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요 |
신염은 사구체에서 네프로제는 세뇨관에서 발병하는 두가지 병이 있다. 급성 신장염: 감모성 질환(인후 임파선염, 비염, 편도선염)이나 전염성 화농균의 침입,피부병,구강병들이 원인이 되어 염증을 일으키는 것 전염성 원인으로 일어나며 발병이 잠행되어 있다가 일어나므로 급성기를 알기가 어렵고, 일단 치유된 것으로는 급성 신장염이 이행하는수가 있다 네프로제는 급성전염병의 간염, 화농성, 중독성(비소, 수은, 크롬, 인등), 만성전염병(결핵, 매독, 악성종양), 신진대사의 병(당뇨병, 빈혈, 바세도우씨병, 황달)에 의하여 발병한다.
|
증 상 |
급성 신장염 : 부종, 단백뇨, 요량감소, 안면창백, 전신권태, 혈뇨를 수반한다. 중증인 경우 신장부 동통, 발열, 호흡곤란, 심장부의 압박감 특히 혈압항진을 볼 수 있다. 만성 신장염: 부종, 단백뇨, 두통, 현훈, 호흡곤란, 식욕부진, 변비, 설사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네프로제는 단백뇨와 부종이 있고, 요량도 적어지고 안면도 창백하여 부종상태를 보이고 전신의 권태감을 호소한다.
|
치 료 |
상용혈 : 삼음교, 신유, 삼초유, 경문, 수분, 중완 비용혈 : 중극, 천추, 비유, 지실, 용천, 백회, 지양, 견정
|
이 침 |
|
족 침 |
|
영양요법 |
비타민 A, C, E(항산화제, 신동맥경화억제) B2,B6, Lecithin(지질침착을 방지하고 간으로 수송) K/Mg(Na배설이 되지 않으면 부종이 나타난다. 그 결과 K는 부족하다. 두가지를 보충해주는 것이 기본이다)
|
식이요법 |
잉어팥죽이 좋고 으름덩쿨, 구기자, 맨드라미, 무 등을 달여 먹는다. 오이나 수박의 즙을 내고 농축하여 하루 수차례 적당량씩 복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