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안과질환/3. 근 시/4. 난 시

미션(cmc) 2011. 9. 11. 06:39

안과질환

 

3. 근  시

개 요


무한대의 먼 거리에서 오는 평행광선이 수정체에 굴절되어 망막보다 앞서 상을 맺는 경우를 말한다.
눈을 과로하게 사용하였을 때, 독서나 TV시청시의 나쁜 자세와 부적당한 거리, 부적당한 조명 아래서 눈을 사용하는 등이 근시에 미치는 중요한 원인들이며, 부모가 근시일 경우 유전이 되어 근시가 될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근시는 축성, 굴절성, 성근시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축성 근시: 각막이나 수정체는 이상이 없으나 안축이 길기 때문에 오는 근시이다.
2)
굴절성 근시
: 안축은 정상이나 각막과 수정체의 굴절력이 강하기 때문에 생기는 근시이나 흔하지 않다.
3)
가성 근시
: 학생을 비롯한 어린이들이 일시적으로 TV, 독서등을 하면서 나쁜 눈의 사용으로 온 가장 가벼운 근시로써 올바른 눈의 사용법으로 교정할 수 있는 근시이다.
 

증 상


가까운 곳을 보는 데에는 아무 이상없으나 먼 곳의 물체는 잘 보지 못한다. 고도 근시의 경우에는 망막의 변성을 가져오는 예가 많고 망막 출혈, 망막 박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경으로는 충분한 교정이 안된다.
 

치 료


가성근시일 때 반드시
치료하고 적당한 조명자세휴식을 갖도록 한다.

상용혈 :
풍지, 광명, 합곡, 정명, 찬죽, 양해,
         
사죽공, 예풍, 태양
비용혈 :
두유, 사백, 합곡, 삼성, 백회, 뇌호,
         간수,
현종, 동자료
 

이침

족 침

식이요법


가성근시에 좋은 음식믈은
칠성장어, 매실, 결명차 등이다.
근시에는
표고버섯
이 좋다.
 

 

 

4. 난  시

개 요


초점이 맞지 않는 눈의 상태이다. 눈의 각막이나 수정체의 구부러진 상태가 건강한 눈과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굴절이상으로 정난시부정난시가 있다.  
정난시
: 유전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굴절이 강한 경선과 약한 경선이 직각으로 교차되는 것을 말한다.
부정난시
: 외상으로 인해 각막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되어 있어 굴절상태가 불규칙한 경우를 가르킨다.
 

증 상


방향성을 가진
굴절이상이므로 방향에 따라 보는 것이 차이가 나기도 하고 이중으로 교차되어 보이기도 한다. 정난시의 경우는  부정확하게 보이며, 부정난시흐트러져 보인다. 또한 난시는 모두 눈이 피로하고 머리가 아픈 증세를 동반하여 근시, 원시함께 생길 수 있다.
 

치료


상용혈 : 천료, 찬주, 정명, 사백, 두유, 광명, 풍지
비용혈 : 중완, 비유, 격유, 간유, 신주, 양릉천, 임읍
 

이 침

족 침

식이요법


영지 버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