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신장질환/1. 신장염/2. 신우염

미션(cmc) 2011. 9. 10. 21:11

신장질환

 

1. 신장염

개 요


신염은 사구체에서 네프로제는 세뇨관에서 발병하는 두가지  병이 있다.
급성 신장염: 감모성 질환(인후 임파선염, 비염, 편도선염)이나 전염성 화농균의 침입,피부병,구강병들이 원인이 되어 염증을 일으키는 것
전염성 원인으로 일어나며 발병이 잠행되어 있다가 일어나므로 급성기를 알기가 어렵고, 일단 치유된 것으로는 급성 신장염이 이행하는수가 있다 
네프로제는 급성전염병의 간염, 화농성, 중독성(비소, 수은, 크롬, 인등), 만성전염병(결핵, 매독, 악성종양), 신진대사의 병(당뇨병, 빈혈, 바세도우씨병, 황달)에 의하여 발병한다.
 

증 상


급성 신장염 : 부종, 단백뇨, 요량감소, 안면창백, 전신권태, 혈뇨를 수반한다. 중증인 경우 신장부 동통, 발열, 호흡곤란, 심장부의 압박감 특히 혈압항진을 볼 수 있다.
만성 신장염: 부종, 단백뇨,
두통, 현훈, 호흡곤란, 식욕부진, 변비, 설사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네프로제
는 단백뇨와 부종이 있고, 요량도 적어지고 안면도 창백하여 부종상태를  보이고 전신의 권태감을 호소한다.
 

치 료


상용혈 : 삼음교, 신유, 삼초유,
         경문,
수분, 중완
비용혈 : 중극, 천추, 비유, 지실,
         
용천, 백회, 지양, 견정
  

이 침

족 침

영양요법


비타민
A, C, E(항산화제, 신동맥경화억제)
B2,B6, Lecithin(지질침착을 방지하고 간으로 수송)
 
K/Mg
(Na배설이 되지 않으면 부종이 나타난다. 그 결과 K는 부족하다. 두가지를 보충해주는 것이 기본이다)
 

식이요법


잉어팥죽이 좋고 으름덩쿨, 구기자, 맨드라미, 무 등을 달여 먹는다. 오이나 수박의 즙을 내고 농축하여 하루 수차례 적당량씩 복용한다.
 

 

 

2. 신우염

개 요


세균신우 내에 침입하여 발병한다. 신우에 있는 것을 신우염, 신장의 내부에까지 미치면 신우신염이라 한다. 여성에게 많은 질환인데 여성은 요도가 짧으므로 세균이 침입하기 쉽다.
 

원 인


대장균, 포도상균, 연구균, 녹농군 등에 의해 감염의 원인이 된다. 신장결석, 응혈과 기생충의 침입으로 일어나기도 한다. 임신 중의 임신 신우염, 척수질환으로도 온다.
 

증 상


급성 : 오한, 고열이 나고 신장부위를 누르면 통증을 느끼며 부종과 더불어 요량이 적어지며 점액이나 농즙, 세균, 혈액등이 소변에 섞어 나오기 때문에 혼탁하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다.
만성
: 요량이 일정하지 않고 소변이 혼탁하다. 몸이 나른하고 요통도 있으며 고열이 났다가 가라앉고 하는 정도의 증세를 보이기 때문에 방심하기 쉽다. 방치해두면 위축신과 같은 상태가 되어 요독증까지 진행된다.
 

치 료


급성 : 안정을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식사는 염분과 단백질을 제한한다.

만성
: 원인이 되는 병이 있다면 그것을 치료해야 한다.
상용혈 :
중극, 수분, 기해, 곡천, 신유, 팔료혈,
비용혈 :
관원, 족삼리, 음릉천, 삼음교, 상구,
         
용천, 연곡
 

 이 침

족 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