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락 수혈론] [경락 수혈론] 1.수혈 가. 수혈의 개요 수혈이란 경락계통의 노선 상에서 경기의 반응이 가장 예민하며, 강력하게 반응하는 특정 부위라 할 수 있다. 즉 인체 내의 장부나 경락의 기가 체표 면에 나타난 것이다. 나. 수혈의 명칭 수혈은 흔히 수혈(輸血), 유혈(兪穴), 수혈(腧穴) 등으로 다양하게 표가 된..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09
오장육부의 위치』 오장육부의 위치』 ▶간 횡격막 바로 밑, 복강의 우측상부에 위치하고 무게는 1.2~1.7kg이다. 위쪽은 둥글고 밑은 우묵하며, 좌우의 엽으로 가라져 있으며 우엽이 좌엽보다 두껍고 크다. *간이 하는일 -담즙을 만든다. 간에서는 하루에 600cc(박카스 6병)정도의 담즙(쓸개물)을 만들어 소장으로 보내어 소화..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09
오유혈(五兪穴)과 오행혈(五行穴) 사용법 오유혈(五兪穴)과 오행혈(五行穴) 사용법 오유혈 배혈법 오유혈(五兪穴)이란 십이경맥(十二經脈) 상에서 각 경락은 상지(上肢)의 주관절( 關節) 이하와 하지(下肢)의 슬관절(膝關節) 이하에 각각 중요한 다섯 경혈을 갖고 있다. 즉, 사지(四肢)의 말단(末端)에서 주관절( 關節)과 슬관절(膝關節)로 향하여..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09
14경락(12정경과 독맥,임맥)의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감각 14경락(12정경과 독맥,임맥)의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감각 족양명胃경 족태음脾경 족태양膀광경 족소음腎경 족소양膽경 족궐음肝경 任 맥 * 순환 (3) * 수혈 : 위수혈 * 모혈 : 중완혈 * 원혈 : 충양혈 * 락혈 : 풀륭혈 * 극혈 : 양구혈 * 2족위치 * 위경에 이상이 있는 사람은 얼굴과 피부에 윤기가 없고 색깔..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07
14경맥표(오수혈-요혈-보사)| 14경맥표(오수혈-요혈-보사)| 오유혈(오수혈) 중요혈 자모혈보사 오행성속 원혈 낙혈 극혈 모혈 유혈 수태음폐경 흉부, 인후, 기관, 코, 폐질환 금 정목혈:소상 형화혈:어제 유토혈:태연 경금혈:경거 합수혈:척택 태연 열결 공최 중부 폐유 맥회: 태연 허즉보기모혈:유토혈․태연 실즉사기자혈:합수혈․..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07
[스크랩] 12정경 유주도 & 경혈도 경락은 기(氣)가 드나드는 통로이다. 경락은 통합적으로 봐야 한다. 경락 따로, 핏줄 따로, 근육 따로, 신경 따로, 피부 따로 보는 것은 위험하다. 우리의 몸이 통째로 경락이다. 기의 운동 형식은 승강출입(昇降出入)이다. 음경락(陰經絡)은 기를 올려주고, 양경락(陽經絡)은 기를 내려준다. * 수삼음 경.. 침구학/침구기본학 2011.09.07
12정경 유주도 12정경 유주도 ↓ 陰 經 태음 (太陰濕) 수태음폐경 ―――――― 수양명대장경 양명 (陽明燥) 陽 經 ↓ 족태음비경 ←――――― 족양명위경 ↓ 소음 (小陰君火) 수소음심경 ―――――― 수태양소장경 태양 (太陽寒水) ↓ 족소음신경 ←――――― 족태양방광경 ↓ 궐음 (獗陰風) 수궐음심포경 ―――.. 침구학/침구기본학 2011.09.07
사지부(四肢部) 사지부(四肢部) 십선(十宣) shíxuān 열손가락 끝에 손톱에서 0.1寸 되는곳. 고열(高熱), 혼미경풍, 간질증, 히스테리, 손가락마목. 점자하여 출혈시키거나 0.1~0.2寸 천자(淺刺). 사봉(四蜂) sìfèng 제 2, 3, 4, 5 지의 손바닥쪽에 둘째금 중앙. 소아감적, 소아 소화불량, 백일해, 설사, 회.. 침구학/침구기본학 2011.09.05
흉복부(胸腹部) 흉복부(胸腹部) 제중사변(臍中四邊) qízhòngsìbiān 배꼽 상하 좌우 각 1寸인데 모두 4개혈. 설사, 이질, 복통. 0.5~0.8寸 직자. 뜸 가능. 위상(胃上) wèishàng 배꼽 위 2寸에서 옆으로 4寸. 위하수, 식욕부진, 복창(腹脹). 배꼽으로 혹은 천추방향으로 1~1.5寸 사자(斜刺). 삼각구(三角灸) .. 침구학/침구기본학 2011.09.05
항배요부(項背腰部) 항배요부(項背腰部) 백로(百勞) bāiláo 대추 위 2寸에서 옆으로 1寸. 연주창, 해소, 해혈, 백일해, 학질, 목 근육경련 혹은불친 증상. 0.3~0.6寸 직자. 뜸 가능. 정천(定喘) dìngchuǎn 대추 옆 0.5寸. 해수, 천식, 낙침(落枕), 상지마비와 통증, 등허리통증, 두드러기. 0.5~0.8寸 직자. 뜸 가.. 침구학/침구기본학 2011.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