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소화기계 질환/11. 충수염, 맹장염/12. 변 비/13. 탈장증 (헤르니아)

미션(cmc) 2011. 9. 10. 18:04

소화기계 질환

 

       

11. 충수염, 맹장염

개 요


충수염은 우리 주위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질환 중의 하나로 일반에서는 흔히 맹장염이라 부르고 있다. 충수는 소장의 회장 말단부와 맹장이 연결되는 맹장 하부에 붙어 있는 것으로 새끼 손가락만한 크기의 약간 가늘고 작은 끝이 막혀 있는 장관이다.
 

원 인


여러 학설이 있으나 대개
충수 내강폐색으로 설명하고 있다. 충수는 구멍이 협소한 맹낭이기 때문에 음식물의 찌꺼기, 돌, 과일의 씨같은 이물질이나 대변, 기생충, 미생물 등이 정체되어 충수 내강의 폐색은 충수 내부에 이상자극을 주고 여기에 세균이 침입, 번식하여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그밖에 과음, 과식 등으로 인한 소화장애, 유전적인 충수의 길이, 위치, 형태의 이상도 관계가 있는 듯하다.
 

증 세


초기 증상은 일반 위장염과 비슷하여 상복부 또는 복부전체에 통증이 오며 37~38℃의 열이 오르는 수도 있으며 구토, 변비, 식욕감퇴 증세를 동반하기도 한다. 이런 증상이 나타난 후부터 차츰 통증이 오른쪽 하복부로 옮겨져서 고정된다. 이때는 몹시 아파서 걸음을 걸을 수도 없으며 그곳을 누르거나 눌렀다 떼면 통증이 더욱 심하다. 더욱 진행되면 조직이 괴사하여 천공이 되어 복막염으로 발전한다. 이렇게 되면 몹시 아프고 고열이 나며 식사를 하지 못하는 중증에 빠져 몸이 쇠약해진다.
만성 충수염은 위축 하복부 중앙에 경미한 통증이 가라앉았다가 다시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 오래 계속
되는 경우를 가리킨다.
 

치 료


충수염은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이나 과로자에게 잘 생긴다고 한다. 그러므로 평소부터 잘 발산시키도록 노력하고, 적당한 휴식으로 육체적 피로가 쌓이지 않게 해야 한다. 치료의 대상은 초기의 동통 완화와 만성의 동통 완화 및 자연 치유력의 기능항진을 위주로 한다. 즉 급성인 경우에는 수술요법을 시행하고, 초기만성인 경우에는 한방요법과 침구 요법을 같이 시술하면 더욱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용혈 : 난미,
거허상렴, 족삼리, 양구,
         
공손, 온류, 기해
비용혈 : 합곡, 곡지, 내관, 천추, 지기,
         대장수,
태충, 간수
발열
: 합곡, 곡지
복통
: 천추
오심, 구토
: 내관
방법 : 강자극, 유침 15~30분 1일 2~3차
※ 양쪽 주첨(팔굽 첨상에 뜸을 100여장 시술한다.)
 

이 침

족 침

 

 

  12. 변  비

개 요


변비란, 건강상태에 비해 대변보는 횟수가 적고 배변량 또한 감소되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말하며, 원인에 따라 상습성 변비, 기질성 변비, 기능성 변비로 나눈다.
 

원인


1)
기질성 변비 : 장관이나 주위 장기의 염증이나 종양, 반흔으로 인해 거대결장증이나 결장과장증이 있을 경우에 생긴다.
2)
기능성
변비 : 만성 장염, 장결핵 등으로 인해 설사와 번갈아 생기는 변비 혹은 신경질환으로 인해 자율신경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생긴다.
3)
상습성 변비 : 대부분 정신적 스트레스, 불규칙생활, 섬유질 적은 식사 (정제된 곡류, 가공음식)나 소화가 잘 되거나 찌꺼기가 적은 음식만을 섭취할 때 생긴다.·그외에 운동부족, 교감신경 흥분, 갑상선기능 저하증, 탈수(수분 섭취 부족), 간기능 약화, 알러지, 습관적인 변통억제, 각종 불안
, 슬픔, 흰밀가루의 상식, 비타민과 미네랄의 부족 (특히 비타민B), 이노시톨과 비타민K 부족, 동물성 단백의 과잉 섭취결과 장내부패 촉발, 약(철분제, 진통제, 우울증 약)복용 등이 있다.
 

증 세


초기엔 몸이 무겁고 쉽게 피로하며 식욕부진이 일어남. 또 배가 팽팽하며 아랫배에 압박감, 가슴쓰림, 머리가 늘 무겁고 운동기능이 저하하며 변비로 인해 숨을 내쉬면 냄새가 나고 피부 거칠어지고 안색이 나빠지며 기미가 생기면서 차츰 이런 영향이 전신에 미치게 된다. 변비는 각종 감염(장염, 뇌막염), 알러지, 당뇨, 근무력증, 갑상선기능 이상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변비는 여성에게 더 많으며 젊은 층부터 시작해 임신중, 출산후의 변비가 습관성이 되어 상습적으로 변해 버리는 사람도 많다.
 

치료


섬유질많이 함유채소, 과일, 해조류, 씨앗류, 현미, 콩류, 보리 등을 많이 섭취하고, 규칙적식생활, 규칙적 배변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상용혈 :
대장유, 지구, 기해, 복결,
         
족삼리, 천추
비용혈 : 중완, 내정, 신문, 합곡, 곡지,
         
삼음교, 신유, 소장유
 

이 침

족 침

영양요법


변비는
전체 건강에 있어서 최대의 문제점이 되고 있다. 장내에 오래 정체에서 생성된 독소들이 문맥혈관을 타고 간장으로 들어가 간기능저하시키고 혈액 오염시켜 각종 건강문제를 낳기 때문이다.
알로에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알로에 베라는 위산 과다증에 쓰고, 알로에 아보레센스연동운동촉진하므로, 변비에 사용한다. 현미, 통밀, 보리, 귀리, 옥수수, 메밀, 채소, 과일을 통하여 섬유질을 섭취하고 비타민B 계통을 섭취하여 정상 세균 성장장운동을 촉진시키며 이노시톨 지방콜레스테롤 대사에 관여하고 콜린, 참기름, 요구비타민A,르트, 꿀,등도 도움이 된다. 비타민C는 변이 묽어질 때까지 용량을 증가시킨다. 프룬 주스는 좋은 변비 해소 식품이고 마늘, 양파는 장의 건강을 도와주며 양배추, 깨, 요구르트, 꿀, 콩나물, 사과 등을 매일 먹는 것이 좋다. 들깨는 씹지 않고 그대로 삼키면 변비에 더욱 좋다. 하루 2시간 이상 걷기
만 해도 만성변비는 고쳐지며 정제식품은 일체 먹지 않고 소금, 설탕, 흰밀가루, 흰쌀밥  및 그제품은 피한다. 커피, 홍차, 술 등도 변비의 원인이 됨을 알아야 한다. 음식 알러지는 변비와 설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알러지도 고려한다.
 

비타민요법


보통 변비는 식사에
섬유질적어 부피가 적기 때문이거나 코딘과 같은 약물 때문이다. 통변이 잘 되게 하는 완하제는 역작용으로 계속 변비를 일으키거나 습관성이 되게 할 뿐 아니라 몸에서 영양분까지 다 뺏아가므로 우선 자연요법을 써 보는 것이 좋다. 가공하지 않은 소맥의 밀기울 1일 큰스푼 2술, 밀기울 정제,  유산균액, 식물성 완하제와 변비 연화제등이 도움된다.
 

 식이요법


감자 : 만성 변비에 효과.신선한 감자를 잘 씻어 눈을 따고 헝겊에 싸서 즙을 내 1회에 1,2수저, 1일 2회 공복에 마신다.
호두
: 건조성의 상습변비에 좋다. 호두 60g, 검은 참깨 30g을 으깨 섞어 매일 아침 1수저씩 탕으로 마신다.
우엉
: 신진 대사 강화, 혈액 순환 촉진, 대소변 잘 통하게, 부인의 혈도를 좋게 한다. 신선한 우엉을 달여 마신다.
시금치
: 오장의 활동을 좋게 하고 장을 통하게 하며 위열을 해소하고 주독을 없애 목의 갈증을 덜어주고 윤활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시금치를 살짝 데쳐 참기름으로 볶은 것을 상식한다.
부추 : 위장이 활동좋지 않아
변비가 있는 사람에게 효과, 부추즙 1잔에 술을 가해 마신다.
곤약
: 소화관의 연동운동에 자극을 줌으로써 변비를 치유하는 효과, 곤약을 상식한다.
복숭아 : 복숭아꽃
은 변비에 효과가 있으며 경증일 때는 복숭아씨를 먹고, 중증일 때는 복숭아꽃 6g을 달여마신다.
벌꿀
: 건조성의 변비에 효과가 있으며 노인성 변비에는 끓인 탕으로 벌꿀을 65g, 참기름을 가해 마신다. 조석으로 2회 마시면 낫는다. 상습변비에는 꿀 35g을 매일 아침 공복시 식염을 약간 가해 탕으로 마신다.
 

  

 

 13. 탈장증 (헤르니아)

개 요


내장신체 조직간격으로 해서 피막에 쌓여 탈출되는 것으로 내용물은 반드시 장관만이 아니고 뇌수, 척수, 장간막 등이다. 제일 많은 것이 음낭으로 장관이 나오는 서혜 헤르니아와 복부수술을 한 후에 창구로 탈출되는 복벽 헤르니아 이다. 서혜 헤르니아: 선천적이나 후천적, 대개 남자에게 한하나(69%) 간혹 여자에게서도 볼 수 있다.
 

증 세


처음에는 불두덩이 약간 소복할 정도로 시작되었다가 점차 음낭 속으로 먹물 같은 것이 내려오기 시작한다. 걸음을 걷든지,기침을 세게 하면 갑자기 나왔다가 누우면 슬며시 다시 들어가게되고 점점 커지면 누워도 안들어가고 음낭을 손으로 주물러야 겨우 들어가며, 더 심해지면 주물러도 잘 안들어가서 소위 감돈증세를 일으킨다. 즉 일레우스 증세와 같이
복통이 나고, 구토하며 가 부어오르며 대변도 가스도 나오지 않으며 곧 수술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독해짐.
 

치 료


상용혈 : 장강, 백회, 승산, 유도, 삼음교
비용혈 : 백환유, 기해, 음릉천, 태충, 곡천
 

이 침

족 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