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인 |
문맥성 간경변증과 담즙성 간경변증이 있다. 문맥성 간경변증은 만성 간염, 알콜중독, 담석증, 암, 매독과 각종 치료약으로 인한 경화나 간장내 구리나 철분의 과다축적 또는 영양부족, 심장기능이 나쁠 때 일어나는 혈액순환 장애 등의 원인으로 병발한다. 담즙성 간경변증은 담즙이 장으로 배설되는 도중에 담즙이 통과장애를 받아 황달을 병발시켜 발생한 것으로 담관의 염증이나 담석 등이 원인이 되어 담관까지 담즙이 채워지고 간장의 압력이 높아짐으로써 간세포가 파괴되어 간경변증이 되는 것이다.
|
증 세 |
발병은 대단히 느리고 수년 동안 서서히 진행되어 일정 시일이 지나면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초기, 중기의 증세는 식욕부진, 체중감소, 구토, 설사, 변비, 복부팽만감, 은은한 복부통증, 피로, 권태감, 안색이 암갈색으로 변하게 되고 중기, 말기의 증세로는 혈액순환이 되지 못하여 복수 증상이 오며, 복부나 흉부의 피하정맥이 부풀어 올라 얼기설기 꿈틀거리는 메두사 모양이 보이며 식도, 위장, 비장에까지 혈액이 고이게 되며 식도 주변의 정맥류는 파열되어 토혈이나 하혈 증상도 초래한다. 그리고 어깨, 목, 앞가슴 등에 거미집 같은 혈관종이 나타나며, 피부색은 약간 황달증세를 띠며, 특히 손바닥에 홍반이 나타나는 수가 있다. 간경변증으로 인해 사망하는 수가 간질환 중에 가장 많은데 그 요인은 정맥류의 파열로 인한 출혈과 황달이 혈액내에 충만하여 사망하는 경우와 신체가 극도로 쇠약해져 외부에서 침입한 병균을 이겨내지 못해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
치 료 |
우선 안정과 식사요법에 중점을 두고 의사의 지시에 약물요법을 실시한다. 즉 고단백, 고칼로리의 식사를 한다. 중증인 경우는 입원해 절대안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용혈 : 간수, 담수, 족삼리, 태충, 양릉천, 삼음교 복수 : 수분, 수구, 지구 구토 : 합곡, 내관, 중완 사지권태, 피로감 : 기해, 관원, 용천, 신수
|
식이요법 |
간경변에 좋은 음식은 동아, 플룬, 원추리, 비파, 컴프리, 수박 등이다. 동아 : 이뇨작용이 뛰어나므로 복수나 부종을 치유하는데 많이 사용되며 동아 1개를 구어 잘게 부수어 헝겊으로 짜낸 즙을 1회 60mmg, 1일 3회 마신다. 간경변으로 복수가 있을 때 잘 듣는다. 플룬 : 신선한 자두를 먹으면 간경변에서 복수가 찼을 때 좋다. 원추리 : 주성분인 그리틸리친이 간장에 대해 뛰어난 작용이 있으며 짙게 달여서 차 대신에 매일 마시면 좋다. 비파 : 비파의 잎을 건조시켜 달여서 자주 마시면 약한 간기능을 높여준다. 컴프리 : 칼슘이나 비타민류가 풍부함. 농약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컴프리 잎을 건조시켜 분말로 한 것을 마신다. 수박 : 뛰어난 이뇨작용, 복수나 부종을 잘 치유시킴. 수박의 즙을 남비에 넣어서 약한 불로 달여 농축시킨 수박당을 만들어 한 스푼씩 1일 3회 마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