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근육계통

미션(cmc) 2011. 8. 31. 08:29

근육계통  


근육계통
; 수축을 통해 운동을 일으킨다.
1. 수의근(voluntary muscle) - 자신의 의지대로 움직인다.

- 불수의근(involuntary m) ; 의지대로 움직일 수없다.
2. 횡문군(striated m) ;가로무늬 - 평활근(민무늬근, smooth m)



(1) 골격근 (skeletal muscle); 뼈대근육 - 600여개
; 근섬유(근육섬유)와 근내막(근육속막)으로 구성
1) 근섬유 ; 근원섬유가 모여 형성
① 액틴세사(가는근육미세섬유) + 마이오신세사(굵은근육미세섬유)
② I 띠 ; 밝은 띠 - 액틴세사로 이루어짐
③ A띠 ; 어두운 띠 - 액틴세사와 마이오신세사가 겹쳐보임.
④ Z 선 ; 밝은띠의 중앙 어두운 선
⑤ 근원섬유는 근내막(근육속막) - 근주막(근육다발막) - 근외막(근육바깥막) 에 싸여있다.


(2) 골격근의 모양과 명칭
; 운동범위가 작은 쪽을 기시(이는곳. origin) , 큰 곳을 정지(닿는곳, insertion)


(3) 머리의 근육
1) 안면근(얼굴근육 facial muscle)
① 피부밑에 작은 근육으로 구성
② 표정근(mimicor expression muscle)
③ 안면신경(얼굴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1. 두 개근(머리덮개근 . epicranius muscle)
① 뒤통수이마근(후두전두근,occipitofrontalis m) ; 이마근(전두근,frontalis m)

+ 뒤통수근(후두근)
② 이마근과 뒤통수근은 머리덮개널힘줄(모상건막, galea aponeurotica) 에 의해 연결.
2. 눈꺼풀틈새 주위의 근육
① 눈둘레근(안륜근 ,orbicularis oculi m) ; 눈꺼풀 닫거나 열거나 할때
② 눈썹주름근(추미근, corrugator supercilii m)
③ 눈살근(비근근 , procerus m)
3. 콧구멍 주위의 근육 ; 코근(비근)
4. 입술틈새주위의 근육
① 입둘레근(구륜근 orbicularis oris m) ; 입을 다물거나 앞으로 내밀 때
② 큰광대근(대권골 zygomaticus major m) ; 입꼬리를 끌어당기거나 윗입술을 위방향으로
③ 작은광대근(소권골근 zygomaticus minor m)
④ 위입술올림근(상순거근 levator labii superioris m)
⑤ 입꼬리내림근(구각하체근 depressor anguli oris m)
⑥ 아래입술내림근(하순하체근, depressor labii inferioris m)
⑦ 볼근(협근, buccinator m) ; 귓밑샘이 볼근을 뚫고 지나간다.
⑧ 턱끝근(이근, mentalis m) ; 턱을 모아줌


2) 씹기근육(저작근 muscles of mastication)
1. 관자근(측두근, temporalis m) ; 하악골의 근육돌기에 정지하는 강한 근육
2. 깨물근(교근, masseter m) ; 하악각 외측면에 정지하는 두껍고 강한근육
3. 안쪽날개근(내측익돌근, medial pterygoid m) ; 나비뼈의 날개돌기에 기시하여 하악각내측

에 정지.
4. 가쪽날개근(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 ; 턱을 좌우로 움직이고 여는데 이용



(4) 목의 근육 (muscles of the neck)
1) 목의 피부근육 ; 넓은 목근(광경근)이 목의 피부넓게 퍼져 있고 안면신경의 지배, 입꼬리를

아래로 당긴다.
2) 옆쪽 목근육
1. 목빗근(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m) ; 목의 회전. 복장뼈,빗장뼈에서 기시.

꼭지돌기에 정지. 더부신경의 지배.
3) 앞쪽 목근육 ; 목의 탄력유지(기도,식도 유지하기 위해 존재), 목뿔뼈와 방패연골을 기준.
1. 목뿔위근육(설골상근 suprahyoid m) ; 구강의 바닥을 형성하는 4종류. 목뿔뼈를 끌어올리

며 연하에 관여
① 두힘살근(악이복근, digastricus m) ; 하악골과 측두골의 꼭지돌기를 연결
② 붓목뿔근(경돌설골근 stylohyoid m) ; 하악골의 후방에 위치 - 어떤 뼈와도 연결되지 않고

둥둥떠있다.
③ 턱목뿔근(악설골근 mylohyoid m) ; 구강의 바닥을 형성, (를 기준으로 혀밑공간(혀밑샘),

턱밑공간(턱밑샘).혀를 턱에 고정
④ 턱끝목뿔근(이설골근 geniohyoid m)
2. 목뿔아래근육(설골하근 infrahyoid m) ; 음식을 삼킬 때, 소리를 낼 때, 목뿔뼈를 아래로

끌어내린다.
① 복장목뿔근(흉골설골근 sternohyoid m) ; 가장 얕은층, 설골 및 혀를 밑으로 내린다.
② 어깨목뿔근(견갑설골근 omohyoid m) ; 설골을 뒤아래방향으로 당긴다.
③ 복장방패근(흉골갑상근 sternothyroid m) ; 갑상연골을 아래로 내린다.
④ 방패목뿔근(갑상설골근 thyrohyoid m) ; 갑상연골, 설골을 끌어올리거나 내린다.


4) 뒤쪽 목근육
1. 척추뼈앞근육

2. 척추뼈가쪽근육(외측추골근)
① 앞목갈비근(전사각근 scalenus anterior m); 목신경얼기가 갈비근의 사이로 뚫고 나와서

팔(팔얼기신경)으로 간다, 감각, 운동을 담당
- 팔이 저리고 아플 때 목갈비근에 염증이 생겼을수도 있다.



(5) 등 근육(muscles of the back)
; 후두골에서부터 시작하여 가슴우리, 엉덩뼈, 엉치뼈에 부착. 머리와 목을 움직이고 척주를

펴는 작용과 회전..
1) 얕은등근육(천배근 superficial muscles of the back) ; 팔운동에 관여- 1층
① 등세모근(승모근, trapezius m) ; 뒤통수,목뼈 가시돌기에 어깨,등뼈까지 부착(더부신경)

마름모 모양, 목을 당긴다.
② 넓은등근(광배근 latissimus 액냐 m) ;허리뼈,등뼈가시돌기에 붙어서 위팔뼈까지.

- 팔운동 (모음) ; 턱걸이
③ 큰마름근(대능형근 rhomboid major m)
㉠ 팔운동,어깨안쪽모서리, 목뼈가시돌기까지 붙음.
㉡ 당기면 어깨뼈가 뒤로 감(가쪽회전)
㉢ 어깨벼의 폄. 허리뼈가 휘면 고정.
㉣ 척추뼈 보강- 양쪽에서 당기면 척추가 선다.
④ 작은마름근(소능형근 rhomboid minor m)


2) 깊은등근육(심배근 ) ; 등이 움직이면서 호흡운동 - 2층
① 위뒤톱니근(상후거근) ; 흡입. 갈비뼈 들어올릴 때
② 아래뒤톱니근(하후거근) ; 내쉼
1. 얕은근육층(천층) ; 3층 , 등을 세워준다.
① 척주세움근(척주기립근 errector spinae m) ; 3개의 근육으로 구성, 굽이를 형성
㉠ 엉덩갈비근(장늑근 iliocostalis m)
㉡ 가시근(극근 spinalis m)
㉢ 가장긴근(최장근 longissimus m)
② 머리널판근(두판상근) ; 등세모근속에 존재
2. 가로척추근 ; 4층



(6) 가슴 근육 (muscles of the thorax) ; 호흡기능
1. 앞톱니근(전거근, serratus anterior m) ; 호흡의 보조역할
2. 갈비사이근(늑간근, intercostalis m)
3. 가로막(횡경막 diaphrgm) ; 가운데부분은 널힘줄(건막)으로 된 건중심으로 이루어짐.
① 대동맥구멍(대동맥열공 aortic hiatus) ; 대동맥과 가슴관(흉관)이 통과
② 식도열공(식도구멍 esophageal hiatus) ; 식도와 미주신경이 통과
③ 대정맥공(아래대정맥구멍, vena caval foramen) ; 하대정맥 통과


(7) 배근육(복부 muscles of the abdomen)
1. 장기보호 (결에 의해서 외부와 차단)
2. 충격흡수 (장운동을 하므로)
3. 음압 (압력은 낮고 공기는 없다)이 존재, - 소화 위해서 (압력에 저항성을 갖게 함)
① 배곧은근 (복직근 rectus abdominis m)
② 배속빗근(내복사근 obliquus internus m)


(8) 팔의 근육(상지의 근육 muscles of the upper limb) ; 팔신경얼기의 가지에 지배
1) 상지연결대의 근육
1. 어깨근육(견갑부분의 근육) ; 빗장뼈, 어깨뼈에서 기시하여 어깨관절의 운동에 관여
① 가시위근(극상근 supraspinatus m) ; 큰결절에 붙음, 가쪽회전
② 가시아래근(극하근 infraspinatus m)
③ 큰원근 (대원근 teres major m) ; 위팔뼈 모음근
④ 작은원근(소원근 teres minor m) ; 큰결절에 붙음, 가쪽회전
⑤ 어깨밑근(견갑하근 subscapularis m) ; 작은결절에 붙음, 안쪽회전
⑥ 어깨세모근(삼각근 deltoideus m) ; 팔벌림 ≠ 큰가슴근(모음) 과 길항작용
2. 가슴우리의 근육(흉곽의 근육)
① 큰가슴근(대흉근 pectoralis major m) ; 모음근, 안쪽회전
② 작은가슴근(소흉근 pectoralis minor m) ; 팔 운동은 하지 않고 호흡에 관여한다.


2) 위팔근육(상완의 근육)
1. 굽힘근육(굴근군)
① 위팔두갈래근(상완이두근 biceps brachii m)
② 위팔근(상완근 brachialis m)
③ 부리위팔근(오훼완근 coracobrachialis m)
2. 폄근육(신근군)
① 위팔세갈래근(상완삼두근 triceps brachii m) ; 노신경(요골)의 지배. - 위팔두갈래근과

길항작용
㉠ 긴갈래(장두 long head) ; 어깨뼈
㉡ 내측갈래(내측두 ) ; 위팔뼈 뒤의 위에
㉢ 외측갈래(외측두) ; 위팔뼈 뒤 아래


3) 아래팔근육(전완의 근육) - 18개 (굽힘 8개와 폄근 9개 + 위팔노근

;굽힘작용을 하지만, 노신경(폄을 지배)이 지배하기 때문에 따로 분리)
; 위팔뼈, 노뼈, 자뼈에서 시작하여 손의 뼈에 정지. 손이나, 손가락을 움직이는 기능
1. 굽힘근육 - 8개
① 1층 - 5개
㉠ 긴손바닥근(장장근 palmaris longus) ; 땡기면 손바닥이 올라옴, 힘을 주기위해 널힘줄

이 존재.(보호)
㉡ 자쪽 손목 굽힘근(척측수근굴근 flexor carpi ulnaris)
㉢ 노쪽 손목 굽힘근(요측수근굴근 flexor carpi radialis)
㉣ 원엎침근(원회내근 pronator teres) ; 엎침기능 -자뼈를 기준으로 노뼈가 움직임
㉤ 얕은 손가락 굽힘근(천지굴근 flexor digitorum superficlalis)
ⓐ 노뼈, 자뼈에 붙음
ⓑ 손가락을 굽힘, 지지대 안쪽으로 있다.(손가락 두 번째 마디까지 이어짐)
② 2층
㉠ 깊은 손가락 굽힘근 (심지굴근 flexor digitorum profundus m)
ⓐ 위팔뼈와 붙어있지 않다.
ⓑ 손가락 굽힘에만 쓰고 손끝을 움직인다.- 깊은 손가락 굽힘근만 사용시에
ⓒ 손가락끝까지 내려간다. (tendon 과 같이)
ⓓ 지지띠 안쪽으로 지나간다.
㉡ 긴 엄지 굽힘근(장무지굴근 flexor pollicis longus m) ; 밑으로 내려간 상태
㉢ 네모엎침근(방형회내근 pronator quadratus m) ;


2. 폄근근육 - 9개
① 1층 -
㉠ 긴 노쪽 손목 폄근(장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m)
㉡ 짧은 노쪽 손목 폄근(단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m)
㉢ 손가락 폄근(지신근 extensor digitorum m)
㉣ 새끼폄근(소지신근 extensor digiti minimi m)
㉤ 자쪽 손목 폄근(척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ulnaris)
② 2층
㉠ 긴 엄지 벌림근(장무지외전근 abductor pollicis longus m)
㉡ 짧은 엄지 폄근(단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brevis m)
㉢ 긴 엄지 폄근(장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longus m)
㉣ 집게폄근(시지신근 extensor indicis m) ; 가장 섬세한 작용. 제일 많은 tendon이 붙음.


4) 손의 근육
1. 1층 ; 손바닥 널힘줄, 짧은 손바닥근 (피부근육;넓은목근, 얼굴근육의 표정근)
2. 엄지두덩근(무지구근 thenar muscles) 2층
① 짧은 엄지 굽힘근(단무지굴근 flexor pollicis brevis m)
② 짧은 엄지 벌림근(단무지외전근 abductor pollicis brevis m)
③ 엄지맞섬근(무지대립근 opponens pollicis m) ; ①, ② 의 안쪽에 위치
3. 새끼두덩근(소지구근 hypothenar m) - 2층
① 새끼벌림근(소지외전근 abductor digiti m)
② 새끼굽힘근(소지굴근)
③ 새끼맞섬근(소지대립근)
4. 3층 ; 벌레근(충양근 lumbricals ) - 4개
① 힘줄부터 손허리뼈까지 붙어있다.
② 힘줄을 땡겨서 손가락을 벌려준다.- 보강역할
5. 4층 ;
① 바닥쪽뼈 사이근(장측골간근 palmar interosseus) - 3개로 구성, 가운데 손가락을 중심

으로 손가락을 모아준다
② 엄지모음근(무지내전근 adductor pollicis); 엄지손가락과 알머리뼈에 붙어서 모아줌.



* 손목 굽힙근 지지띠 안에
① 긴엄지 굽힘근 ② 얕은 손가락 굽힘근4개 ③ 깊은 손가락 굽힘근 4개 ④ 정중신경 1개



(8) 하지의 근육(다리의 근육) - 걷는운동(각각의 운동이 정확하게 움직여야 함)
1) 하지대의 근육
1. 엉덩근육(내관골근) ; 엉덩허리근
2. 볼기근육(외관골근) ; 엉덩관절의 운동에 관여
* 관절이 앞으로 쏠리는 이유
- 굽이를 이룸(2차) ,

- 직립위해,

- 허리의 각도를 유지(척추세움근과 볼기근으로 인해 관절이 돌아감)
① 큰볼기근(대둔근 , gluteus maximus muscle) ; 엉덩뼈,엉덩뼈가시~넙다리가쪽에 정착.

빗근, 가쪽돌림, 넙다리 폄
② 중간볼기근(중둔근, gluteus medius m) ; 직근
③ 작은볼기근(소둔근, gluteus minimus m) ; 직근, 벌림
㉠ 궁둥구멍근(이상근, piriformis) ; 넙다리 큰결절 오목에 붙음
㉡ 안쪽폐쇄근(내폐쇄근, obturator internus m) ; 폐쇄구멍안쪽에서 뒤로 돌아 넙다리

큰결절 오목에 기시
㉢ 쌍둥이근(위,아래 gemellus ) ; 안쪽폐쇄근 사이에 존재.
㉣ 넙다리네모근(대퇴사각근 quadratus femoris m)


2) 넙적다리 근육(대퇴) ; 빗근 - 여러운동을 복합적으로 / 직근 - 한가지 운동을 강력하게
1. 굽힘근육(flexor m) ; 장골,대퇴골에서 시작~ 경골조면에 정착
① 넙다리빗근(봉공근, sartorius m) ; 인체에서 가장 긴 근육. 가쪽돌림, 모음, 넙다리동맥

신경이 지나감.
② 넙다리네갈래근(대퇴사두근 quadriceps femoris m) ; 무릎뼈를 감싸고 정강뼈거친면에

부착. 종아리폄,넙다리굽힙
㉠ 안쪽 넓은근(내측광근, vastus medialis m)
㉡ 중간 넓은근(중간광근, vastus intermedius m)
㉢ 가쪽 넓은근(외측광근, vastus lateralis m)
㉣ 넙다리 곧은근(대퇴직근, rectus femoris m)
2. 모음근육(내전근군) ; 굽힘보다 힘이 더 발달 (걸을 때 안쪽으로 걷기 때문에)
① 두덩근(치골근, pectineus m)
② 긴모음근(장내전근, adductor longus m)
③ 짧은 모음근(단내전근 adductor brevis m)
④ 큰모음근(대내전근 adductor magnus m)
⑤ 두덩정강근(박근, gracilis m)
⑥ 바깥폐쇄근(외폐쇄근, obturator externus m) ; 폐쇄구멍앞의 둘레 ~ 넙다리뼈의 큰결절

오목으로 기시.
3. 폄근육(extensor m) ; 대퇴의 뒤쪽에 위치
① 넙다리두갈래근(대퇴이두근,biceps femoris m) ; 두덩뼈 결절~종아리뼈, 넙다리 폄,

종아리 굽힘
㉠ 긴갈래 ;
㉡ 짧은갈래
② 반힘줄모양근 (반건양근, semitendinosus m) ;
③ 반막모양근(반막양근, semimembranosus m) ;
* hamstring (슬건); 긴갈래,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큰모음근 (추진력)
* 다리 오금을 이루는 근
; 위쪽 - 넙다리두갈래근, 반힘줄모양근, 반막모양근

; 아래 - 장단지근(두갈래로, 마름모, 정중신경과 주요 신경 지남)


3) 종아리근육(하퇴) ; 펴짐근지지띠, 굽힘근지지띠 - 힘줄이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
1. 앞종아리근육(전화퇴근육)
① 앞정강근(전경골근,tivialis anterior m) ; 정강뼈가쪽관절융기~엄지발가락 기시, 발등굽힘.
② 긴발가락폄근(장지신근, extensor digitorum longus m) ; 발가락 폄
③ 긴엄지폄근(장무지신근, extensor hallucis longus m) ; 엄지발가락 폄
2. 뒤종아리근육(후화퇴근육) ; 발바닥 굽힘.
① 장단지근(비복근, gastrocnemius m), 종아리세갈래근(하퇴삼두근) ; 발꿈치힘줄,

아킬레스건이 되어 발꿈치뼈에 부착.
② 가자미근(soleus m) - 손상시 걸을순 있으나 뛰지 못한다.
③ 긴엄지굽힘근(장무지굴근, flexor halliucis longus m)
④ 뒤정강근(후경골근, tibialis posterior m)
⑤ 긴발가락 굽힘근(장지굴근, flexor digitorum longus m)
3. 가쪽종아리 근육(외측하퇴근육) ;발의 외번, 발바닥 굽힘.
① 긴종아리근(장비골근, peroneus longus m) ; 발의 활을 유지, 가쪽번짐,
② 짧은종아리근(단비골근, peroneus brevis m) ; 발바닥 굽힘, 종아리지지띠가 있다.

5번 발가락에 정지.

4) 발근육
1. 발등의 근육 (짧은엄지폄근, 짧은발가락폄근)
2. 발바닥의 근육
① 1층 ; 발바닥 널힘줄 (발의 활을 유지 - 모아주기 위해, 충격흡수)
② 2층 ; 새끼벌림근, 엄지벌림근, 짧은 발가락 굽힘근
③ 3층
㉠ 벌레근(충양근, lumbricales m) ; 긴발가락굽힘근 힘줄~발가락 뼈로 기시. 발가락 폄.
㉡ 발바닥 네모근(족척방형근, quadratus plantae m) ; 긴발가락굽힘근을 지지.(빈공간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④ 4층
㉠ 엄지모음근(무지내전근, adductor hallucis m)
㉡ 바깥쪽뼈 사이근(족저골간근, plantar interossei) ; 모음
㉢ 짧은새끼 굽힘근(단소지굴근 flexor digiti minimi brevis) ; 소지의 굽힘, 외전

'침구학 > 침구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관리법   (0) 2011.08.31
척추와 장부   (0) 2011.08.31
골격 및 관절계통   (0) 2011.08.31
신경계통   (0) 2011.08.31
특수감각기관  (0) 2011.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