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산부인과질환/1. 월경 곤란증(생리통)/2. 무월경. 희발. 과소월경

미션(cmc) 2011. 9. 10. 21:36

산부인과질환

 

1. 월경 곤란증(생리통)

개 요


월경시에 전신적으로나 국소적으로 증세가 나타나는 생리적인 현상을 말한다.
 

원 인


난소의 기능장애, 자궁의 발육부진, 난소염, 난관염, 자궁 내막염, 자궁질염 등이나 월경혈이 나오는 통로에 종양, 근종, 폴립 등이 있든가 또는 자궁의 위치 이상에 의하여 일어나는 수가 있다.
 

증 상


생리시 심한 하복통, 요통, 신경통 등을 일으키고 전신적으로 힘이 없고, 피곤하여 두통, 구토, 변비 등을 일으켜
고통이 심하고 활동할 수 없을 정도이다. 
 

치 료


생리기간에는 정신적인 긴장을 삼가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속옷은 면이 좋다. 목욕은 세균감염이 될 수 있으므로 샤워정도로 마치는 것이 좋다.

상용혈 :
삼음교, 귀래, 족삼리, 신유,
         
관원, 기해, 곡골
비용혈 : 대맥, 오추, 중극, 용천, 방광수,
         
혈해, 천추, 내정
 

이 침

족 침

영양요법


비타민
B6(월경전증후군을 완화), E(통증완화), C, B12, Mg(월경장애 해소), 참기름
 

식이요법


삶은
닭고기나 생선을 섭취하고 무우, 흰소금, 흡연, 소고기, 돼지고기, 커피와 설탕, 설탕든 음식, 술은 피하는 것이 좋다.
 

 

 

2. 무월경. 희발. 과소월경

개 요


무월경: 성숙기에 있는 여자에게 월경이 없는 것을 말한다.
희발 월경: 월경주기6~12주일 이상의 간격
을 두고 월경을 한다.
과소월경: 월경주기와 관계없이
월경량이 적거나 1~2일 이내에 월경이 끝나는 것을 말하는데 이 두가지는 때때로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원 인


난소의 기능장애, 자궁의 발육부진, 전신질환(폐결핵, 장결핵, 출혈병, 신장염, 당뇨병), 전염병(말라리아, 감기, 폐염, 단독, 성홍열) 등이 있을 때, 기능성 장애(감정변화, 생활, 기후의 변화), 대상월경 등에 의해서 일어난다.
 

치 료


평소
영양의 밸런스에 신경을 써서 식품을 섭취하고 적당한 운동과 규칙적인 생활을 하면 치유될 수 있다.

상용혈 :
신유, 삼음교, 음교, 관원
비용혈 : 격유, 혈해, 지기, 기충, 곡골
혈액부족 : 격유, 혈해
혈액 순행 장애 : 기충, 지기,
곡천
 

이 침

족 침

식이요법


겨자가루를 하루에 5g씩 2일 동안 먹는다.
말린
맨드라미꽃
을 달여 적당량 먹는다.
약용버섯
3개와 호도 3개를 달여 마신다.
박과 박씨
를 달여 마셔도 좋다.
미나리
를 뿌리 채로 말려서 달여먹으면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