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순환기계 질환/16. 뇌졸중

미션(cmc) 2011. 9. 10. 18:17

순환기계 질환

 

16. 뇌졸중

        개요: 뇌졸중이란 많은 피를 받고 보내는 혈관이 장애를 일으켜 갑자기 의식을 잃거나 운동마비를 일으키는 증세로 보통 중풍이라 한다. 세부적 원인에 따라 뇌혈전, 뇌출혈, 뇌전색, 지주막하출혈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중 가장 많은 것은 뇌혈전으로 60%를 차지한다.


         

    

1) 뇌혈전

개 요


뇌동맥에 동맥경화증이 심해 혈관벽이 헐고 좁아져 있을 때 어느 순간
혈관내강에 혈액이 굳어져 혈관 속을 막아 버려 심장에서 보내지는 혈류가 차단되어 조직이 파괴되어 뇌연화의 현상을 초래하고 뇌혈전은 저혈압증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뇌혈전은 동맥경화가 주로 노인에게서 나타나므로 뇌혈전도 60세 이상 노인에게서 많이 나타난다.동맥경화는 고혈압일 때 많이 일어나므로
60세 이상의 고혈압자는 특히 뇌혈전을 조심하여야 한다. 다른 원인으로 신경매독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뇌혈관이 상해
뇌혈전을 일으킨 것이다.
 

증 세


뇌혈전에 의한 연화증에서는 수개월에 걸쳐 두통, 귀울림, 불면, 기억력 판단력 감퇴, 어지러운 뇌동맥 경화증 증세를 나타낸 다음에 일어나는 일이 많고 발병은 급작스럽지 않으며, 의식 소실은 대부분 없다. 신체의 마비는 손, 발, 왼쪽, 오른쪽 식으로 한 부분씩 마비가 오는 수가 많다.
 

전조증세


갑자기 손, 발, 얼굴 등의 한쪽 부위가 마비되거나 약해진다.
특별히 한쪽 시력이 흐려지거나 이중으로 겹쳐 보인다.
말을 더듬거나 무슨 말을 하는지 알 수 없다.
갑자기 두통, 현기증을 느끼거나 쓰러진다.
대,소변을 제대로 가리지 못한다.
이런 증세가 있을 때는 즉시 병원에 연락해야만 된다.
 

 치 료


한시라도 빠른 약물요법(지혈제, 항응고제) 치료가 요구된다.
일단 중풍이 생기면 병원에 먼저 가서 산소 호흡 등으로 뇌세포가 죽어가는 것을 최대한 막고 응급조치를 취한 후, 그다음 마사지, 침술요법, 천연요법 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뇌졸중 예방, 재발 방지: 스트레스과로
피함, 충분한 수면과 적절한 휴식, 식생활에 유의해 고혈압을 조절한다.

상용혈:
천부, 소상, 상양, 곡지, 두유, 족삼리,
        
경골, 풍지, 아문, 백회
비용혈: 십이정혈, 용천, 노궁, 승장, 중완
 

이 침

족 침

영양요법


중풍의 치료에 있어서 식이요법은 매우 중요하다.
마늘양파를 많이 섭취하여 피를 묽게 하고 혈전을 풀어 내도록 도와주어야 된다.
변비는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의 하나이므로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해
변비가 생기지 않도록 노력해야 된다. 중풍이 생겼을 때 변비가 있는 환자는 즉시 관장을 해주는 것이 필수
적이다.
기름기 음식은 혈액을 엉기게 하여 산소 공급의 저해는 물론 동맥경화를 촉진시키므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지나친
과음은 혈관을 파열시켜 중풍을 가져오나 약간의 붉은 포도주는 혈액순환의 촉진을 도와주어 중풍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흡연카페인이 든 커피, 설탕 음식, 튀긴 음식, 음식, 동물성 지방
음식은 중풍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한번 중풍을 맞은 사람들은 설혹 회복된다 해도 대부분 1년내 또다시
재발을 경험하게 되므로, 비장을 강화시키는 방법 등으로 예방에 각별히 신경
을 써야 한다.
 

 식이요법


뇌졸중 후유증에 좋은 음식물
미나리 : 혈압을 내리는 작용, 뇌졸중 예방과 후유증에 효과. 신선한 미나리채 50g을 짓찧어 즙내어 2회로 나누어 마신다.
복숭아씨
: 몸 속의 낡은 피를 내리고 피를 정화시키는 도인을 수일간 술에 담궜다 말려서 분말로 한 것을 작게 환을 만들어 1회 20환 하루 2번 술로 마신다.
검은 콩
: 신장을 보하므로 콩을 엿같이 되도록 잘 삶은 후 조금씩 계속 먹으면 뇌졸중으로 쓰러져 말을 못하게 된 사람에게 대단한 효과가 있다.
: 무우밥으로 만들어 매끼마다 먹는다. 썰어서 말린 무를 즙을 달여 마시면 뇌출혈 직후에 좋다.
우엉
: 신진대사를 강화, 혈액순환을 촉진, 뇌졸중 예방과 후유증 회복에 효과, 우엉을 적당량 달여서 죽으로 만들어 상식한다.
:
감차나 생감의 잎을 달여서 마신다.
 

  

 

2) 뇌출혈 

개 요


뇌출혈이란 뇌속의 소동맥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실질로 흘러
뇌조직을 파괴시킴으로써 일어나는 병이다.
 

원 인


정상 뇌혈관은 상당한 압력에도 괜찮으나 고혈압 환자에게는 병적으로
혈관벽해져 약한 압력에도 견디지 못하고 파열하게 됨. 뇌출혈은 갑자기 나타나지 않으므로 평소 혈압 측정이 중요하고, 그밖의 원인으로 동맥류, 혈관종, 출혈성 질환, 뇌동맥 경화증 등이 있다.
 

증 세


머리 무겁고 이명, 불면, 견통 등의
고혈압 증세 있다가 졸중발작을 일으키나 증상 없이 건강해 보이는 경우도 나타날 수 있다. 발작을 일으키면 갑자기 의식 불명, 기절해 잠깐 사이 깊은 혼수상태, 간혹 구토, 얼굴색은 붉은 색, 호흡크고 깊으며 서맥, 깊은 잠에 빠진 듯, 하품, 오줌, 열, 동공의 크기 수시 변화, 눈알의 위치는 한쪽으로 몰리는데 그 눈이 향하고 있는 쪽의  뇌속에 출혈이 있는 경우 많다.
혼수상태 지속시간은 수시간에서 수일이고, 지속 시간이 길수록 생명이 위태롭고, 24시간 이상이면 상당히 위험하며, 뇌출혈의 60~70%가 혼수에서 깨나지 못하고 사망한다.
반신불수 증세는 전혀 손발을 움직일 수 없는 것과 혼수시 마비가 혼수 깨어남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것 정도의 차이가 있다. 마비 증세는 우뇌에 출혈시 왼쪽 부위에 마비가 옴.
 

치 료


상용혈: 백회, 합곡, 현종, 풍지, 풍시, 양릉천,
        
족삼리, 삼음교, 곤륜, 환조
비용혈:
중완, 기해, 관원, 태충, 신문, 견정,
        
곡지, 예풍, 내관
 

이 침

족 침

 

 

3) 뇌전색 

개 요


뇌전색이란 뇌혈관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막힌 것
 

원 인


심장판막증이나 심장내막염 등에 의해 일어난다. 이는
괴사에 빠진 조직 조각이 벗겨진다든지, 혈액의 덩어리가 혈류에 의해 운반되어 뇌동맥에 가서 혈관을 막기에 일어난다. 이 병은 뇌졸중과 달리 젊은이에게 많음.
 

증 세


갑자기 구토, 의식 불명, 신체의 마비가 옴.
안색 창백, 혈압 떨어지며 심각한 상태로 됨.
 

치 료


뇌혈전 참조
 

이 침

족 침

 

 

4)지주막하 출혈 

개 요


지주막하 출혈은 대부분
뇌막의 세층의 하나인 지주막하에서 오는 출혈을 말함.
 

원 인


가장 흔한 원인은
동맥류파열이며 특히 동맥경화증이나 고혈압에 의해 출혈하는 일도 많다. 이런 출혈은 두부의 외상이나 과로, 출산, 흥분 등에 의해 일어나며 젊은이에게 흔히 나타남.  
 

증 세


후두부로부터 목덜미에 걸쳐 아주 심한 두통이 있고 구토, 현기증, 의식 잃는 수도 있으나 안면이나 사지 마비는 거의 없다. 출혈이 심하지 않을 때는 2~3시간 후에 의식 회복하나 고개를 미동도 못하게 심한 두통이 있다.
병세가 빠를 때는 증세가 일시적이며 1~2주만에 좋아지나 1주 이상이나 혼수가 지속되면 회복이 어렵다. 지주막하 출혈은 발병후 1~2주 사이 50%가 재발하고 그렇지 않으면 수개월 수년 후에 재발하며, 사망률이 60~70%나 되는 무서운 병이다.
 

치 료


뇌혈전 참조
풍지, 사염천,
중층, 상양, 금진, 옥액(사혈)
 

이 침

족 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