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요 |
신경계통의 과민 증세로써 심장에 관계가 있는 증세 (동계, 심장통 등) 뿐만 아니라 위장장애, 혈관 신경증세(손발이 축축해지거나 차가워지거나, 피부를 긁으면 줄이나 반점 혹은 홍반 등이 생기는 것)등의 여러 증세를 동반할 때가 있다.
|
원 인 |
정신적 관계로 생김. 저혈압을 나타낼 때도 있고 중독에 의하기도 한다. 그 중 담배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많고, 커피, 차, 술 등에 의해 일어나는 일은 대단히 드물다. 갑상선 중독, 난소적출, 갱년기, 자궁근종 등에 의할 때도 있다.
|
증 세 |
동계(두근거림)는 심장 뿐 아니라 머리, 귀, 배의 대동맥부에서도 느낄 수 있으며 맥박은 종종 신경성 기외수축 때문에 결대하여 불쾌감을 느끼게 한다. 혈압은 불안정하며 감동이나 운동에 의해 크게 동요하며 심장부에 때때로 아픔도 일어나고 혈관운동 신경증세는 언제나 존재하며 정신은 과민증상을 보인다.
|
치 료 |
심장 판막증과 같다. 상용혈 : 신유, 격유, 심유, 명문, 소료, 관원, 내관, 통리, 신문 비용혈 : 태계, 연곡, 족삼리, 삼음교, 중완, 소상, 간사
|
이 침 |
![](http://www.pharmspia.com/image/y2_6_3_1simsin1.gif)
|
족 침 |
![](http://www.pharmspia.com/image/y2_6_3_1simsin3.gif)
|
식이요법 |
신경증의 일종으로 심장의 기질 자체는 아무 이상이 없는데도 돌연 가슴이 답답해진다든가 동계가 일어나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자율신경의 실조에 의해 일어난다고 생각되며 신경질인 사람이나 갱년기 여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심장신경증에 좋은 음식> 차조기 : 신경증에 잘 듣고 차조기의 잎을 포함한 반하후박탕은 히스테리성의 사람에게 적합하고 차조기의 잎이나 열매를 식사때에 상용한다. 망우채 : 정신불안증이나 불면증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며 특히 쉽게 지쳐 초조해하는 사람에게 잘 듣는다. 망우채 건조시킨 것은 중화요리 재료매장에 있다. 요리시 망우채를 물에 불리면 철분이 나와 물이 검게 된다. 이 물을 버리지 말고 사용하도록 한다. 망우채를 다량으로 사용한 스프를 만들어 매일 마신다. 호두 : 호두 3g, 검은깨 30g, 뽕잎30g을 절구에 쪄서 1회에 9g, 하루에 2회 먹는다. 하루에 2개씩 호두를 먹거나 호두 30g을 가루로 해서 소량의 설탕을 넣고 1일 3회로 나누어 탕을 부어서 마신다. 검은깨 : 참깨는 비타민E를 많이 함유하므로 심장병의 예방이나 고혈압에 잘 듣는다. 완두콩 : 고혈압, 심장병에 사용한다. 완두콩 즙을 내어 1회에 찻잔으로 반씩 데워서 하루 2회 마신다. 차 : 오장 중에 심장을 주로 보하고, 심장을 건립하는 효능이 있는 차에는 심실의 수축을 증강시켜 이뇨를 촉진하고 부종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녹차를 자주 마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