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신경계통

미션(cmc) 2011. 8. 31. 08:28

신경계통


; 몸에 들어오는 감각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기관.

- 항상성을 유지.

(1) 신경계통의 구성
1. 중추신경계(CNS) ; 뇌, 척수(PNS로 보내주는 신경전달로) - 경질막, 연질막, 거미막
2. 말초신경계 (PNS) ; 뇌신경, 척수신경 ( 감각 + 운동 ) - 몸신경 ; 수의근
자율신경 ; 불수의근 - 교감 (흥분) / 부교감(억제)
3. 차이점
① 뼈 (말초는 뼈가 없다. )
② 막 (말초는 막이 없고, 집(Sheath) 으로 )
③ 아교세포(glia ; 가 없으면 신경세포의 전달활동을 할 수가 없다) - 성질이 다름.
④ 말이집(추반세포) ; 전달하는데 효과를 보기위해 존재.
⑤ 재생 - CNS(재생 안됨) / PNS ( 약간은 재생가능)



(2) 신경계통의 세포성분 ; 신경원(신경세포) + 신경교세포(신경아교세포)
* 신경원 ; 외부로부터 인지된 정보의 처리와 전달
① 축삭 (axon) ; 신경세포체에 긴 가지 - 다른 신경세포에 정보를 전달.
② 수상돌기 ; 다른 신경세포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는 역할
③ 신경세포의 축삭은 신경아교세포의 축삭에 싸여 있는데, 중추신경계에서의 축삭은 희돌기

교세포, 말초는 신경초세포의 축삭에 싸여있는이것을 "수초"(말이집, myelin sheath) .
* 신경교세포 ; 신경세포의지지, 영양공급.



1) 신경원(신경세포 neuron)
1. 가지돌기(수상돌기) ; 신호받는 부위
2. 몸체 ; 대사
3. 축삭 ; 신호전달 받아서 다시 전달.
4. 종류
① 홀극신경원 ; 망막의 광수용 세포
② 두극신경원 ; 망막 감각 (축삭이 2개, 가지돌기는 없다.)
③ 거짓단극 ; 척수신경절(감각), 망막 - 두 개의 축삭이 하나로 보임


2) 교세포(아교세포, glia cell)
1. 신경세포의 영양공급, 세포의지지 - 신경세포보다 훨씬 많다.
2. 종류
① 별아교세포(성상교세포, astrocyte)
㉠ 돌기를 뻗어 혈관에 있는 혈액 성분들이 신경세포로 가는 것을 막아주는 구조를 형성-

혈관-뇌장벽(Blood-Brain-Barrier)
㉡ 신경전달 보정(수정)
㉢ 축삭이 없다.
㉣ 영양공급
㉤ 포식작용( 세포괴사를 피하기 위해)
② 희소돌기아교세포 (희돌기교세포 Oligodendrocyte) ; 신경세포의 축삭을 둘러싸서

말이집(myelin)을 형성.
㉠ CNS 만 존재한다.
㉡ 10~50개의 뉴런축삭다발을 하나의 세포가 싸고 있다.
㉢ 벌거벗은 신경다발(싸고있지 않은 다발)도 존재.- 판단, 분석하는데 말이집에 많이 싸여

있으면 분석 어려움.
㉣ PNS - 슈반세포
ⓐ 1개의 세포가 1개를 싸고 있다.
ⓑ 슈반세포만 존재 ; 말이집에 의해서 빠른속도로 전달.
③ 미세아교세포(미교세포 microglia)
㉠ 가장 크기가 작은 세포
㉡ 혈관뇌장벽을 통과하거나 뇌, 척수로 들어온 이물질을 탐식.
④ 뇌실막세포(상의세포 ependymal cell)



(3) 중추신경계통 (central nervous system ,CNS) ; 경질막 - 거미막, 연질막
1) 척수 (spinal cord)
1. 뒤통수뼈 큰구멍 아래~ L1 까지 척주관 안에 있다.
2. 요추천자 시행시 ; 어른은 L3~L4 , 어린이 L4~L5 - 배뇨, 배변의 1차중추가 있는

척수말단부의 손상을 방지위해.
3. 표면에는 앞정중틈새, 좌우 양쪽의 앞,뒤가쪽 고랑, 뒤정중고랑 의 6개의 홈.
4. 31쌍으로서 8개의 목신경, 12개의 가슴, 5개의 허리, 5개의 천추, 1개의 꼬리
5. 단면
① H자모양의 회백질 ; 신경세포가 분포
② 백색질 ; 회백질을 싸고 있으며 신경세포가 없이 말이집신경섬유로 이루어짐.



2) 뇌(brain)
1. 뇌줄기(brain stem) ; 숨뇌(medulla oblongata), 다리뇌(pons), 중간뇌(midbrain)
① 시각교차, 유두체
② 중간뇌 - 내측으로 눈돌림신경, 뒤부분의 등쪽으로 도르래신경
③ 숨뇌-피라밋(연수에서 척수로 진행함에 따라 없어짐), 올리브(피라밋의 가쪽에 돌출부)
④ 3뇌실 뒤에 시상하부의 솔방울샘
⑤ 후뇌의 뒤쪽은 마름모오목의 마름모꼴로 뇌실을 이룬다.
2. 소뇌(cerebellum)
① 평형 ; 호르몬, 감각평형
② 위치의 감각
③ 모든 근육조절
④ 생명활동에 중요.
3. 사이뇌(diencephalon) ; 중간뇌, 대뇌사이에 존재
① 시상하부,시상상부, 시상, 배쪽시상
② 기능
㉠ 후각신경(olfactory impulse)를 제외한 모든 감각의 중계핵 ; 연접을 이룸 - 조절
㉡ 자율신경계의 운동에 관여.
㉢ 감정, 행동에 관여.
㉣ 몸의 항상성 유지.
4. 대뇌(cerebral) ; 양쪽 반구가 합쳐져 형성-대뇌반구;뇌들보에 의해 연결(회백질/백색질)
① Frontal lobe (이마엽)
㉠ 중심앞이랑의 앞쪽에 위치
㉡ 일차운동영역 ; 쓰고 말하는(언어)에 중요.(수의근)
㉢ 손상시 운동성실어증 (motor aphagia)
② Parietal lobe(마루엽)
㉠ 중심뒤이랑의 앞쪽
㉡ 일차체감각영역 ; 통각,촉각등(느낄수 있는 모든것)
③ Temporal lobe(관자엽)
㉠ 가로관자이랑 ; 1차 청각영역
④ Occipital lobe(뒤통수엽)
㉠ 1차 시각영역 ; 시각인지
⑤ Limbic lobe (변연엽)
㉠ 기억, 자율신경계통을 통한 내장기능조절, 후각, 감정적 행동에 관여.
⑥ White matter(백색질)
㉮ 투사섬유
㉠ 축삭다발이 존재(신경다발이 지나감) ; 척수나 뇌의 아래와 대뇌피질을 연결
㉡ 대뇌부챗살(corona radiata) ; 신경섬유가 사이뇌를 지나온 모양
㉯ 교차연결섬유 ;반드시 간뇌(사이뇌)를 지나가게 됨.
㉠ 뇌들보(corpus callosum)
- 대뇌피질의 모든 부분을 연결 ; 좌우 대뇌를 연결
- 대뇌반구의 활동성을 통합하기 위함
㉡ 앞맞교차(anterior commissure) ; 양쪽 대뇌반구사이를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
- 앞부분 ; 후각연수 연결
- 뒤부분 ; 중간, 앞 관자엽 연결



(4) 뇌실과 뇌척수액의 순환
1. 뇌실과 척수중심관 속에 뇌척수액 cerebrospinal fluid CSF(뇌에 영양을 공급)이 존재.
2. 양쪽 대뇌반구내에 U자모양의 가쪽뇌실(lateral ventricle)
3. 제3뇌실 ; 사이뇌
4. 제4뇌실 ; 교뇌와 연수,소뇌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정중구멍,외측구멍(뇌척수액이

거미막밑공간으로 유입되게 돕기)
5. 뇌척수액
① 부력 ; 가볍게 하면서 좌우 이동을 용이하게 함.
② 면역계역할 (면역세포 있어서 침투를 막는다)
③ 충격완화
④ 영양공급



(5) 말초신경계통(peripheral nervous system PNS)
; 중추신경계통인 뇌와 척수가 각각 뇌신경과 척수신경에 의해서 연결.
1) 뇌신경(cranial nerve) ; 뇌의 바닥. 12쌍, 도르래신경(4번)을 제외한 나머지 신경만

뇌바닥에 존재.
1. 후각신경(olfactory nerve) ; 작은 신경다발이 벌집뼈의 벌집체판을 통과하여 후각망울에

이른다. (이마엽)
2. 시각신경(optic nerve) ; 시각교차-하수체 앞쪽에서 서로 만나 교차 - 감각신경
3. 눈돌림신경(oculomotor nerve) ; 안구 움직이기
① 중간뇌에서 나와서 위눈확틈새로 가는 혼합신경 ; 운동, 자율신경
② 위곧은근, 아래곧은근, 안쪽곧은근,가쪽곧은근(갓돌림신경), 위빗근(도르래신경),

아래빗근, 눈꺼풀올림근
③ 부교감신경 ; 동공조절
4. 도르래신경(trochlear nerve)
① 중간뇌 ~ 위눈확틈새
② 위빗근에 분포 ; 안구의 운동 조절
③ 운동신경
5.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 가장 큰 신경 -
① 다리뇌 ~ 위눈확틈새,원형,타원구멍
② 눈신경 ; 안구의 감각과 눈물샘의 감각을 조절하는 감각신경
③ 위턱신경 ;
④ 아래턱신경 ; 치아감각조절, 씹기근육(관자근,깨물근,안쪽,가쪽 날개근)
⑤ 얼굴의 피부, 코와 입점막
6. 갓돌림신경(abducent nerve) ; 다리뇌 ~ 위눈확틈새로, 가쪽곧은근 지배. 안구운동신경
7. 얼굴신경(facial nerve) ; 표정근, 부교감신경,
① 다리뇌 ~ 붓꼭지구멍, 속귀구멍
② 눈물샘,혀밑샘,턱밑샘(턱끝목뿔근을 기준으로)
③ 얼굴근육운동, 미각

8. 속귀신경(vestibulocochlear nerve) ;
① 다리뇌 ~ 속귀구멍
② 평형감각, 청각 ; 감각신경
③ 와우지 ; 코르티기관에서 흥분(청각)을 전달
④ 안뜰가지(전정기관) ; 세 반고리관에 연결 평형감각전달
9. 혀잍두신경(glossopharyngeal nerve)
① 숨뇌 ~ 목정맥구멍
② 혀 앞 2/3 - 얼굴신경 , 혀 뒤 1/3 - 혀인두신경 , 후두덮개 - 미주신경
③ 부교감신경 ; 귀밑샘에 분포 침샘 분비 조절
④ 미각
10. 미주신경(vagus nerve)
① 숨뇌 ~ 목정맥구멍
② 후두, 물럽입천장, 인두근육의 운동
③ 가슴,배, 내장의 운동, 샘의 분비 (부교감신경)
④ 인두,후두(되돌이후두신경으로 대동맥활과 빗장밑동맥을 돌아 후두에 분포)의 감각

(후두덮개)
⑤ 미각
⑥ 바깥귀의 감각
11. 더부신경(accessory nerve)
① 숨뇌, 척수 ~ 목정맥구멍
② 인두, 후두근육의 운동
③ 목빗근과 등세모근의 운동 - 머리의 회전운동
12. 혀밑신경(hypoglossal nerve)
① 숨뇌 ~ 혀밑신경관
② 혀근육의 운동
③ 앞목근육 지배 ; 턱끝목뿔근, 방패목뿔근, 복장목뿔근, 어깨목뿔근, 복장방패근,



2) 척수신경(spinal nerve) ; 척수에서 출입하는 말초신경으로 31쌍 (감강,운동신경)
; 경수신경만 고리뼈에 존재하는 가쪽척추구멍에서 제 1신경이 유래되므로 경수신경은 8쌍.
- 겨드랑신경(axillary nerve)
- 노신경(radial nerve) ; 위팔세갈래근을 통해 뒷면에 분포, 노뼈위를 지나 손등에 분포
- 근육피부신경 ; 팔의 앞쪽, 외측을 따라 아래팔쪽에서 분포
- 정중신경 ; 위팔동맥,정중동맥과 함께 주행. 손에서 셋째,넷째 손가락의 내측, 외측에 분포.
- 자신경(ulnar nerve) ; 팔의 앞쪽, 내측을 따라 넷째,다섯째손가락의 내측, 외측에 분포.
- 궁둥신경
1. 목신경얼기 ( C 1~ C4) ;
2. 팔신경얼기 (C 5~ T1) ; 겨드랑신경,근육피부신경,정중신경,자신경,노신경
3. 가슴신경(T1~T12) ;가슴과 배벽의 근육과 피부에 분포갈비사이근육, 가슴근육,배,허리근육
4. 허리신경(L1~L4) ;엉덩아랫배신경,엉덩샅굴,음부넙다리,폐쇄신경(넙다리 모음근),넙다리
5. 엉치신경(L4~ S4) ;위,아래볼기, 뒤넙다리피부,음부, 궁둥신경(정강신경,온종아리신경)
6. 꼬리신경(S4~C 0)



(6) 자율신경계통(autonomic nervous system ANS)
1. 마음대로 움직일수 없는 내장, 혈관, 심장, 타액선, 생식기능 조절
2. 항상성 유지 ; 체액의 유지, 전해질
3. 효과기에 도달하기 전에 반드시 한번의 신경연접을 해야 한다
- 신경연접시 이전의 신경섬유를 "신경절 이전 신경섬유" 이후를 " 신경절 이후 신경섬유"

4. 교감신경 / 부교감
① 생체내에서 에너지를 바로 동원할수 있는 상태 / 에너지를 축적할 반응
② 흉수와 요수부분에서 유래 - 흉수요수계통 / 동안,안면,설인,미주신경에서 유래
③ 이전신경섬유가 이후에 비해 짧다 / 길다
④ 신경절은 신경의 기시부 가까이에서 관찰 / 효과기에 근접에서 관찰.

1) 교감신경 (sympathetic nerve)
① 척주의 양쪽에 염주 모양의 신경절이 관찰
② 머리목부분;속목신경,바깥목신경(턱밑샘,혀밑샘,귀밑샘,피부), 후두인두가지,목심장신경
③ 가슴부분; 가슴허파,식도,큰,작은내장.
④ 배골반 ; 허리내장신경,엉치내장신경
⑤ 다른신경절에서 신경연접을 한 후에 효과기에 분포.


2) 부교감신경(parasympathetic nerve)
① 장기근처에 존재. - 기관에서 나간 후에 연접(조절)을 함.
② 뇌신경 ; 눈돌림신경(동공조절,홍채반사), 얼굴신경(턱밑,혀밑,눈물샘), 혀인두신경,

미주신경(모든장기)
③ 엉치신경 ; 내림 및 구불주름창자,곧창자,방광,생식기관분포(배변,배뇨)

'침구학 > 침구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계통   (0) 2011.08.31
골격 및 관절계통   (0) 2011.08.31
특수감각기관  (0) 2011.08.31
소화기 계통  (0) 2011.08.31
비뇨기계통  (0) 2011.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