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이비인후과질환/11. 후두염/12. 편도선염

미션(cmc) 2011. 9. 10. 22:02

이비인후과질환

11. 후두염

개 요


상기도에 염증이 있을 때 부분증세로 생기며 급성과 만성으로 나눈다.
 

원 인


급성
: 바이러스, 인풀루인자, 폐렴균, 연쇄상구균등에 의해서 감염되거나 뜨거운 공기, 자극성 있는 가스, 먼지 등의 흡입, 술, 담배의 과용, 과도한 발성 등으로 발생하게 된다.
만성 : 급성 염증이 반복해서 일어났을 때 기계적.화학적 자극 이오래 계속될 떼, 먼지나 자극성 가스 흡입, 술, 담배의 과용과 과도한 발성연습, 비염, 축농증, 비폐색등이 있어 입으로 호흡할 때 잘 생기며 당뇨병, 심장병, 신장염, 간질환이 있을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증 상


급성 : 초기에 쉬고 음성전혀 나오지 않고 후두부의 이물감, 건조감, 동통, 기침등이 있고 처음에는 분비물은 적고 끈끈하지만 후에는 농성으로 변한다. 이와 같은 증세는 대개 4~5일 만에 없어지나 기침과 객담은 100일 정도 지속되는 수도 있다.
만성
: 후두의 건조감, 이물감, 소양감등이 있고 대체로 목이 피로하고 쉰소리를 내게 되고 심할 때는 목소리가 나오지 않을 때도 있다. 보통 짙은 가래가 끼고 기침은 자주하나 분비물은 잘 나오지 않는다.
 

 치 료


몸을 따뜻하게 하고 안정을 취하고 부지런히 양치질과 흡입을 한다. 원인이 되는 음주.흡연 등을 피한다.

상용혈: 천용, 예풍, 천돌, 염천,
        
견정, 풍지
비용혈: 합곡, 곡지, 이간, 어제, 소상,
        
액문, 간사, 내정, 수돌
 

이 침

 

족 침

영양요법


미꾸라지는 호흡기도의 점막 보호작용을 한다. 후두에 뻣뻣함을 느낄 때는 청경채를 많이 섭취한다.
 

식이요법


따뜻한 소금물이나 양파즙으로 양치질한다. 살구씨를 볶아 가루로 만든 다음 여기에 계피가루를 혼합하여 침으로 녹여 조금씩 삼킨다. 미나리 생즙에 꿀을 넣어 끓여 마신다.
 

 

 

12. 편도선염

개 요


구개편도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하며 급성과 만성으로 나눈다.
 

 원 인


급성 : 몸이 추위, 피로, 과음, 과식 등으로 저항력이 약해졌을 때 연쇄상 구균, 바이러스, 포도상 구균등에 의해 감염되어 편도심한 염증을 일으킨다.
만성 : 급성 편도염반복적으로 앓아 만성화
되었을 경우에 일어난다.
 

 증 상


급성 : 갑자기 고열오한으로 시작되고 전신권태, 두통, 사지통, 인두 건조감을 느끼며 연하곤란과 언어 장애를 일으키고 목의 임파선이 종창되나 대체로 발열은 3~4일후 회복된다.
만성
: 모르고 지내는 수가 많으나 염증이 일어났을 때 심한 증세로 보이고 가벼운 인두통, 이물감, 기침이 있고 입에서 냄새가 난다. 때로는 식욕부진, 피로, 권태, 이유없는 두통등을 호소하기도 하고 편도비대가 있다. 연하곤란과 입으로 숨쉬는 것도 힘이 든다.
 

 치 료


가벼운 증세일 때는 음주.흡연을 삼가고 자극성이 강한 음식을 피하며 적당한 안정과 운동을 한다. 증세가 심할 때는 합병증이 발병하지 않도록 한다.
상용혈 : 천용, 소상, 풍지, 대저,
         
염천, 수돌
비용혈 : 곡지, 합곡, 이간, 상양,
         
예풍, 중저, 용천, 천주,
 

이 침

족 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