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회 복 지/사회복지 과제물

사회복지 조사 방법

미션(cmc) 2008. 12. 10. 19:34

1. 사회복지조사의 의미

― 이와 같은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사회조사방법임.

∙ 사회조사방법은 조사(research)라는 실증적인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을 통해 사회현상에 대한 새로운 사실, 지식, 이론 등을 체계적․논리적․경험적으로 발견하기 위한 과학적 연구방법을 의미함.

― 사회복지조사란?

∙ 사회과학의 하위 학문분야인 사회복지학의 영역에서 개인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고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하며, 사회복지 이론과 관련된 이슈의 해답을 구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함에 있어서 활용되는 과학적 자료수집 방법 및 지식탐구 절차를 의미함.

∙ 사회복지조사는 과학적 방법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논리성, 검증가능성, 구체성, 일반성, 재생가능성, 객관성 등 과학적 방법의 특성을 가져야 함.

― 과학적 연구방법론으로서 사회복지조사의 위상

: 과학적 연구방법론 〉사회과학적 연구방법론 〉사회조사방법 〉사회복지조사

2. 사회조사방법의 의의와 중요성

가. 사회조사방법의 의의

― 과학적 지식을 형성하기 위한 사회과학의 과학적 연구방법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사회조사방법임.

― 사회조사방법은 조사(research)라는 실증적인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을 통해 사회현상에 대한 새로운 사실, 지식, 이론 등을 체계적․논리적․경험적으로 발견하기 위한 연구방법임.

나. 사회조사방법의 중요성

― 바람직한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목적을 이룰 수 있는 것처럼, 정확하고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했을 때 사회현상을 보다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정확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

― 우리가 사회조사의 기본원리와 방법을 배우는 것은 사회과학 연구에 있어서 과학적 연구방법으로서 사회조사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것임.

― 사회과학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구방법이 발달되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실증적인 자료에 의해 체계적으로 사회현상을 연구하는 사회조사방법이 발달되어야 함.

― 특히, 사회복지학 등의 응용사회과학은 현실사회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정책을 개발하고 집행하며 현장에서의 실천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실을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과학적 연구방법론으로서 사회조사방법론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3. 과학적 연구방법론으로서 사회복지조사의 필요성

― 사회복지 영역에 있어서 과학적 지식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으며, 사회복지 전문가들은 다양한 사회복지 분야에 대한 지식개발과 실천을 위해서 과학적 연구방법론을 필요로 함.

― 사회복지 영역에서 이와 같은 과학적 연구방법론의 핵심이 바로 사회복지조사라고 할 수 있음.

4. 사회복지조사의 특성

가. 응용조사

― 사회복지조사는 응용조사와 순수조사 또는 기초조사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음.

― 그러나, 사회복지조사는 사회현상에 대한 지적 이해와 지식 자체만을 획득하려는 순수조사라기보다는 조사의 이유나 목적이 주로 인간의 욕구충족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지식 산출이라는 측면에서 응용조사의 성격이 강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조사가 실천에 활용될 지식추구에만 지나치게 집착한 나머지 제한된 문제에 대해서만 이루어진다면 경험적 일반화에 기여할 수 없음.

나. 사회개량: 사회개량적 특성

― 사회복지조사는 주로 노인, 장애인, 아동, 빈곤계층 등과 같은 사회적 약자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사회개량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

∙ 역사적으로도 사회복지조사의 선구자들은 사회개량을 위해 사회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에 기초해서 사회복지사업을 발전시켜왔음.

《예 1》부스(C. Booth) - 런던 빈민가를 조사하여 현대적 사회조사방법론 개발에 선구자적 역할

《예 2》라운트리(B.S. Rowntree) - 부스의 도시빈곤문제에 대한 관심을 계승, 표본추출방법 활용, 도시빈곤층 조사를 통해 빈곤대책 수립에 기여

∙ 20세기에 들어서 사회복지조사는 각종 사회복지제도의 확립에 기여해왔음.

― 요컨대, 사회복지조사는 인간의 욕구충족과 복지증진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과 노력을 이끌어내는 사회개량적 성격을 나타냄.

다. 문제와 욕구조사: 계획적 특성

― 욕구는 사회복지의 표적(target)체계이며, 이를 흔히 문제라고 정의함.

― 사회복지는 ‘욕구조사­개입­평가’의 연속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음.

― 사회복지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계획적으로 제공함에 있어서 욕구측정이 필수적인 절차가 되고 있음.

― 따라서, 욕구조사는 사회복지실천의 첫 번째 단계라고 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조사는 욕구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는 과학적 방법임.

― 욕구조사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 복지서비스 수혜대상자가 지닌 욕구의 종류와 수준을 파악하고,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정책을 개발해내고, 기존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복지서비스 계획을 체계화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음.

∙ 이러한 욕구조사방법은 최근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매우 강조되고 있고 많이 활용되고 있음.

라. 효과측정: 평가적 특성

― 사회복지조사는 사회복지 전문가들의 실천활동이 어느 정도 목적을 달성했으며, 효과가 있었는지 측정하는 방법임.

― 사회복지서비스나 정책프로그램에 의한 개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써 사회복지조사가 활용되며, 이와 같이 프로그램이나 정책대안의 개입효과를 평가하는 조사를 프로그램평가조사라고 함.

마. 개입방법의 연구: 시험적 특성

― 사회복지실천이나 정책프로그램에 의한 개입은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음.

― 따라서, 개입효과에 대한 측정과는 별도로 프로그램이나 정책대안의 개입내용이 정확한지, 클라이언트의 복지욕구에 적합한 것인지, 서로 다른 개입에 다른 상관관계 등을 규명해야 함.

― 이 때, 사회복지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상호작용과 상관관계, 개입내용의 정확성과 적합성을 분석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개입방법을 시험할 수 있음.

바. 과학화: 과학적 특성

― 사회복지조사는 사회복지 분야의 전문성과 과학성을 주장하고 이를 입증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임.

― 사회복지조사는 사회복지와 관련된 사실, 현상, 경향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실험적인 방법을 통해 진위여부를 증명함.

― 특히,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문제를 계량화함으로써 이를 객관적이고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증할 수 있는 과학적 연구를 지향함.

― 따라서, 사회복지조사는 사회복지실천뿐만 아니라 학문영역으로서 사회복지의 과학화를 촉진시킴.

5. 사회복지조사의 범위

― 사회복지조사의 범위는 순수한 사회복지 영역의 주제뿐만 아니라 관련된 사회과학 분야의 다양한 주제들을 포함하고 있음. 따라서, 사회복지조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 할 수 있음.

― 라이드(Reid, 1995)는 기존에 발간된 연구보고서의 내용을 검토하여 사회복지조사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음.

∙ 개인과 가족 및 소집단의 다양한 속성에 관한 조사

∙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조사

∙ 사회복지 전문직 또는 다 학문적 관계에 대한 조사

∙ 조직과 지역사회를 포함한 사회정책에 관한 조사

― 글리손(Glisson, 1990) 역시 5개 주요 사회복지 학술지의 논문을 검토하여 사회복지조사의 연구내용을 실천방법 중심으로 4가지로 분류함.

∙ 개인과 가족 및 집단에 대한 직접적인 실천분야

∙ 사회정책과 복지행정 및 지역사회조직과 같은 간접적인 실천분야

∙ 사회복지 교육과 관련된 분야

∙ 조사연구방법론과 관련된 분야

― 이처럼 사회복지조사의 범위는 개인 및 가족, 공식적․비공식적 체계, 그리고 다양한 사회체계들간의 광범위한 관계를 포괄하고 있음.

6.과학적 연구방법의 두 가지 논리체계: 연역법 vs. 귀납법

― 과학적 지식을 형성하기 위한 과학적 연구방법의 논리체계는 연역법(deduction)과 귀납법((induction)으로 구분됨.

가. 연역법(deduction)

가설

개념

조작화

관찰

이론

검증

― 전통적인 과학적 연구방법은 ‘가설 → 조작화 → 관찰 → 검증’의 과정을 거치는 연역적 접근방법임.

― 연역법은 일반적인 것으로부터 특수한 것을 추론해내는 논리적 접근방법임.

― 연구주제와 관련된 기존 이론을 바탕으로 가설을 만들어 실증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함.

― 연역법의 대표적인 예는 삼단논법에 의한 논리전개 방식임.

나. 귀납법(induction)

주제선정

관찰

유형발전

임시결론

― 귀납적 접근방법은 현상에 대한 관찰에서 출발하여 일반적인 원리나 이론을 추구하는 논리적 전개방식이며, ‘관찰 → 유형발전 → 임시결론 → 이론화’ 과정을 거침.

― 귀납법은 경험의 세계에서 관찰된 많은 사실들이 공통적인 유형으로 전개되는 것을 발견하고 이들의 유형을 객관적인 수준에서 증명하는 것임.

― 연구문제는 가설을 설정하지 않고 연구자의 관심분야나 문제를 인식하는 차원에서 출발함.

― 연구대상이 된 현상을 경험적으로 관찰하고 이를 기록하며, 기록된 결과로부터 어떤 규칙에 따라 일정한 유형이 발견됨.

― 일정한 유형이나 규칙성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이를 임시적인 결론으로 발전시킴.

다. 연역법과 귀납법의 상호관계

― 분석적인 연역법과 경험적인 귀납법은 상호 대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

― 사회과학에서 과학적 지식을 탐구하기 위한 논리체계로서 양자의 중요성이 모두 인정되지만, 일반적으로 기존 이론이 존재할 경우에는 연역적 접근방법으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귀납적 접근방법을 주로 사용함.

― 그러나, 과학적 연구에 있어서 어느 하나만을 배타적으로 추구해서는 안됨.

∙ 논리적 필연성을 갖는다는 측면에서 연역적 추론의 중요성을 인정해야 하며,

∙ 내용의 공허함을 극복하고 예측의 지식적 가치를 인식함으로써 귀납적 논리의 중요성도 인정해야 함.

― 결론적으로, 연역법과 귀납법은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며, 이와 같은 두 논리체계의 연결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