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요 |
뇌동맥에 동맥경화증이 심해 혈관벽이 헐고 좁아져 있을 때 어느 순간 혈관내강에 혈액이 굳어져 혈관 속을 막아 버려 심장에서 보내지는 혈류가 차단되어 조직이 파괴되어 뇌연화의 현상을 초래하고 뇌혈전은 저혈압증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뇌혈전은 동맥경화가 주로 노인에게서 나타나므로 뇌혈전도 60세 이상 노인에게서 많이 나타난다.동맥경화는 고혈압일 때 많이 일어나므로 60세 이상의 고혈압자는 특히 뇌혈전을 조심하여야 한다. 다른 원인으로 신경매독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뇌혈관이 상해 뇌혈전을 일으킨 것이다.
|
증 세 |
뇌혈전에 의한 연화증에서는 수개월에 걸쳐 두통, 귀울림, 불면, 기억력 판단력 감퇴, 어지러운 뇌동맥 경화증 증세를 나타낸 다음에 일어나는 일이 많고 발병은 급작스럽지 않으며, 의식 소실은 대부분 없다. 신체의 마비는 손, 발, 왼쪽, 오른쪽 식으로 한 부분씩 마비가 오는 수가 많다.
|
전조증세 |
갑자기 손, 발, 얼굴 등의 한쪽 부위가 마비되거나 약해진다. 특별히 한쪽 시력이 흐려지거나 이중으로 겹쳐 보인다. 말을 더듬거나 무슨 말을 하는지 알 수 없다. 갑자기 두통, 현기증을 느끼거나 쓰러진다. 대,소변을 제대로 가리지 못한다. 이런 증세가 있을 때는 즉시 병원에 연락해야만 된다.
|
치 료 |
한시라도 빠른 약물요법(지혈제, 항응고제) 치료가 요구된다. 일단 중풍이 생기면 병원에 먼저 가서 산소 호흡 등으로 뇌세포가 죽어가는 것을 최대한 막고 응급조치를 취한 후, 그다음 마사지, 침술요법, 천연요법 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뇌졸중 예방, 재발 방지: 스트레스와 과로 피함, 충분한 수면과 적절한 휴식, 식생활에 유의해 고혈압을 조절한다.
상용혈: 천부, 소상, 상양, 곡지, 두유, 족삼리, 경골, 풍지, 아문, 백회 비용혈: 십이정혈, 용천, 노궁, 승장, 중완
|
이 침 |
![](http://www.pharmspia.com/image/y2_6_8_1naehulgen1.gif)
|
족 침 |
![](http://www.pharmspia.com/image/y2_6_8_1naehulgen3.gif)
|
영양요법 |
중풍의 치료에 있어서 식이요법은 매우 중요하다. 마늘과 양파를 많이 섭취하여 피를 묽게 하고 혈전을 풀어 내도록 도와주어야 된다. 변비는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의 하나이므로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해 변비가 생기지 않도록 노력해야 된다. 중풍이 생겼을 때 변비가 있는 환자는 즉시 관장을 해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기름기 음식은 혈액을 엉기게 하여 산소 공급의 저해는 물론 동맥경화를 촉진시키므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지나친 과음은 혈관을 파열시켜 중풍을 가져오나 약간의 붉은 포도주는 혈액순환의 촉진을 도와주어 중풍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흡연과 카페인이 든 커피, 설탕 음식, 튀긴 음식, 짠 음식, 동물성 지방 음식은 중풍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한번 중풍을 맞은 사람들은 설혹 회복된다 해도 대부분 1년내 또다시 재발을 경험하게 되므로, 비장을 강화시키는 방법 등으로 예방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
식이요법 |
뇌졸중 후유증에 좋은 음식물 미나리 : 혈압을 내리는 작용, 뇌졸중 예방과 후유증에 효과. 신선한 미나리채 50g을 짓찧어 즙내어 2회로 나누어 마신다. 복숭아씨 : 몸 속의 낡은 피를 내리고 피를 정화시키는 도인을 수일간 술에 담궜다 말려서 분말로 한 것을 작게 환을 만들어 1회 20환 하루 2번 술로 마신다. 검은 콩 : 신장을 보하므로 콩을 엿같이 되도록 잘 삶은 후 조금씩 계속 먹으면 뇌졸중으로 쓰러져 말을 못하게 된 사람에게 대단한 효과가 있다. 무 : 무우밥으로 만들어 매끼마다 먹는다. 썰어서 말린 무를 즙을 달여 마시면 뇌출혈 직후에 좋다. 우엉 : 신진대사를 강화, 혈액순환을 촉진, 뇌졸중 예방과 후유증 회복에 효과, 우엉을 적당량 달여서 죽으로 만들어 상식한다. 감 : 감차나 생감의 잎을 달여서 마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