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소화기계 질환/7. 위확장증/8. 위하수증

미션(cmc) 2011. 9. 10. 18:00

소화기계 질환

 

    

7. 위확장증

개 요


급성과 만성이 있다. 급성은 수술후 또는 급성 전염병등과 같은 경과중에 일어난다. 만성은 유문협착증과 같이 유문이 협착이 되어 음식물이 작은 창자로 내려가지 않고 위속에서 내려가지 못하여 구토가 일어나며, 이런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위확장을 일으키게 된다.
 

증 세


초기에는 소화장애 또는 만성 위염의 증후가 있다. 대개 구갈이 있고 위 부위의 팽만감과 은은한 통증이 있다. 위산과다, 트림, 메시꺼움도 따른다. 메시꺼움이 날 때는 신내나 썩은 냄새도 난다. 구토하는 경우 그 양이 많으며 색깔은 처음은 녹색, 또는 감색이고 나중에는 커피색이다. 복벽이 늘어난 환자에게 위가 볼록 튀어나온 것을 본다. 이 증세가 오래도록 고정되어 있으면 피부는 거칠고 마르며 피하 지방층이 소실되어 근육층도 이완된다. 그리고 오줌의 양도 감소하고 종종 위내의 가스 때문에 횡경막이 압박되어 호흡곤란과 심계항진을 일으키는 수도 있다.
 

치 료


철저한 식이요법과 더불어 평소부터 등과 배의 근육을 발달시켜야 하므로 위장을 강화시키는
금붕어 요법을 실행해 본다.

상용혈
: 내관, 족삼리, 비수, 위수,
         
태충, 거궐, 중완, 관원
비용혈 : 공손, 음릉천, 격수, 기해,
         
합곡, 훙추 8~12
 

이 침

족 침

   

 

8. 위하수증

개 요


이것은 위의 근육이 늘어지며 위의 운동도 약해져
하단 정상 위치보다 낮게 위치해서 일어나는 장애를 말한다. 위하수증은 대개 선천적으로 체질허약해 세장형의 흉곽을 가지고 상복부각이 뾰족한, 소위 내장하수 체질을 가진 사람에게 많다.  또 과음, 과식, 폭음하는 사람에게도 습관적으로 나타나고 그밖에 위장 질환을 앓고 난 후에 영양부족이 되었을 때도 일어난다. 여자인 경우에 여러 번 해산을 한 후 몸조리를 못할 때도 일어나기 쉽다.
 

증 세


소화가 원활하지 못하고 변이 일정하게 나오지 않고 위근이 약하며 신경쇠약 증세를 나타내기도 한다. 자각 증상은
위 부위 압박감과 언제나 배가 그득하고 내리지 않는다는 느낌과 식욕 부진, 가스차서 위가 더부룩함 등이다. 그러나 공복시에는 거의 고통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두통, 불면, 정신침울, 기억력 감퇴, 전신권태 쇠약감 등을 느낄 수 있다.
 

치 료


상용혈 : 상완, 관원, 기해, 족삼리, 천추,
         
위유, 비유, 격유합곡
비용혈 : 내정, 양문, 비유, 삼초유, 연곡,
         
음릉천, 곡천, 방광수, 구미  
         특히
중완, 상완, 기해, 족삼리에 뜸을 뜬다.
 

이 침

족 침

식이요법


위무력증, 위하수증을 위한 음식물은 무, 토마토, 참마, 생강, 무화과, 당근 등이다.
: 소화능력이 떨어진 위에는 무 간 것이 소화를 돕는다. 식사때에 무 간 것을 먹는다.
토마토
: 소화불량이나 식욕부진에 좋은 음식물이지만 대량 먹으면 몸을 냉하게 하므로 냉증인 사람에게는 부적당하다. 토마토 주스를 반 컵씩 1일 2~3회 마신다.
참마 : 비위의 상처를 관리하고 허약함을 보하며 한열의 사기를 제거하고 기력을 더해주며 근육을 튼튼하게 한다.  자양강장, 소화촉진, 허약체질의 다한 등에 효과, 당뇨병, 야간배뇨에도 잘 듣는다. 참마를 달여 가루낸 것을 호두 부순 것과 섞어 참마죽
을 쑤어 매일 먹으면 좋다. 꿀을 섞으면 어린이도 잘 먹는다.
생강
: 비위를 돕고 모든 독을 해독한다. 냉한 위장을 덥히는 작용이 우수하여 냉하면 식욕부진을 일으키기 쉬운 사람에게 효과. 생강 6g을 열탕에 넣어 꿀을 가해 마신다.
무화과
: 위장 활동을 좋게 하고 설사를 멈추게 하며 오치와 인후통을 치유한다. 건조시켜 잘게 자른 것을 볶아 절반쯤 태운 것에 소량의 꿀을 가해 탕을 부어 차대신에 마신다.
당근
: 위를 강하게 하는 작용 당근을 달여서 매일 한 번은 먹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