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요 |
일반적으로 최대 혈압이 낮아서 남자는 100mmHg이하, 여자는 95mmHg의 상태를 저혈압이라 한다.
|
원 인 |
증후성, 기립성, 본태성의 3가지로 구분한다. ① 증후성 : 영양실조, 심장병, 결핵 등으로 오래 누워 있을 때 생기는 것으로 병이 좋아지면 정상으로 돌아간다. ② 기립성 : 누워 있을 때는 정상인데, 일어나면 혈압이 내려가는 경우이다. 대체로 마른 체질의 부인에게 많으며, 어지러움의 원인이 된다. ③ 본태성 : 가장 많은 것으로 키크고 마른 사람에게 흔하다. 쉬 피로하고 몸이 무거우며 식욕이 없고, 변비, 생리불순이 따른다. 소화 잘 되는 단백질과 지방분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빈혈로 인한 피의 부족 : 위산이 부족해 섭취한 음식물을 흡수하지 못할 때 빈혈이 생기게 된다. 여성들의 월경도 빈혈의 원인 중 하나이다. 신장과 부신 기능의 저하 : 신장이 혈압을 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부신 기능 저하는 나트륨을 손실시켜 수분을 유지하는 기능을 떨어뜨린다. 스트레스를 내면에서 삭이거나 방어 만으로 대처할 때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이 나와 혈압을 떨어뜨린다.
|
증 세 |
보통 자각증세는 거의 없으나 운동을 하거나 온도가 낮은 곳에 있을 때 현저한 증세를 보인다. 대개 저혈압 환자는 생의 에너지가 고갈되어 심신이 쉬 피로하고 맥이 없으며 권태감, 두통, 현훈, 사지의 냉감, 견응, 심계항진,소화장애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면역 기능 또한 저하되기 쉬워 각종 병에 쉽게 감염된다. 정신신경증상이 강한 것, 위장증상이 많은 것, 순환기 증상을 호소하는 등 여러 증세가 있다.
|
치 료 |
저혈압증은 체질적인 것이 많으므로 식사, 운동, 수면 등 일상생활의 개선이 치료의 중심이 되고 영양가 높고 균형잡힌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식생활이 중요하다.
상용혈 : 천주, 견정, 신수, 곡지, 태계, 중완, 관원 비용혈 : 음릉천, 심수, 고황, 대거, 양계, 합곡, 태연, 흥분점
|
이 침 |
![](http://www.pharmspia.com/image/y2_6_5_1low1.gif)
|
족 침 |
![](http://www.pharmspia.com/image/y2_6_5_1low3.gif)
|
영양요법 |
평상시 충분한 물(하루 생수 8잔)과 적정량의 천일염 섭취가 필수적이다. 스트레스를 운동, 사랑, 용서 등으로 시원하게 풀어주는 것이 저혈압 치료의 또다른 지름길이다. 냉온욕과 마사지를 실시하면 혈액순환이 촉진된다. 권장식품으로 당근, 감자, 마늘, 양파, 파슬리, 양배추, 화분, 로얄제리, 포도즙, 두부, 브로컬리, 배추, 시금치, 셀러리, 된장국, 다시마, 미역, 김, 나무딸기, 민들레, 비트가 있다. 흡연은 혈압을 떨어뜨린다. 담배 연기 있는 곳에 가지 않도록 한다. 단전호흡 또는 등산은 저혈압에 큰 도움이 된다.
|
식이요법 |
저혈압에 좋은 음식은 쑥, 간, 당근, 망우채, 마늘, 무우잎 등. 쑥 : 저혈압으로 쉽게 피곤해지고 현기증이 일어나는 증상을 제거하므로 쑥잎을 잘게 썰어 햇볕에 건조시킨 것 20g을 달여 차 대신에 마신다.(1일량) 건조한 것 100g을 목면자루에 넣어 욕조안에 넣어둔다. 간(레버) : 간에는 혈을 증진시키는 작용 있다. 1주일에 1~2번 간요리 당근 : 혈을 보하므로 당근 채썬 것을 큰 수저로 1숟갈 따뜻한 밥위에 얹어 간장쳐서 먹는다. 망우채 : 철분 풍부해 시금치의 약 10배나 된다. 저혈압이나 빈혈증에 사용한다. 망우채를 기름으로 볶거나 즙내어 매일 먹는다. 마늘 : 저혈압에도 잘 들음. 강판에 깐 마늘 한 뿌리를 잘 볶아 검은깨 1홉을 섞어 꿀 180cc와 함께 입이 넓은 병에 넣어 냉암소에 1개월 재워둔다. 이것을 팥 크기로 환을 만들어 1일 2회, 더운 물에 타서 마신다. 무우잎 : 욕제로서 유명하고 몸을 덥히는 작용이 있으므로 수족 냉감 있는 사람에게도 좋다. 목욕에 욕제로 말린 무잎을 넣고 매일 입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