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신장질환 /3. 위축신/4. 요로결석

미션(cmc) 2011. 9. 10. 21:12

신장질환 

 

3. 위축신

개 요


신장경변증이라 한다. 사구체나 세뇨관 등의 기능이 쇠약해지면 위험한 상태에 이르게 되며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원발성은 해독장애가 전신을 장애하므로 신장과 혈관의 손상으로 일어나고, 속발성은 급성이나 만성 신장염 등에 의해서 일어난다
 

원 인


원발성중금속 중독, 매독, 통풍, 알콜중독 그밖에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40~60세 사이에 남자가 많다.
 

증 상


시일을 두고 서서히 발병하며
두통, 호흡곤란, 가벼운 부종, 시력장애, 빈혈, 안저출혈을 일으킨다. 밤이 되면 자주 오줌이 마렵고 부종이 있고 다리가 무겁고  갈증과 요통을 호소하며 대체로 혈압이 높다.
 

치 료


초기에는 안정을 취하고 소금과 수분을 제한한다. 신장에 부담이 되지 도록 단백질을 섭취한다.

상용혈 :
수분, 중완, 삼음교, 신유, 삼초유,
         
용천 , 연곡, 경문
비용혈 : 중극, 천추, 비유, 자양,
         
백회, 축빈, 태계, 임읍
 

 이 침

족 침

 

 

 4. 요로결석 

개 요


신장, 요관, 방광,
요로계통의 부분에 이 생긴 질환을 말한다. 결석이 신우 및 신근에 있으면 신장결석, 요관부에 있으면 요관결석, 방광에까지 내려 오면 방광결석이라고 한다. 신장결석은 20대가 가장 많다.
 

 원 인


외적인자로서의 이들 성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이나 약물을 지나치게 섭취한 경우이고 내적인자로서 체내 신진대사나 질병 등에 의하여 이들 성분이 소변으로 많이 배설된 경우이다. 이밖에 식품에 의한 것과 스트레스도 들 수 있다. 
 

 증 세


통증과 혈뇨가 두드러진 증세이며 결석 부스러기가 소변에 섞여 나온다. 신장이나 요관결석은 통증이 갑자기 옆구리에서 시작하여 요관을 따라 퍼지고 때로는 고환, 질, 대퇴부위에 방사된다. 욕지기, 구토, 식욕부진이 있으며 배에는 가스가 차서 헛배가 불러 팽팽해진다. 
 

치 료


결석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치료하고 예방이 제일이므로 평소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균형이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용혈 :
음릉천, 천수, 관원, 태돈, 행간, 대계
비용혈 :
심유, 간유, 비유, 신유, 방광유, 소장유,
         
삼초유, 위중, 중극, 합곡
 

이 침

족 침

영양요법


활석
15g을 분말로 부수어 1일 3회로 나누어 마신다
 

식이요법


호두, 도미의 뼈, 곤약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