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산부인과질환 /13. 입 덧/14. 불감증

미션(cmc) 2011. 9. 10. 21:44

산부인과질환 

 

13. 입  덧

개 요


임신이 되어 빠르면 2주 정도 지나면서부터 오심, 경미한 구토 증세를 보이는데 대개 6~8주경부터 자연히 나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원 인


내분비의 기능 변화, 정신적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증 상


오심, 구토, 식욕부진, 두통, 구토물, 황달증세, 정신노곤 등이 나타나고, 그 증세 경과에 따라 3기로 분류한다.
제1기: 경미한 메스꺼움과 구토가 서서히 일어난다.
제2기
: 구토가 더욱 심해지고 심한 중독 현상이 나타나 요량감소, 황달, 식욕감퇴 등이 나타난다.
제3기
: 계속 신경 증상을 일으켜 다발성 신경염, 이명, 시력장애, 두통, 현기증, 불면 등을 나타내어 뇌증상을 합병하여 혼수에 빠진다.
 

치 료


상용혈 : 족삼리, 내관, 상완, 태충,
         
음릉천, 공손, 간수
비용혈 : 구토(
풍융), 해계, 내정,
         현훈(
태충), 전중, 중완
 

이 침

족 침

식이요법


부뚜막의
, 생강,
 

  

 

14. 불감증

개 요


남성의 경우는 조루증, 임포텐스 등에 의하고 여성의 경우는 불감증을 들 수 있다.
 

원 인


여성은 처녀막의 파괴에 의한 통증과 그후의 임신, 산욕의 심한 고통의 경험, 주위 사람들에 대한 불안 심리에 의해 억제 되었던 감정에 의한 것 등이 있다.
 

치 료


부부가 사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도록 서로 노력한다.

상용혈 : 관원, 중극, 족삼리, 삼음교, 신유
비용혈 : 지실, 간유, 비유, 대장유,
        
기해 곡골, 석문, 자궁
 

이 침

족 침

식이요법


월계수 잎을 성교 1시간 전에 씹거나, 메꽃의 잎과 줄기를 끓여 차로 마신다.
평소에는
셀러리 주스
를 마시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