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tically Modified Crops Pose Dilemma for Developing Countries
(유전자변형 농작물, 최빈국들에 어려운 선택 요구)
By Lisa Schlein
Geneva
11 May 2005
A new study by the UN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UNCTAD, highlights the dilemma for developing countries posed by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The study urges developing countries to balance the potential benefits and risks from genetically modified crops so as not to endanger the food supply for their populations.
(유엔무역개발회의, UNCTAD의 한 새로운 연구보고서는 유전자변형 농작물이 개발 도상국들에게 노정하고있는 딜레마를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이 연구보고서는 개발 도상국들에게 이같은 유전자 변형 농작물의 잠재적인 이익과 위험을 균형되게해 그러한 식량 공급이 위태로운 것이 되지않도록 촉구하고있습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소식입니다.)
The UNCTAD study reports genetically modified crops pose especially difficult choices for the world's poorer nations. on the one hand, it says farming based o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may produce bigger and better crops, improve profits for farmers, ease domestic food shortages and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new quality products.
(UNCTAD보고서는, 유전자변형 농작물이 특히 세계 최빈국들에게 아주 어려운 선택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 연구 보고서는 유전자변형 농작물에 의한 영농이 작물을 더 크고 더 튼실하게 자라게 하며, 농민들에게 더 많은 이익을 가져다주고, 국내의 식량부족을 완화해주며, 또 새로운 좋은 품질의 작물 생산을 촉진할지도 모른다고 일단 전제하고, )
But, the study says developing countries have to weigh these benefits against the potential risks. It says the new technology could disrupt traditional agricultural practices, limit access to seeds, and pose unpredictable environmental and health problems.
(그러나, 개발도상국들은 이 같은 이익을 잠재적인 위험과 비교해서 잘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 보고서는, 유전자 변형이라는 새로운 기술은 기존의 전통적인 영농방법에 혼란을 가져오고, 종자의 획득을 한정시키며, 예상치 못했던 환경과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고 지적합니다.)
An additional worry is that international trade flows may be jeopardized. UNCTAD economist and author of the study, Simonetta Zarrilli Traeger, says developing countries often depend heavily on agricultural exports and may bend their domestic priorities to meet the demands of their main trading partners.
(이밖에도 또 한가지 우려는, 국제적인 무역의 흐름이 마비될지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UNCTAD의 경제 전문가이자, 이 연구보고서를 작성한 시모네타 자릴리 트라에게르 씨는, 개발도상국들이 종종 지나치게 농작물 수출에 의존하다보니 국내 우선순위를 주요 교역상대국들의 수요 충족에 맞추려하고 있는것 같다고 지적합니다.)
"For instance, for African countries which export very few agricultural products to the EU, a major consideration is to preserve the export opportunities to the EU market,” she said. “So, if they feel that by getting involved in bio-technology they can miss trading opportunities in the EU market, they will regulate their bio-safety and agriculture domestically to respond to the expectations."
(“예를 들어 유럽연합에 농작물을 소량 수출하는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있어서 주요 고려사항은 유럽연합 시장에 대한 수출 기회를 계속 유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생명공학을 도입함으로써 유럽연합 시장에 대한 수출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고 생각하면, 시장의 기대치에 부응해 유전자 변형 농작물의 안전성과 농업을 국내적으로 잘 조절할 것입니다.”)
The study says a number of African countries have imposed import bans on genetically modified products mainly because of possible trade losses. These countries include Angola, Ethiopia, Lesotho, Malawi, Sudan, Zambia and Zimbabwe.
(이 연구 보고서는,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들이 있을 수 있는 무역 손실을 막기 위해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앙골라, 이디오피아, 레소토, 말라위, 수단, 잠비아, 짐바브웨가 바로 그런 나라들입니다.)
Ms. Traeger notes that some of these countries even have refused food aid containing genetically modified materials because they feel they will miss out on export opportunities by importing modified foods.
(트라에게르 씨는 일부 이 같은 나라들이 유전자변형 농산물을 수입할 경우, 수출 기회를 상실할 것을 우려한 나머지 외국에서 제공되는 유전자변형 물질이 포함된 식량원조를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She says developing countries are caught between an ongoing dispute between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which have completely different views regarding the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She says both trading blocks are trying to impose their views on the poorer countries.
(트라에게르 씨는 개발도상국들이 유전자변형 식품의 안전에 관해 서로 완전히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유럽연합과 미국의 분규 틈바구니에 끼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트라에게르 씨는 유럽연합과 미국의 두 무역 블록이 빈국들에 대해 자신들의 견해를 주입시키려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The United States, for instance, is insisting that genetically modified crops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huge problem of starvation, especially in the developing countries,” she explained. “While the EU has the approach that starvation and malnutrition are the result not of limited food availability, but are the result of poor transport, of concentration of food production, access."
(“예를 들어, 미국은 유전자변형 농산물이 특히 개발도상국과 같은 나라들의 엄청난 기아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유럽연합은 기아와 영양부족은 식량의 제한된 가용성의 결과가 아니라, 집중된 농산물 생산지에 접근해야 하는 열악한 수송체계의 결과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Ms. Traeger says developing countrie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a reasonable amount of food and agricultural products for local populations. Therefore, she says their desire to preserve export markets in the rich countries has to be balanced with their need to have enough food for their own people.
(트라에게르 씨는 개발도상국들이 자국민들에게 합리적인 양의 식량과 농산물을 공급할 책임이 있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부유한 나라들에서 농산물 판로를 확보하고자 하는 개발도상국들의 열망이 자국민들에게 충분한 식량을 공급해야 하는 필요성과 균형을 이루어야 할 것이라고 트라에게르 씨는 지적합니다.)
'영 어 > 회 화 영 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머영어-001-시험] (0) | 2010.09.25 |
---|---|
Barack Obama's Victory Speech(버락 오바마 당선 연설) (0) | 2010.09.25 |
WORLD BANK REPORT ON POVERTY(빈곤에 관한 세계은행의 보고서) (0) | 2010.09.25 |
[통문장 암기영어-001] (0) | 2010.09.25 |
[비즈영어-001-초면인사 나누기] (0) | 2010.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