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정서가 정상이면 질병에 이르는 일도 없고 오장육부의 기능 활동에도 유익하다고 보는 것이다. 예컨대 기쁨(喜)은 심장에 작용하여 정상적인 경우 혈기를 잘 통하게 하고 영위(營衛)를 강하게 하며 기분을 너그럽게 만든다. 노여움(怒)은 간에 작용하여 어떤 상황 아래서는 기를 발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 폐기가 소통해서 몸의 구석구석까지 가 닿게 한다.
그러나 만약 정도를 지나친 정서가 격렬하게 또는 길게 계속되면 오장육부는 여러 가지 질병에 걸리기 쉽게 된다.
<소문:음양응상대론>에서
"노여움은 간을 손상하고(怒傷肝)
기쁨은 심장을 손상하며(喜傷心),
생각은 비장을 손상하고(思傷脾)
걱정은 폐를 손상하며(憂傷肺)
두려움은 신장을 손상한다(恐傷腎)"고 하였고,
<소문:거통론>에서는
"성을 내면 기가 오르고(怒卽氣上)
기뻐하면 기가 이완되며(喜卽氣緩),
슬퍼하면 기가 소모되고(悲卽氣消)
두려워하면 기가 아래로 내려가며(恐卽氣下),
놀라면 기가 흐트러지고(驚卽氣亂)
생각하면 기사 엉긴다(思卽氣結)"고 하였다.
이것은 정서의 변화가 생리기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이제 한의학에서 말하는 정서 변화 즉, 칠정이 각기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한의학 최고의 원전인 <황제내경>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1) 노즉기상(怒卽氣上: 성내면 기가 오른다), 노상간(怒傷肝)
성을 내면 기가 모두 위로 오른다고 하였다. 즉 성을 낸다는 것은 氣와 血이 모두 역상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말이다. 성을 자주 내든가 심한 감정의 흥분은 오장 중 血을 저장하고 있는 간(肝)을 상한다고도 하였다.어떤 목적이나 희망이 이루어지지 않은 탓에 긴장상태가 점차 높아지면 마침내 노여움(怒)이 나타난다. 짧은 시간의 가벼운 노기는 억압된 정서 또는 간기(肝氣)의 소설(疏泄)에 유리하지만, 지나치게 성내면 간기의 발산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진다.
간기의 상승, 발산이 지나치면 현기증이나 두통을 일으킨다. 나아가 간이 피를 간직할 수 없게 되며, 기를 따라 피가 역행하면 피를 토한다. 또 기와 혈이 함께 머리로 오르면 눈이나 귓구멍 등이 혼란을 일으켜 기절이나 뇌졸중에 이르기도 한다.간기가 옆으로 역류하여 비장을 범하면 만성 설사를 일으킨다. 胃를 범하면 위염이나 위궤양을 일으키며
구토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간이나 담의 기능이 이상흥분되면 행동이 동적이며 용감해지고, 감정적으로는 성을 잘 내고 흥분되기 쉬우며, 간담(肝膽)이 약해지면 겁이 많아져서 불안해 하고 결단력이 없어 우유부단해진다.
(2) 희즉기완(喜卽氣緩:기뻐하면 기가 느슨해진다), 희상심(喜傷心)
즐거우면 氣의 순행이 화평해지니 마음이 너그러워지고 피의 순환도 잘 되어 신체내에 울체되는 것이 없어지므로 이런 상태를 기가 완(緩)해진 것이라 하였다. 즉 모든 마음의 불만이나 생리기능의 불균형 상태가 해소된다는 뜻이다.그러나 희락도 지나치면 신기(神氣)가 소모 분산되어 올바른 신(神)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며 오장 중신을 간직한 심(心)의 기능마저 상하게 한다고 하였다.
기쁨(喜)은 목적을 이룩해서 긴장상태가 풀어졌을 때 또는 의외로 무엇인가를 획득했을 때 나타나는 정서이다. 기쁨은 건강에 유익하지만, 갑자기 너무 지나치게 기뻐하면 몸을 해칠 수도 있다. 갑작스러운 기쁨은 심기가 이완된 채 평정상태로 되돌아오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정신이 산산히 흩어져 바보스런 웃음을 일으키기도 한다. 정상적인 조정의
한계를 벗어난 기쁨은 심신을 흩어지게 하므로 심한 경우 죽는 수도 있다. 임상에서 심장병 환자가 갑작스럽게 너무 기뻐하다가 급기야 사망하는 케이스가 종종 있다.
(3) 사즉기결(思卽氣結: 생각이 과도하면 기가 울결된다), 사상비(思傷脾)
한 가지 일을 골똘히 생각하게 되면 기가 순행하지 못하고 한 곳에 맺힌다고 하였다. 그리고 오장 중 소화기능을 주관하는 비(脾)를 상한다고 하였다.
생각은 정신을 집중시켜서 사물을 헤아리는 것이다. 사려가 정도를 지나치면 갖가지 질병을 일으킨다. <황제내경>에 "생각하면 마음에 신이 돌아온 채 나가지 않으며 정기(正氣)가 정체하여 움직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기가 응결한다"고 하였다. 고려(苦慮), 고뇌(苦惱)가 깊으면 의지는 굳어지며 정신은 집중상태가 되지만,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몸에 기가 한 곳에 몰려서 풀리지 않는 울결(鬱結)이라는 병리변화가 일어난다.
그밖에 지나치게 사려하면 비위의 운동기능이 손상된다.
<여씨춘추>에 다음과 같은 얘기가 있다. 제나라 민왕(閔王)이 고뇌를 한 나머지 비장과 위의 기능이 손상되고, 그것 때문에 소화불량이 되었는데 오랫동안 낫지 않았다. 그런데 문지(文摯)라는 명의가 임금을 격노시켜 기를 발산하게 했더니 구토를 하고 나서 소화불량이 나았다고 한다. 이는 노승사(怒勝思:노여움은 사려를 이기고)의 치법을 응용한 예로, 의사가 교묘하게 언어로써 제왕의 정서에 어긋나게 하고 행위로써 암시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병이 갑자기 낫도록 한 것이다.
(4) 우즉기폐색(憂卽氣閉塞: 근심하면 기가 막힌다), 우상폐(憂傷肺)
근심이나 걱정이 있으면 기의 순행이 막혀 폐색(閉塞)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기가 폐색되면 오장 중 肺와 비(脾)를 상한다고 하였으니 근심 걱정 등의 감정적 갈등은 호흡기능과 소화기능을 해친다는 뜻이다.
우수(憂愁)로 인하여 肺를 상하면 기(氣)가 소침(消沈)하여 순행이 이루어지지 않아 심흉부가 폐색됨으로써 불안하고 잠을 이루지 못한다. 또 근심 걱정이 해소되지 않으면 의(意)가 손상되고, 意가 손상되면 명치부위가 답답하며 사지를 움직이지 못한다.
(5) 비즉기소(悲卽氣消: 슬퍼하면 기가 소진된다), 비상폐(悲傷肺)
슬픈 감정이 있으면 기가 가슴속에 막혀 흩어지지 못하므로 열기(熱氣)로 변하여 소실되면서 肺와 心의 두 장기를 모두 상하게 한다고 하였다. 또 호흡기나 순환기계의 병이 생기면 감정도 감상적이 되는 경향이 있다고도 하였다.
슬픔은 희망이나 목적을 상실했을 때 생기며, 그 정도는 상실한 것의 가치와 관련된다. 지나치게 슬퍼하면 심장과 폐가 막혀 우울해지고 의기소침해지기도 한다. 심장은 혈을 맡고 있는데 영기(營氣)에 속하며, 폐는 기를 맡고 있는데 위기(衛氣)에 속하므로 심장과 폐의 울혈은 영위의 기를 막기 쉽다. 우울이 오래 계속되면 열이 날 때도 있다.
<황제내경>에 "슬퍼하면 심장계가 옥죄어서 폐엽(肺葉)이 열리지 않는다. 그러면 상초(上焦)가 통하지 않게 되고 영위의 기가 발산되지 못하여 열기가 속에 틀어박힌다. 그렇기 때문에 기가 소진된다"고 하였다. 열이 속에 틀어박히면, 음(陰)을 손상하고 氣를 소모시키므로 상체의 폐가 허약해지고 하반신에서는 다리와 허리가 말을 듣지 않게 된다. 한의학에서는 과도한 슬픔은 장의 기를 끊어지게 하여 사람을 사망하게 하는 수도 있다고 여긴다.
(6) 공즉기하(恐卽氣下: 두려워하면 기가 내려간다), 공상신(恐傷腎)
두려운 마음이 있으면 기가 아래로 처져 갇히게 되고 위로 오르지 못한다고 하였다. 두려운 감정은 오장 중 생식기와 내분비기능을 주관하는 신(腎)을 상한다고 하였다. 또 두려움은 心을 상한다고 하였으며, 신(神)이 상하면 역시 두려움이 떠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血이 不足하거나 肝이 虛弱하여도 두려움이 그치지 않는다고 하였다.
공포는 도망갈 수 없는 경우를 빠져나오려고 하는 심리상태이며, 또 정신이 극도로 긴장하여 겁을 내고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황제내경>에 "공포를 제거하지 않으면 정(精)이 손상된다. 정이 손상되면 뼈가 약해져 자주 유정(遺精)을 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지나친 공포는 腎氣를 해쳐 정력을 약하게 만든다. 신장은 뼈를 맡고 있고 精을 간직하므로, 공포로 신장이 손상되면 당연히 뼈가 약해지고 자주 유정을 하게 된다.
이를테면 갑자기 위협을 받아 공포를 느끼게 되면 정신이상(精神異常)이나 유정, 음위, 야뇨증, 설사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을 임상에서 흔히 보게 된다.
'침구학 > 침구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의학으로 본 시간대별 건강 비법 (0) | 2011.09.09 |
---|---|
육장 육부 (0) | 2011.09.09 |
"오행의 상생 상극과 장기의 억압.조장관계" (0) | 2011.09.09 |
음양오행 도표 (0) | 2011.09.09 |
◈ 오행의 여러 종류 및 속성 일람표. (0) | 2011.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