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요 |
협심증이란 심장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 동맥의 이상에 의해 그 혈관이 좁아져 심장근의 산소와 영양소가 부족해서 생기는 질환이다.
|
원 인 |
가장 많은 원인이 심장의 관상동맥 경화증이며 그밖에 고혈압, 당뇨병, 비만증, 흡연 등이 위험인자이다.
|
증 세 |
진성 협심증과 신경성 협심증으로 나눌 수 있다. ①진성 협심증의 증세는 가슴 한가운데가 누르는 듯 조이는 듯 압박감이 있고 왼쪽 어깨와 팔이 저리고 아프다. 통증이 가슴에서부터 목, 턱, 왼팔까지 퍼져나간다. 통증은 길게 계속되지 않고 수분간 나타났다 없어진다. ②신경성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경련에 의한 것인데 휴식이나 잠자는 동안에도 발작이 생긴다. 증세는 가슴의 심한 압박감과 가슴이 째어지는 듯한 칼로 베어내는 듯한 통증을 느끼며 동시에 안면 창백, 식은 땀, 하품, 헛구역질과 미열이 날 수 있다. 협심증은 빨리 걷기나 운동할 때, 식사후에, 흥분시에 많이 나타난다. 협심증이 자주 발생하면 심근경색으로 발전하여 심장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
|
치료 |
전문가 지시에 따라 평소 발작의 치료와 예방에 힘쓴다. 특히 규칙적 생활로 발작의 계기가 되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피하고 과로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금주 금연을 실천하고 운동요법도 지속적 시행해야 한다. 만성 심장쇠약증세에 준한다.
상용혈 : 내관, 극문, 곡택, 간사, 소부, 신문, 심유, 단중 비용혈 : 극문, 거궐, 신주, 영대, 견정, 용천, 태계, 삼음교
|
이 침 |
![](http://www.pharmspia.com/image/y2_6_2_1simgen1.gif)
|
족 침 |
![](http://www.pharmspia.com/image/y2_6_2_1simgen3.gif)
|
영양요법 |
비타민E (심장의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킴. 헤모글로빈의 수명을 길게 함. 고용량에서 일시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200IU부터 시작하고 점차 100IU씩 증량) 비타민B15 (행인에서 분리됨. 쌀겨, 간, 혈액 및 맥주효모에도 함유, 심장질환과 류머티즘 치료에 이용됨. ) 비타민C (혈액응고 방지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동맥경화 예방) 비타민A, K, 하이비날, 비타민B12, 레시친, 해조분말 (각종 미량원소 공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