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신장질환/5. 방광염/6. 야뇨증

미션(cmc) 2011. 9. 10. 21:13

신장질환

  5. 방광염

개 요


세균감염에 의한 방광결막의 염증으로 세균은 대장균, 연쇄상 구균, 임균, 결핵균 등에 의해 감염되고, 방광결석도 원인이 된다. 급성, 만성으로 구별하고 만성인 경우 수년간 계속 되며 급성이 치유되지 않았거나 방광결석, 결핵, 선호성비대 및 요도협착으로 일어난다.
 

증 상


배뇨곤란, 방광부 압박감, 방광부 통증의 특징이 있다.
급성: 배뇨곤란,심한 요의 빈삭을 느끼고 배뇨시 격렬한 통증을 느끼며 배뇨가 끝날 무렵에 더욱 심하다. 배뇨하고 싶은 느낌이 강하고 횟수도 많으나 뇨량은 조금밖에 나오지 않으며 희게 탁하고 오줌반응은 산성이다.
만성: 배뇨시에 통증과 요의 빈삭은 급성보다 경미하나 오줌은 고름 또는 혈뇨증세
를 보이고 오줌 반응은 알카리성이다. 
 

 치 료


안정을 하고 수분을 많이 섭취하여 소변량을 늘이고
몸을 따뜻하게 하고 자극성 있는 음식물을 삼간다.

상용혈 :
중극, 곡골, 기해, 수분, 신유, 삼음교
비용혈 : 관원, 삼리, 음릉천, 삼음교,
         
대장유, 하초유, 위양
 

 이 침

족 침

 영양요법


요구르트를 먹으면 장내 정상세균총을 유지하여, 요로쪽으로 세균 확산을 방지한다.
 

비타민
요법


비타민 C(요산성화제로 작용하여 세균의 성장을 억제, 항미생물작용), A(점막 및 피부의 재생을 촉진), E(점막보호  작용, 상처치유촉진, 혈액순환작용, 항산화작용)
 

식이요법


수박과 같이 수분이 많고 이뇨 효과를 볼 수 있는 식품을  섭취한다. 수박즙만을 여과하여 이를 물엿처럼 농축하고 하루에 한 숟갈씩 복용한다. 지자부, 고사리종자, 잉어으로 죽을 쑤어 먹는다.
 

 

 

6. 야뇨증 

개 요


보통
소아에게 일어나며 어렸을 때에는 야간의 유뇨생리적 현상이다.
성장함에 따라 배뇨하는 습관을 가지게 되는데 주의를 게을리 하고 교육의 방법이 좋지 않으면 성장한 후에도 유뇨를 하게  된다. 원인은 소아의 게으름, 야식, 과식, 음료수, 과음 등이다
소아의 당뇨병, 위축신, 반사적 자극으로 일어난다(장기생충, 요결석등) 중추성 신경적 질환도 원인이 된다.(소아간질, 신경질적인 소아 등)
 

증 세


대개 취침 후 2시간에
무의식적으로 배뇨한다. 취침하기 전에 다량의 액체를 마시거나 식사를 한 직후에 잠을 자면 유뇨하는 수가 있다. 환자는 안면이 창백하고 신경이 날카로운 선병질로 생긴 어린이가 많다.
 

치 료


평소에 아이에게 정신적 부담이나 흥분을 주지 않도록 여유있는 마음가짐이 중요하고 아이도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도록  안정을 만들어 준다.

상용혈 : 관원, 삼음교, 족삼리, 신문
비용혈 : 야뇨점, 신주, 명문, 백회,
         
신유, 간유, 중극음릉천
 

이 침

족 침

식이요법


소금, 비파, 찹쌀, 당근, 참마, 은행 등이다.
완치될 때까지 은행을 유체기름에 절이거나 볶거나 쪄서 저녘 식사 후에 어린이는 매일 5개 정도 씹어 먹는다. 말린
연잎
을 달여 그 물을 1주일간 섭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