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산부인과질환 /9. 불임증/10. 습관성 유산

미션(cmc) 2011. 9. 10. 21:41

산부인과질환 

 

9. 불임증

개 요


결혼 후 3~4년이 경과 하여도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하며 한번도 임신하여 보지 못한 경우를 선천성 불임이라 하고 한번 임신하였으나 그 후 임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후천성불임이라 한다.
 

원 인


남자의 경우에는 정력부족, 임포텐스 조루증, 중병 등에 의한 정자 결핍 등을 생각할 수가 있다.
여자의 경우에는 성병 질환이 원인이 되는 수도 많으며, 자궁 발육 부진, 난관 폐색, 배란 장애, 자궁 위치 이상, 자궁 질환, 내분비 이상, 감정의 변화나 체질에 이상이 있는 경우도 있다.
 

치 료


상용혈 : 내관, 족삼리, 중극, 음교, 관원, 기해
비용혈 : 혈해, 삼음교, 음릉천, 용천, 신유
         
관원, 중완, 천추,
  

이 침

족 침


식이요법
 

율무, 우엉, 사프란, 검은콩, 목이버섯이 좋다.

 

 

10. 습관성 유산

개 요


태아의 체중이 500mg이 되기 이전인 임신 20~22주에 수정란이 배출되는 것을 말하며, 임신은 자주 되나
3회이상 유산 경험이 있는 경우를 습관성 유산이라고  한다.
 

원 인


자궁의 발육부진, 경관 열상, 만성 자궁내막염, 당뇨병, 자궁 위치 이상 등이  원인이 되나 신염, 매독이 중요 원인이다. 그밖에 원인이
불명인 경우가 37% 정도이다.
 

증 세


임신 4개월 이내에는 먼저 약간의 출혈이 보이면서 하복부에  묵직한 느낌이 수시간 내지 수월간 계속되며 그후 진통과 비슷한 발작성의 통증이 허리와 아랫배에 온다. 출혈량과 수정란의 배출 유무에 따라 절박 유산, 불완전 유산, 완전 유산으로 분류하며 태반이 완성된 후의 유산은 정상 분만과 같은 과정이 있으나 큰 출혈은 없다.
 

치 료


예방하기 위해서는 격렬한 운동, 정신적인 충격도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안정이 필요하고 따뜻한 음식을 섭취한다.

상용혈 :
내관, 음교, 관원, 중극, 삼음교, 합곡
비용혈 : 신유, 중완, 기해, 자궁
         
혈해, 족삼리, 음릉천,
 

이 침

족 침

영양요법


표고 버섯 균사체(일반 식물에 비교한다면 잎, 줄기, 뿌리에  해당)속의 성분이
호르몬과 내분비를 조절하게 됨에 따른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