어케이블 또는 2종 클로로프렌캡타이어 케이블 |
3종 클로로프렌캡타이어케이블 또는 4종 클로로프렌캡타이어케이블 |
비닐캡타이어케이블 또는 2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케이블 |
3종 클로로프렌캡타이어케이블 또는 4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케이블 | ||
0.75 이상 3.5 이하 3.5 초과 5.5 이하 5.5 초과 8 이하 8 초과 14 이하 14 초과 22 이하 22 초과 30 이하 30 초과 38 이하 38 초과 60 이하 60 초과 100 이하 100 초과 150 이하 150 초과 250 이하 250 초과 400 이하 400 초과 500 이하 |
0.8 1.0 1.2 1.4 1.6 1.6 1.8 1.8 2.0 2.2 2.4 2.6 2.8 |
0.8 1.0 1.0 1.0 1.2 1.2 1.2 1.5 2.0 2.0 2.5 2.5 3.0 |
1.2 1.2 1.2 1.2 1.6 1.6 1.6 2.1 2.1 2.7 3.3 3.3 3.8 |
1.1 1.1 1.1 1.4 1.4 1.8 1.8 1.8 2.3 2.3 2.9 2.9 3.5 |
1.4 1.4 1.4 1.4 1.8 1.8 1.8 2.3 2.3 2.9 3.5 3.5 4.0 |
[부표 10] 외장․동관 및 덕트의 두께
전선의 종류 |
외장․동관 또는 덕트의 두께(㎜) | |
고압용의 캡타 이어케이블 |
2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2종 클로로선폰화폴리에틸렌 켑타이어 케이블 |
|
3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3종 클로로설폰화폴리에틸렌 캡타이어케이블 |
| |
저압용의 캡타 이어케이블 또는 용접용 케이블 |
비닐캡타이어케이블․2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케이블․2종 클로로선폰화 폴리에틸렌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홀더용의 용접용 케이블 |
|
전선의 종류 |
외장․동관 또는 덕트의 두께 (㎜) | ||
저압용의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용접용 케이블 |
3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3종 클로로선폰화폴리에틸렌 켑타이어 케이블 |
| |
4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4종 클로로설폰화폴리에틸렌 캡타이어케이블 |
| ||
저압케이블 |
비닐외장케이블․폴리에틸렌 외장케이블 또는 클로로프렌 외장케이블 |
(1.5미만인 경우에는 1.5) | |
MI케이블 |
(0.3 미만인 경우에는 0.3) | ||
저압케이블 또는 고압케이블 |
연피케이블 |
(1.0 미만인 경우에는 1.0) | |
알루미늄피케이블 |
(0.9 미만인 경우에는 0.9) | ||
고압케이블 |
CD케이블 |
평활 덕트 |
(2.4 미만인 경우에는 2.4) |
파상 덕트 |
(1.5 미만인 경우에는 1.5) | ||
비닐외장케이블, 폴리에틸렌 외장케이블 또는 클로로프렌 외장케이블 |
트리폴렉스형케이블 |
(1.5 미만인 경우에는 1.5) | |
기타의 것 |
(1.5 미만인 경우에는 1.5) | ||
비행장 표시등용 고압케이블 |
(1.5 미만인 경우에는 1.5) |
비고 1.D는 둥근형의 것은 외장의 안지름, 기타의 것은 외장의 안짧은 지름과 안긴지름의 합을 2로 나눈 값(㎜를 단위로 한다)
2. 외장․동관 및 덕트의 두께는 소수점 2자리 이하를 4사 5입한 값으로 한다.
[부표 11] 저압 케이블의 시험전압
도 체 |
시험전압 (교류V) | |
성형단선 및 연선 (공칭단면적㎟) |
단 선 (지름 ㎜) | |
8 이하 8 초과 30 이하 30 초과 80 이하 80 초과 400 이하 400 초과 |
3.2 이하 3.2 초과 5 이하 - - - |
1,500 2,000 2,500 3,000 3,500 |
[부표 12] MI케이블의 절연체의 두께
도체의 공칭단면적 (㎟) |
절연체의 두께(㎜) | ||
사용전압이 300V 이하인 것 |
사용전압이 300V를 넘는 것 | ||
단심 또는 2심인 것 |
3심 이상 7심 이하인 것 | ||
0.1 이상 2.5 이하 2.5 초과 4.0 이하 4.0 초과 150.0 이하 |
0.65 0.65 - |
0.75 - - |
1.30 1.30 1.30 |
[부표 13] 고압용의 연피케이블 및 알루미늄피케이블 (단심)
사용전압의 구분(V) |
도체의 공칭 단면적(㎟) |
절연지의 두께(㎜) |
외장의 두께(㎜) |
쥬트의 두께(㎜) | |
연 |
알루미늄 | ||||
3,500 이하인 것 |
250 이하 250 초과 325 이하 325 초과 400 이하 400 초과 500 이하 500 초과 600 이하 600 초과 800 이하 800 초과 1,000 이하 |
2.5 2.5 2.5 2.5 2.5 2.5 2.5 |
1.6 1.7 1.7 1.8 1.9 2.1 2.2 |
1.2 1.2 1.3 1.3 1.4 1.5 1.6 |
1.5 1.5 1.5 1.5 2.0 2.0 2.0 |
3,500을 넘는 것 |
250 이하 250 초과 325 이하 325 초과 400 이하 400 초과 500 이하 500 초과 600 이하 600 초과 800 이하 800 초과 1,000 이하 |
3.0 3.0 3.0 3.0 3.0 3.0 3.0 |
1.6 1.7 1.8 1.9 1.9 2.1 2.2 |
1.2 1.2 1.3 1.3 1.4 1.5 1.6 |
1.5 1.5 1.5 1.5 2.0 2.0 2.0 |
[부표 14] 사용전압이 3,500V 이하인 고압용의 연피케이블 및 알루미늄피케이블(2심)
도체의 공칭 단면적 (㎟) |
절연지의 두께(㎜) |
외장의 두께(㎜) |
쥬트의 두께(㎜) | ||
도체 상호간 |
도체 외장간 |
연 |
알루미늄 | ||
8 이하 8 초과 22 이하 22 초과 50 이하 50 초과 60 이하 |
3.0 3.0 3.0 3.0 |
2.0 2.0 2.0 2.0 |
1.3 1.3 1.4 1.4 |
0.9 1.0 1.0 1.1 |
1.5 1.5 1.5 1.5 |
[부표 15] 고압용의 연피케이블 및 알루미늄피케이블(3심)
사용전압의 구분(V) |
도체의 공칭 단면적 (㎟) |
절연지의 두께 (㎜) |
외장의 두께 (㎜) |
쥬트의 두께(㎜) | ||
도 체 상호간 |
도 체 외장간 |
연 |
알루미늄 | |||
3,500 이하인 것 |
22 이하 22 초과 38 이하 38 초과 50 이하 50 초과 60 이하 60 초과 80 이하 80 초과 100 이하 100 초과 125 이하 125 초과 150 이하 150 초과 200 이하 200 초과 250 이하 250 초과 325 이하 |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
2.0 2.0 2.0 2.0 2.0 2.0 2.0 2.0 2.3 2.3 2.3 |
1.3 1.4 1.5 1.6 1.7 1.7 1.8 1.9 2.0 2.1 2.3 |
1.0 1.1 1.1 1.1 1.2 1.3 1.3 1.4 1.5 1.5 1.6 |
1.5 1.5 1.5 1.5 1.5 1.5 1.5 1.5 2.0 2.0 2.0 |
3,500을 넘는 것 |
22 이하 22 초과 38 이하 38 초과 80 이하 80 초과 100 이하 100 초과 120 이하 125 초과 150 이하 150 초과 200 이하 200 초과 250 이하 250 초과 325 이하 |
4.5 4.5 4.5 4.5 4.5 4.5 4.5 4.5 4.5 |
3.1 3.1 3.1 3.1 3.1 3.1 3.1 3.1 3.1 |
1.5 1.6 1.7 1.8 1.9 2.0 2.1 2.2 2.4 |
1.1 1.2 1.2 1.3 1.4 1.4 1.5 1.6 1.7 |
1.5 1.5 1.5 1.5 2.0 2.0 2.0 2.0 2.0 |
[부표 16] 금속선의 인장강도
지 름(㎜) |
인 장 강 도 (kgf/㎟) | |||||||||||
규소 동선 |
C도금 |
캐드뮴 동 합 금 선 |
내열동
합금선 |
선내열 알루미늄합금선 |
특별강력동복강선 |
강력동복강선 | ||||||
도전율이 35% 이상 40% 미만 인 것 |
도전율이 40% 이상 45% 미만 인 것 |
도전율이 45% 이상 인 것 |
도전율이 19% 이상 29% 미만 인 것 |
도전율이 29% 이상 39% 미만 인 것 |
도전율이 39% 이상 인 것 |
도전율이 29% 이상 39% 미만 인 것 |
도전율이 39% 이상 인 것 | |||||
0.9 이하 0.9 초과 1.0 이하 1.0 초과 1.2 이하 1.2 초과 1.4 이하 1.4 초과 1.6 이하 1.6 초과 1.8 이하 1.8 초과 2.0 이하 2.0 초과 2.3 이하 2.3 초과 2.6 이하 2.6 초가 2.9 이하 2.9 초과 3.2 이하 3.2 초과 3.5 이하 3.5 초과 3.7 이하 3.7 초과 4.0 이하 4.0 초과 4.3 이하 4.3 초과 4.5 이하 4.5 초과 5.0 이하 |
66.5 66.5 66.5 66.5 65.9 65.3 64.7 63.8 62.9 62.0 61.0 60.2 59.6 58.7 58.3 57.8 56.9 |
91.0 91.0 91.0 90.9 90.7 90.6 90.4 90.2 89.9 89.7 89.4 89.2 89.0 88.8 88.6 88.4 88.0 |
86.0 86.0 86.0 85.8 85.4 85.1 84.8 84.3 83.8 83.4 82.9 82.4 82.1 81.6 81.1 80.8 80.0 |
77.2 77.2 77.2 76.8 76.5 76.1 75.7 75.1 74.6 74.0 73.4 72.9 72.5 71.9 71.2 71.0 70.0 |
61.6 61.6 61.6 61.6 60.9 60.3 59.6 58.6 57.6 56.6 55.6 54.7 54.0 53.0 52.4 52.0 51.1 |
46.1 46.0 45.8 45.6 45.3 45.1 44.9 44.6 44.2 43.9 43.6 43.2 43.0 42.7 42.4 42.2 41.6 |
16.2 16.2 16.2 19.0 19.0 19.0 18.6 18.3 17.9 17.2 16.5 16.5 16.5 16.2 16.2 16.2 16.2 |
151.0 151.0 151.0 151.0 151.0 151.0 151.0 148.0 145.0 141.0 137.0 132.0 - - - - - |
126.0 126.0 126.0 126.0 126.0 126.0 126.0 126.0 126.0 123.0 120.0 117.0 115.0 112.0 109.0 107.0 102.0 |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16.0 112.0 108.0 106.0 103.0 101.0 99.0 97.0 96.0 93.0 |
114.0 114.0 114.0 114.0 114.0 114.0 114.0 110.0 106.0 102.0 99.0 96.4 94.6 92.3 90.2 88.5 85.6 |
108.0 108.0 108.0 108.0 108.0 108.0 108.0 102.0 97.5 93.6 90.8 88.0 86.3 84.0 81.6 80.0 76.8 |
비고 : 사용단위(kgf/㎟)
지 름(㎜) |
인 장 강 도 (N/㎟) | ||||||||||
규소 동선 |
C도금 |
캐드뮴 동 합 금 선 |
내열동
합금선 |
특별강력동복강선 |
강력동복강선 | ||||||
도전율이 35% 이상 40% 미만 인 것 |
도전율이 40% 이상 45% 미만 인 것 |
도전율이 45% 이상 인 것 |
도전율이 19% 이상 29% 미만 인 것 |
도전율이 29% 이상 39% 미만 인 것 |
도전율이 39% 이상 인 것 |
도전율이 29% 이상 39% 미만 인 것 |
도전율이 39% 이상 인 것 | ||||
0.9 이하 0.9 초과 1.0 이하 1.0 초과 1.2 이하 1.2 초과 1.4 이하 1.4 초과 1.6 이하 1.6 초과 1.8 이하 1.8 초과 2.0 이하 2.0 초과 2.3 이하 2.3 초과 2.6 이하 2.6 초가 2.9 이하 2.9 초과 3.2 이하 3.2 초과 3.5 이하 3.5 초과 3.7 이하 3.7 초과 4.0 이하 4.0 초과 4.3 이하 4.3 초과 4.5 이하 4.5 초과 5.0 이하 |
652 652 652 652 646 640 634 626 617 608 598 590 584 576 572 567 558 |
892 892 892 891 889 888 887 885 882 880 877 875 873 871 869 867 863 |
843 843 843 841 837 835 832 827 822 818 813 808 805 800 795 792 785 |
757 757 757 753 750 746 742 736 732 726 720 715 711 705 698 696 686 |
604 604 604 604 597 591 584 575 565 555 545 536 530 520 514 510 501 |
452 451 449 447 444 442 440 437 433 431 428 424 422 419 416 414 408 |
1,480 1,480 1,480 1,480 1,480 1,480 1,480 1,450 1,420 1,380 1,340 1,290 - - - - - |
1,240 1,240 1,240 1,240 1,240 1,240 1,240 1,240 1,240 1,210 1,180 1,150 1,130 1,100 1,070 1,050 1,000 |
1,180 1,180 1,180 1,180 1,180 1,180 1,180 1,140 1,100 1,060 1,040 1,010 990 971 951 941 912 |
1,120 1,120 1,120 1,120 1,120 1,120 1,120 1,080 1,040 1,000 971 945 928 905 883 868 839 |
1060 1060 1060 1060 1060 1060 1060 1000 956 918 890 863 846 824 800 785 753 |
비고 : 사용단위(N/㎟)
[부표 17] 인하용 절연전선의 절연체의 두께
가. 고압용
사용전압의 구분(V) |
도 체 |
절연체의 두께(㎜) | ||
연선(공칭 단면적 ㎟) |
단 선 (지름㎜) |
폴리에틸렌혼합물 또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혼합물의 경우 |
부틸고무혼합물의 경우 | |
3,500 이하 |
5.5 이상 30 이하 |
2.0 이상 5.0 이하 |
2.0 |
3.0 |
3,500을 넘는 것 |
5.5 이상 30 이하 |
2.0 이상 5.0 이하 |
3.0 |
4.0 |
나. 특별고압용(25,000V 이하의 중성선 접지식의 것)
도 체 |
절연체의 두께(㎜) | ||
연선 공칭 단면적 (㎟) |
단 선 (지름㎜) |
폴리에틸렌혼합물 또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혼합물의 경우 |
부틸고무혼합물의 경우 |
5.5 이상 3.0 이하 |
2.0 이상 3.2 이하 |
4.0 |
5.0 |
[부표 18] 철주 또는 철탑의 구성재의 허용응력
허용응력의 종류 |
허용응력 (㎏f/㎠) | ||
허용인장 응 력 |
|
| |
|
| ||
허용압축 응력 또는 허용굽힘 응력 |
| ||
허용전단 응 력 |
|
|
KS D 3503(1993)에 규정한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중 SS400 또는 SS490을 볼트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1.25배의 값 |
|
| ||
허용지압응력 |
|
비고 1. σY는 강재의 항복점(㎏f/㎠를 단위로 한다)
2. σB는 강재의 인장강도(㎏f/㎠를 단위로 한다)
[부표 19] 철주 또는 철탑의 구성재의 허용좌굴응력을 정하는 계산식의 수치
구성재의 구분 항복점 (N/㎠) |
강관․상형단면재․십자형단면재 기타의 편심이 극히 적은 것 |
단일 산형 강주주재 기타의 편심이 비교적 적은 것 |
편측 플랜지 접합 산형 강복재 기타의 편심이 많은 것 | ||||||||||
Λ |
σkao |
K1 |
K2 |
Λ |
σkao |
K1 |
K2 |
Λ |
σkao |
K1 |
K2 |
σka의 상한값 | |
235 145 255 265 275 285 295 305 315 325 335 345 355 365 375 380 390 400 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 490 |
100 95 95 95 90 90 90 85 85 85 85 80 80 80 80 80 75 75 75 75 75 70 70 70 70 70 70 |
156 163 170 176 183 190 196 203 210 216 223 230 236 243 250 253 260 266 273 280 286 293 300 306 313 320 326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
63 66 74 81 84 93 100 103 112 121 130 132 142 153 164 168 168 179 191 204 215 211 225 237 251 266 278 |
110 105 105 100 100 100 95 95 95 90 90 90 90 85 85 85 85 85 80 80 80 80 80 80 75 75 75 |
148 154 160 166 173 179 185 192 198 204 211 217 223 229 236 239 245 252 258 264 270 277 283 289 296 302 308 |
2 2 2 2 3 3 3 3 3 3 4 4 4 4 4 4 4 5 5 5 5 5 5 6 6 6 6 |
57 61 67 71 77 83 88 95 102 107 114 122 129 134 144 148 156 165 170 179 189 200 209 217 224 235 246 |
140 135 135 130 130 125 125 125 120 120 115 115 115 115 110 110 110 105 105 105 105 100 100 100 100 100 95 |
147 153 159 165 172 178 184 190 197 203 209 215 222 228 234 237 244 250 256 262 269 275 281 287 294 300 306 |
71 76 80 85 90 95 100 104 110 115 121 126 132 137 143 146 152 158 163 169 176 182 188 194 201 207 214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
94 98 102 106 110 114 118 122 126 130 134 138 142 146 150 152 156 160 164 168 172 176 180 184 188 192 196 |
[부표 20] 철근콘크리트주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공시체의 압축강도 [㎏f/㎠](MPa) |
허용굽힘압축응력 [㎏f/㎠](MPa) |
허용전단응력 [㎏f/㎠](MPa) |
[180이상 210미만](17.7이상 20.6미만) |
[60](5.88) |
[6.0](0.59) |
[210이상 240미만](20.6이상 23.5미만) |
[70](6.86) |
[6.5](0.64) |
[240 이상](23.5이상) |
[80](7.84) |
[7.0](0.69) |
비고:공시체의 압축강도는 재령 28의 3개 이상의 공시체를 KS F 2405(1997)에 규정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의하여 시험을 하여 구한 압축강도의 평균값으로 한다.
[부표 21] 철근콘크리트주의 구성재의 콘크리트의 형강․평강 또는 봉강에 대한 허용 부착 응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MPa) |
부착응력 [㎏f/㎠](MPa) | ||
형강 또는평강의 경우 |
봉강의 경우 |
이형봉강의 경우 | |
[180이상 210미만](17.7이상 20.6미만) |
[3.5](0.34) |
[7.0](0.69) |
[14](1.37) |
[210이상 240미만](20.6이상 23.5미만) |
[3.7](0.36) |
[7.5](0.74) |
[15](1.47) |
[240 이상](23.5이상) |
[4.0](0.39) |
[8.0](0.78) |
[16](1.57) |
비고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재령 28의 3개 이상의 공시체를 KS F 2405(1997)에 규정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의하여 시험을 하여 구한 압축강도의 평균값으로 한다.
[부표 22] 철근콘크리트주를 구성하는 형강․평강 또는 봉강의 허용응력
종 류 |
기 호 |
두 께 (㎜) |
허용인장응력 (㎏/㎠) |
허용압축응력 (㎏/㎠) | |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03 |
SS400 |
16 이하 |
1,650 |
1,650 | |
16 초과 40 이하 |
1,600 |
1,600 | |||
SS490 |
16 이하 |
1,900 |
1,900 | ||
16 초과 40 이하 |
1,850 |
1,850 | |||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KSD 3504 |
열간압연 봉 강 |
SR 24 |
- |
1,600 |
1,600 |
SR 30 |
- |
2,000 |
2,000 | ||
열간압연 이형봉강 |
SD 24 |
- |
1,600 |
1,600 | |
SD 30 |
- |
2,000 |
2,000 | ||
SD 35 |
- |
2,300 |
2,300 |
[부표 23] 방호구에 사용하는 재료
재료의 종류 |
구 비 하 여 야 할 사 항 |
비닐혼합물 |
1. 실온에서 인장강도 및 신장률의 시험을 하였을 때에 인장강도가 1.0㎏f/㎟(9.8N/㎟) 이상, 신장률이 100% 이상일 것 2. 100±2℃로 48시간 가열한 후 60시간 이내에 실온으로 12시간 방치한 후 1의 시험을 하였을 때에 인장강도가 1의 시험 때에 얻은 값의 85% 이상, 신장률이 1의 시험 때에 얻은 값의 80% 이상일 것 |
폴리에틸렌혼합물 |
1. 실온에서 인장강도 및 신장률의 시험을 하였을 때에 인장강도가 1.0㎏f/㎟(9.8N/㎟) 이상, 신장률이 350% 이상일 것 2. 90±2℃로 96시간 가열한 후 60시간 이내에 실온으로 12시간 방치한 후 1의 시험을 하였을 때에 인장강도가 1의 시험 때에 얻은 값의 60% 이상일 것 |
부틸고무혼합물 |
1. 실온에서 인장강도 및 신장률의 시험을 하였을 때에 인장강도가 0.4㎏f/㎟(3.9N/㎟) 이상, 신장률이 300% 이상일 것 2. 100±2℃로 96시간 가열한 후 60시간 이내에 실온으로 12시간 방치한 후 1의 시험을 하였을 때에 인장강도 및 신장률이 각각 1의 시험 때에 얻은 값의 80% 이상일 것 |
[부표 24] 좌상에서 사용한 쥬트 및 강대 또는 황동대의 두께
외층의 바깥지름 (㎜) |
강대 또는 황동대의 두께 (㎜) |
알루미늄대의 두께 (㎜) |
허용 공차 (%) |
30 이하 30 초과 70 이하 70 초과 |
0.2 (0.4) 0.5 0.8 |
0.5 (0.4) 0.5 0.8 |
±10 |
비고 : 괄호내의 수치는 개장 중 성형 가공한 것에 적용한다. <개정 2005. 1. 10>
[부표 25] 방식층 또는 좌상으로 사용하는 비닐혼합물․폴리에틸렌 혼합물·저독성 난연폴리올레핀 혼합물 또는 고무혼합물의 두께<개정 2005. 1. 10>
사용전압의 구분(V) |
좌상(세퍼레이션 시스)의 공칭두께(t) (㎜) |
방식층의 공칭 두께(t) (㎜) |
최소 두께 (㎜) |
30,000 이하 |
0.02 DU + 0.6 (1.0미만인 경우는 1.0) |
0.035 D + 1.0 (1.8미만인 경우는 1.8) |
0.8t - 0.2 |
비고 : DU 는 세퍼레이션 시스 아래의 계산외경, D는 방식층 아래의 계산외경 (전기용품안전기준 K 60502-1의 부속서 A 참조) | |||
사용전압의 구분(V) |
좌상 및 방식층의 두께 (㎜) |
허용 공차 (㎜) | |
(포테이프 층이 있는 것) |
(포테이프 층이 없는 것) | ||
30,000초과100,000이하 100,000 초과 |
3.0 |
3.5 |
평균치가 90% 이상일 경우에 한하여 -30% |
'전기 관계 > 전기설비기술기준 부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설비기술기준 부표 (2) (0) | 2009.07.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