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장 안과질환/1. 다래끼(맥립종)/2. 원 시

미션(cmc) 2011. 9. 11. 06:38

장 안과질환

 

1. 다래끼(맥립종)

개 요


눈꺼풀에 있는 검판선, 피지선 등의 급성 화농성 염증을 말한다.
 

원 인


세균 감염에 의한 것으로 눈썹 뿌리에 있는 피지선에 포도상 구균침범하여 나타나고 세균이 잘 침입하고 번식할 수 있는 요인으로써 눈 주위의 불결, 당뇨병 등을 들 수 있다.
 

증 상


초기에는 쌍꺼풀이
가렵고 무거운 듯한 느낌이 있으며 염증이 진행함에 따라 눈꺼풀이 빨갛게 부어 발적, 종창, 응결 등이 있고 곪으면 황색의 농점이 나타날 무렵에 이르러 동통과 압박이 있다. 대체로 4~7일 후자연히 피부면으로 곪아 터져서 치유되나 재발하는 경향이 있다.
 

치 료


손을
자주 씻고 먼지나 더러운 것이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가벼운 경우 냉습포로 치료한다.
 

치료혈


소상, 족임읍 소료, 은백(사혈), 이첨(사혈)
1)
에 났을 때 : 은백(사혈)
2)
아래
에 났을 때 : 족임읍(사혈)
 

이 침

족 침

식이요법


참기름: 농이 나온 뒤에 참기름을 2~3방울을 떨어뜨리면 재발하지 않는다.
산초
: 열매를 1주일쯤 건조시켜 1일 20알씩 먹는다.
 

 

 

2. 원  시

개 요


무한대의 먼 거리에서 오는 평행광선이
망막뒤에서 맺는 경우를 말하며 윈시는 축성 원시와 굴절성 원시의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축성 원시: 대개 축성
원시인 경우가 많으며,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에는 이상이 없고 안축이 정상적인 경우보다 짧아서 오는 원시이다.
2)
굴절성 원시: 안축에는 이상이 없고 각막 수정체의 굴절력이 약해서 생기며, 각막염을 앓고 난 후, 백내장 수술 후 수정체탈구
되었을 때 생기게 된다.
 

증 상


멀리 있는 것은 잘 보이나 가까이 있는 것은 잘 보이지 않는다. 원시의 눈은 가까운 곳을 보려면 수정체를 두껍게 만들어 조절할 필요가 있다. 가벼운 경우에는 조절력에 의한 노력이 잘 되면 잘 볼 수 있으나 항상 조절 노력이 필요하므로 조절성 안정피로가 잘 온다.
 

치 료


상용혈 : 신유, 간유, 정명, 찬죽,
         
동자료, 양백, 풍지 합곡
비용혈 : 백회, 뇌호, 목창, 광명, 현종,
         
사백, 사죽공, 예풍
 

이 침

족 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