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소화기계 질환/1. 구내염, 설염/2. 식도염

미션(cmc) 2011. 9. 10. 17:55

소화기계 질환

 

    

1. 구내염, 설염

원 인


구내 점막의 자극(의치, 치석, 음식물의 이물질), 화학적 자극, 과도한 흡연, 각종 세균, 충치나 잇몸이 곪았거나 입안이 불결할 때, 기계적 또는 열에 의해 자극을 받을 때, 급성 전염병, 위장질환, 월경, 임신, 혈액병, 비타민 결핍증, 영양실조, 과로, 빈혈, 수면부족 등이 있을 때 발생한다.
 

증 세


구강 점막이 빨갛게 부어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침을 흘리며 짠 것, 신 것, 뜨거운 것을 섭취할 때
동통이 있으므로 음식을 잘 먹지 못하고 따라서 잠도 잘 못자며 입에서 불쾌한 냄새가 난다. 한편 혀의 점막이 빨갛게 부어올라 얼얼하게 아픈 것이 설염인데, 심해지면 너무나 아파 식사도 할 수 없을 정도이다.
 

치 료


입 안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하루에 몇 번씩 구강청정제로 헹구어 내거나 양치질을 해야 하며, 영양상태도 유의해 알레르기 체질이라면 그것을 개선시키는 등 전신적 치료가 중요하다.
비경과 위경의 혈을 사혈 위주로 침자한다.

상용혈 : 합곡, 상양, 족삼리, 금진옥액,
         
내관, 수구, 승장은백
비용혈 : 삼음교, 신문, 염천
         
소상, 척택(은백, 금진옥액 : 사혈),  
 

이 침

족 침

 

식이요법


구내염에 좋은 음식은 무, 토마토, 보리, 벌꿀, 배, 연 등
: 위열이 왕성해서 구내염이 생기는 사람은 생으로 먹는 것이 좋고, 위하수나 위확장 등 위가 냉한 타입의 사람은 달여서 먹는 편이 좋다. 무를 강판에 갈아 매끼마다 찻잔 3분의 1 정도 먹는다.
토마토
: 토마토를 대량으로 먹으면 몸을 차게 하므로 냉증인 사람이나 허약체질인 사람은 생으로 다식하지 않는 편이 좋다. 1일에 수회 복용하며 1회에 수분간 토마토 주스를 입에 물고 있으면 좋다.
보리
: 위장에 열이 있고 궤양이나 구내염을 일으키기 쉬우며 입이 쓰고 혀에 백태가 생기는 타입의 사람에게는 쌀보다도 보리를 주식으로 하는 편이 좋을 것이다.
벌꿀
: 청열, 해독, 윤조의 작용이 있으므로 구내염에 사용된다. 벌꿀을 8배의 물에 탄 액으로 양치질한다. 1일 수회 행한다.
: 입이 갈하다든가 목이 아플 때, 더위를 먹어 목이 갈할 때에도 사용한다. 커다란 배를 얇게 썰어 차거운 물에 한나절쯤 담궜던 것을 자주 마시거나 입이 건조해서 구내염이 있을 때는 배즙을 핫주스로 마시면 효과가 있다.
: 연근은 빈혈증, 혈뇨, 코피 등에 강한 지혈
효과를 하며 연 열매는 자양강장, 정신안정 작용에 대단히 우수하다.
연꽃은 더위먹은 데나 습진에 사용하고 연잎
은 비만증이나 건위제가 되며 구내염에도 잘 듣는다.
연잎 검게 태운 것
을 구내염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연잎을 검게 태워 헝겊에 싸서 물에 적신 후 입에 물고 있는다.
 

 

 

2. 식도염

개 요


급성, 만성, 부식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급성 카타르성 : 급성 전염병( 감기, 폐렴, 홍역, 성홍열)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며, 수술할 때 에테르 마취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식도 점막이 붉게 부어 있고 헐기도 한다.
만성 카타르성 : 가장 흔한 식도질환으로 구토나 반추를 일으키는 소화기
질환이나 만성 심장병, 결핵, 매독 등에 기인하는 경우가 있다.
부식성 식도염
: 강한 산성이나 알칼리성의 약품을 먹었을 때 일어난다.
 

원 인


위문부에 괄약근은 위의 상부와 식도 끝부분에 위치해 있으며음식이 식도를 통해 위로 들어오면 재빨리 열어서 통과시키고다시 꼭 닫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괄약근이 처방약, 스트레스, 비만, 임신 또는 술, 세균감염, 쵸코렛, 맵고 짠 음식 등으로 약해지거나 늘어지게 되면 위산 역류해 올라오므로 보호 점액질이 없는 식도는 통증을 느끼며, 헐고 붓게 된다.
 

증 세


가벼울 때는 식도부위가 뜨금뜨끔 한 가슴앓이지만, 심한 경우에는 점막이 많이 짓물러서 아프거나 피가 나고 음식물을 삼키기가 어려워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된다. 신경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식도에 이물질이 붙어있는 감각이 있고 식도협착이 발생하면 음식물을 삼키지 못한다.
 

치 료


우선 폭음, 폭식을 피하고 약간 모자란 듯한 식사를 하도록 한다.

상용혈 : 격유, 합곡, 태충, 족삼리
         
전중, 중완, 천돌
비용혈 : 공손, 내정, 지구, 비유, 위유,
         
신문, 어제, 거궐, 구미
 

이 침

족 침

 

영양요법


다시마 효소, 자초, 삼칠 등이 효과있으며 우유는 칼슘 때문에 먹는 당시에는 제산 효과가 있으나 3~4시간이 지나면 더 많은 위산이 분비되어 역효과가 나타난다. 알루미늄이 든 제산제를 오해 복용하는 것은 현명하지 하다. 제산제장복하게 되면 알루미늄에 접착되어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이요법


씨눈 떼어낸 감자를 껍질을 갈아서 자주 마시고 채소 과일 등을 많이 먹고 설탕이 든 음식 자극성 음식을 피한다. 소화가 몇 배나 힘든 지방 음식을 먹지 않으며 식후 바로 눕지 않고 취침시 위산 역류로 속앓이가 생기는 경우는 머리 부분이 약 7~10cm 올라가게 하고 잔다. 담배는 식도와 위 사이의 괄약근약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