診斷學
침뜸이론으로 질병을 진찰하고 증후를 분별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과목.
診 - 질병의 표현을 관찰하고 병증을 진찰하는 방법으로 四診을 말함.
斷 - 四診에서 얻어진 자료로 질병을 분석 판단하는 즉 辨證을 말한다.
1. 진단학의 범위와 원칙
1) 整體觀念
정체관 : 人體는 臟腑를 중심으로 經絡과 氣血의 運行을 통하여 體表. 五官. 四肢 등과 연계되어 이루어진 有機的 生命體이다.
四德(진단시 먼저 파악해 두어야 할 요건) : 天時氣候, 人事環境, 臟腑盛衰, 神色脈象
五臟一體觀 : 臟腑는 個別의 기능과 작용을 하지만 相互 聯關性이 있어 局所와 內臟의 病 모두 全體機能의 失調로 표현되어진다.
人與天地相參 : 질병의 발생과 발전이 외계환경과 잠시도 떨어질 수 없는 상관관계를 이룬다.
………………………………
정체관은 부분에서 전체를 보는 것이고, 진단학은 최종적으로 氣를 보는 것이다.
콧구멍이 하늘을 향한 경우에는 방광에 문제가 있다.
2) 辨證求因
四診으로 얻어진 臨床資料를 分析. 歸納하여 病證의 病理變化를 찾아내고, 질병의 原因과 발생된 部位(臟腑)를 판단해야 한다. 이를 辨證求因이라 함.
구체적인 證候에 근거하여 病因, 病位, 病歷 등 병리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변증구인이다.
병리변화가 발생된 객관적인 반영이 症狀이고 이는 辨證의 중요한 근거이다.
3) 四診合參
질병을 변증하여 병인을 찾을 때 반드시 사진(망문문절)을 통해 얻은 모든 자료를 종합하고 전면적으로 분석하는 것.
2. 진단학의 주요내용
四診, 八綱, 辨證, 症狀鑑別
四診 望診 - 神, 색, 형, 태, 오관, 설상, 분비물등을 통해 병증을 이해하고 병리변화를 파악
聞診 - 언어, 호흡, 음성, 배출물의 기미를 분별하여 體內病情을 파악
問診 - 병의 상태, 病因, 예후, 자각 증상등을 본인이나 가족에게 물어보는 것.
切診 - 맥진, 촉진을 통해 체표 체내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
八綱 사진을 통한 자료는 반드시 팔강으로 귀납 분석되어야 한다.
음양 - 병의 종류
裏表 - 病位
寒熱 - 병의 성질
虛實 - 邪正盛衰
辨證 병인변증, 기혈진액변증, 장부변증, 경락변증, 육경변증, 위기영혈변증, 삼초변증
………………………………
관절염 : 아침통증 → 陽症 ⇒ 류마티스관절염
저녁통증 → 음증 ⇒ 퇴행성관절염
제1장. 四診 (望, 聞, 問, 切)
제1절 望診
望診은 視覺을 통하여 환자를 관찰하여 診斷하는 방법이다.
望診은 인체의 神, 色, 澤, 形ㆍ態를 관찰하는 말한다.
1. 神의 望診
1) 神의 개념; 神은 넓게는 生命活動 전반을 말하고, 좁게는 精神活動을 말한다.
- 形體가 있어야 神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神의 盛衰는 形體의 건강여부로 나타난다.
- 神의 성쇠는 先天精氣와 後天精氣에 영향을 받는다.
- 눈은 인체의 정기의 성쇠가 잘 나타는 곳으로 눈을 통해 精氣의 유무를 관찰한다.
2) 神의 상태
(1)得神 (有神)
- 得神은 精氣가 충족하고 왕성하며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것을 말한다.
- 病에 걸렸다 해도 장부기능이 쇠퇴하지 않아 예후가 좋다.
-神의 病理
(2) 失神 (昏神)
- 失神은 精氣가 손상되고 神이 쇠약해진 것이다.
- 구체적으로 臟腑機能이 쇠약해진 것, 病의 예후가 좋지 않다.
(3) 假神
- 假神은 위급한 병자에게 잠시 정신상태가 좋아지는 假現狀을 말한다.
- 精氣가 고갈되어 陰이 陽을 수렴하지 못해 陰陽이 분리되어 虛陽이 체외로 빠져나가 조금 남아 있던 精氣도 함께 나가면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假象이다.
回光反照, 殘燈腹明
(4) 神氣不足과 비정상적 정서의식 상태
-원인; 神氣부족은 허약한 정신 상태로 虛症이고 精氣不足으로 발생.
-증상; 정신상태가 똑똑하지 못하고, 건망, 혼수, 말소리가 낮고, 말하기 싫어하며,
힘이 없고, 동작이 늦어지는 증상으로 心脾兩虛, 腎陽虛에 속하는데 腎氣不足으로 발생함.
-비정상적 정서의식 상태는 불안, 혼수상태로 헛소리 하거나 癲, 狂, 癎 등을 포함한다.
2. 顔色의 望診
- 얼굴의 色과 광택을 보면 臟腑, 氣血의 盛衰와 邪氣가 침범한 부위를 알 수 있다.
1)面部色診의 원리 및 그 임상의의
五臟六腑와 신체 각 부위는 얼굴에 상응하는 부위가 있다. 즉 안면과 內臟은 經絡을 통해 서로 연계되어 있어 안색을 관찰하여 臟腑氣血의 성쇠와 邪氣가 침습한 부위를 안다.
[영추.오색편]
天庭 - 頭面. 眉間위 - 인후. 眉間 - 폐. 兩目間 - 心. 鼻骨- 肝.
鼻骨傍 - 膽. 鼻尖- 脾. 비첨위 - 胃. 얼굴중앙 - 大腸. 양뺨 - 腎.
뺨아래- 배꼽부위. 콧마루 위 양쪽- 小腸, 人中은 膀胱, 子宮의 病이 나타나는 곳.
2) 정상적인 色과 病色
(1)정상적인 色 - 맑고 윤기가 있다.
- 先天의 色 ; 각 개인의 특징으로 평생 변하지 않는 色을 말한다. (유전적인 色)
- 後天의 色 ; 시간, 기후, 환경 등 변화 등의 생활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색을 말한다.
(2)病色- 病色은 모두 광택이 없고 윤기가 없거나, 色이 너무 선명하고 맑거나,
윤기는 있으나 시기에 맞지 않거나, 한 가지 색만이 단독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갖는다.
- 善色 이 나쁜 색으로 변하면 病이 重해지는 것이고,
나쁜 색이 좋은 색으로 변하면 病이, 호전되거나 완쾌되는 것을 의미한다.
*五色이 나타나는 病證
① 靑色 ; 肝, 膽, 目. (面部, 입술, 피부, 손. 발톱)
- 寒證; 寒이 氣血을 瘀滯시켜 경맥이 수축. 경련 유발. 안색;靑紅色. 陽虛時; 靑白色
- 痛證; 경맥이 어체되어 通하지 않아 얼굴색은 靑白色, 靑黑色이 나타난다.
- 瘀血; 氣血瘀滯로 경맥이 막히기 때문에 피부에 靑紫色이 나타난다.
- 驚風; 氣血이 瘀滯되고, 근맥이 가늘어져 콧등, 눈썹 사이, 입술 주위가 푸르스름하다.
② 赤色 ; 心, 小腸, 舌. (面部, 입술, 눈, 피부, 혀)
- 熱症 ; 일반적으로 심하면 實熱, 가벼우면 虛熱.
- 實熱證; 얼굴전체와 눈, 입술, 혀도 붉다. (혈행 속도가 빠르고 혈맥이 충만되어)
- 虛熱證; 陰虛로 虛熱이 왕성해져 오후에 광대뼈 주위가 붉게 된다.
③ 黃色 ; 脾, 胃, 口. (面部, 눈(흰자위), 피부)
- 虛證; 脾氣虛, 血虛. -氣血의 생성이 부족하여 안색이 누렇고 윤기가 없다.(萎黃)
- 濕證; 脾氣虛- 水濕이 쌓이면 안색이 누렇게 뜬다(黃胖)
- 黃疸; 肝膽이 邪氣의 침습을 받아 담즙이 정상적으로 순행하지 못하여 생긴다.(肝膽濕熱)
- 陽黃; 노랗고 선명하다- 濕熱이 원인.
- 陰黃; 누렇고 어두운 것이 잿빛에 가깝다-寒濕
④白色 ; 肺, 大腸, 鼻. (面部, 눈 , 입술, 손발톱, 눈구석)
- 陽虛; 陰寒이 체내에 몰리고 氣血이 피부를 영양하지 못해 色이 희거나 浮腫이 나타난다.
- 氣虛; 추동력이 부족하여 氣血이 피부를 영양하지 못해 淡白色이 나타난다.
- 血虛; 血虛 또는 대량 出血로 氣血이 충만하지 못해 윤기 없는 淡白色을 띤다.
- 寒症; 寒에 의하여 경맥이 응결되어 색이 엷고 광택이 없다.
- 脫血; 失血에 의한 것이므로 안색이 창백하고 윤기가 없다.
- 脫氣; 陽氣가 소실되므로 얼굴이 창백해지고 식은땀이 많이 흐른다.
⑤ 黑色; 腎, 膀胱, 耳. (面部, 눈주위, 입술); 黑色은 陰, 寒, 水氣의 왕성을 의미함.
- 腎陰虛; 색이 검고 피부가 마른다. - 腎陽虛; 몹시 검고 광택이 없다.
- 腎陽虛로 水氣가 쌓일 때는 痛症과 안색이 진한 검은 색을 띤다.
- 瘀血; 안색이 잿빛이고 피부가 거칠다.
3) 色, 脈象, 症狀을 결합한다.
- 상응이 잘 될 때의 증상
예)肝병- 색(청색)- 맥(현맥)- 증상(흉부와 옆구리가 아프고 입이 쓰고 어지럽다)
- 상응되지 않을 때의 증상
예)眞寒假熱 - 색(붉은 색)- 증상(熱)- 맥(맥이 침세무력맥)
- 적색과 열은 열증으로 보이나 실제는 진한가열로 차게 하면 병이 가중된다.
- 질병을 진단할 때 반드시 전면적으로 관찰하여 색, 맥상, 증상을 결합하여야 한다.
3. 形態의 望診
-形은 體形를 가리키고 態는 動態를 가리킨다.
形態의 望診은 형체의 强弱, 실한 것과 여윈 것, 움직일 때와 움직이지 않을 때의 자세 및
질병에 관계되는 변화를 관찰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1) 體形의 望診
2) 姿態의 望診
활동자태와 이상한 동작을 관찰, 체내의 병리변화를 알아내는 진단방법.
(1)활동자태를 관찰한다 - 動은 陽이고 靜은 陰이다.
-陽證. 熱證. 實證
증상- 움직이기를 좋아하고 옷을 벗어 던지고 이불을 차버리며 얼굴을 밖으로 향한다.
원인- 邪熱이 체내에 강성하고, 精氣가 아직 약해지지 않고 人體機能이 亢進되어 나타난다.
-陰證. 寒證. 虛證
증상- 몸이 무겁고 누워있기를 좋아하고 옷과 이불을 덮으려고 하며 얼굴을 안쪽으로 향한다.
원인- 精氣가 虛弱하고 陰寒이 內盛하여 人體機能이 低下된 표현이다.
동 작 |
분 류 |
四肢가 가늘고, 다리를 구부리고, 머리를 뒤로 제친다 |
肝風內動 |
手足이 나른하고, 원활하게 운동할 수 없는 것 |
위증(痿證) |
關節이 아프고, 屈伸運動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 |
痺證 |
눈시울, 손(발)가락 등이 떨리는 것 |
血虛 (근맥 영양실조), 中風전조증 |
반신불수와 언어가 잘 되지 않는 것 |
中風證 |
병자가 두 손으로 젖가슴을 막고 다칠 까봐 겁내한다 |
乳痛에서 볼 수 있다. |
4. 두경(頭頸). 오관(五官). 구규(九竅)의 망진(望診)
1)頭部, 頸部, 面部와 머리카락.
두부, 면부, 경부와 머리카락을 관찰하여 주로 心, 腎 및 氣血의 盛衰를 관찰한다.
(1)頭部와 面部
- 머리형태- 머리의 형태를 관찰하여 腦, 腎의 병리변화와 氣血의 盛衰를 안다.
*너무크다→ 腦積水(뇌에 물이 차는). *너무적다→ 뇌 발육부진. 선천성 기형
*골이 떨린다; 골이 자기도 억제할 수 없게 떨리는 것 ←風病, 또는 氣血虛弱
- 신문(顖門) 숫구멍 정상적- 뒤; 출생 후 2-4개월, 앞; 출생 후 1-1.5살
비정상 숫구멍- 實熱證 - 숫구멍이 위로 도드라져 나온 것→ 신전(顖塡)
虛寒證 - 숫구멍이 움푹하게 함몰된 것→ 신함(顖陷)
신기부족. 발육불량 - 숫구멍이 늦게 막히거나 완전히 막히지 않는 것→ 신해(顖解)
↳ - 숫구멍이 막히는 시일이 늦어지는 것→ 신문지폐(顖門遲閉)
* 면부(面部)수종(水腫)
- 陽水(肺의 숙강기능 장애)- 수종이 갑자기 일어난다. 눈꺼플과 面部가 먼저 붓는다.
- 陰水(脾,腎의 수액대사 장애)- 천천히 발생하며 下肢부터 붓고 나중에 얼굴이 붓는다.
-침샘(耳下腺)이 붓는 것- 溫毒에 의하여 일어나는 병증이다. 유행성이하선염 (virus)
침샘부위가 갑자기 붓고, 얼굴이 붉어지고, 목구멍이 아프거나,
혹은 통증은 없으나 붓고, 귀가 잘 들리지 않는 증상을“볼거리”라고 한다.
-口眼喎斜(안면신경염, 마비) 눈과 입이 비뚤어지고 피부의 감각이 무디며, 안면 근육이
患側은 늘어나고 健側은 수축되면서 患側은 눈을 감을 수 없고 입을 다물 수도 없다.
(2)경부(頸部)
- 영류(癭瘤) - 경부의 뒷부분에 혹 같은 것. ( 肝氣 울결, 痰이 엉켜 발생.)
- 나력(瘰癧) - 경부의 앞부분에 구슬 같은 것이 생기는 것.
발생원인 - 肺와 腎의 陰虛로 虛熱이 津液을 말려 담핵(痰核)이 생기 거나,
風火의 전염성 병독으로 기혈어체로 발생
- 頸項 강직 ; 온병의 화사가 침범하여 일어난다. 기타 등
- 몸이 나른해 지는 것은 精氣가 虛한 것으로 腎氣의 虛損에 기인한다.
- 頸脈의 박동이 심하게 나타나는 것은 水腫病症에서 나타난다.
(3)머리카락 (毛髮)
- 毛髮은 血의 일부로 腎의 외부표현으로 생장은 腎氣의 推動과 精血의 充足에 의거한다.
- 毛髮을 관찰해서 腎氣와 精血의 虛實을 판단한다.
- 腎氣와 精血의 充滿 - 머리카락이 까맣고 숱이 많으며 광택이 있다.
- 精血不足 - 머리카락이 노랗고, 숱이 드물고, 광택이 없는 것.
- 腎虛나 血熱 - 청장년 중에서 머리카락이 드물고 잘 빠진다.
- 腎氣와 精血不足- 머리카락이 노랗고 숱이 적으며 광택이 없다.
- 腎虛- 청소년이 머리가 백발이 된다. 心虛의 증상을 겸하면 血의 과다한 소모한 것.
- 班禿- 血虛에 風 맞아 생긴다- 갑자기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는 것.
2)눈의 망진
(1)눈과 장부; 肝의 상태를 반영하고 五臟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五輪學說)
* 目內,外眥 -心 - 血輪- 心은 血을 주관하기 때문에 血의 精은 눈구석과 血脈에 나타남.
* 눈동자 -肝 - 風輪- 肝은 風과 관련 있고, 힘줄주관 힘줄의 精은 눈동자에 나타남.
* 흰자위 -肺 - 氣輪- 肺는 氣를 주관하기 때문에 氣의 精은 흰자위에 나타난다.
* 瞳孔 -腎 - 水輪- 腎은 水에 속하고 뼈를 주관하고 骨의 精은 동공에 나타난다.
* 眼瞼 -脾 -肉輪- 脾는 筋肉을 주관하기 때문에 筋肉의 精은 눈꺼풀에 나타난다.
2)눈과 정신
건강한 눈 - 눈의 검은자위가 선명하고 광택이 있다.
건강하지 못한 눈 - 흰자위가 어둡고 탁하고, 검은자위도 흐리고 광택이 없다.
3)눈의 색과 형태
- 눈이 붉고 아픈 것.(實熱症)
1) 흰자위가 붉으면 肺의 火이거나 結膜炎이고
2) 內眥가 붉으면 心의 火이고 눈 전체가 붉으면 肝에 風熱이 있다.
- 흰자위가 노랗다- 黃疸. 濕熱로 담즙이 혈관으로 넘쳐 생긴다.
- 內眥가 淡白色- 血이 虛하여 눈이 영양을 받지 못해 생긴다.
- 눈꺼풀이 붓는다 - 눈꺼풀은 脾에 연결되어있어 水腫病증상.
- 눈이 들어가는 것- 津液과 氣血이 不足하여 안검을 영양하지 못함.
- 동공의 수축 - 肝膽에 火가 심하거나, 농약 등에 중독.
- 동공의 散大 - 腎精이 쇠갈된 것. (위급한 환자나 임종 전에)
- 斜視, 上斜視 - 肝風內動하면 눈에 변화가 일어나 나타난다.
- 小兒가 잘 때 눈감지 못함-脾虛로 氣血부족하여 안검을 영양하지 못하는 것.
3) 귀의 망진
귀는 腎이 외부와 통하고 모든 脈이 모이는 곳. (수족소양경, 수족태양경, 수족양명경)
(1)색의 변화
광택 - 살이 두텁고 윤기가 있으면 선천의 腎陰이 충족한 것이다.
흰색 - 엷고 흰 것은 腎이 쇠약해진 것. 風寒 또는 寒邪가 체내에 침범한 것.
검은색 - 靑黑色-疼痛, 귀가 마르고 검은색-腎水가 소모된 증상; 溫病 後期, 腎陰消耗症.
붉은 색 - 귀 부위가 붉게 붓는다- 少陽相火의 침습, 또는 肝膽濕熱과 火毒이 상승한 것.
- 귀뒤에 붉은 脈이 생기고 귀 끝이 냉하다- 痲疹의 징후.
-마진(痲疹) - 홍역을 말한다. 2~3일 후에는 귀 뒤로부터 시작하여 얼굴, 목, 가슴과 등 및 팔다리의 순서로 온몸에 붉은 색의 발진이 돋는다.
(2)형태의 변화
- 腎氣충족; 살이 두텁고 윤기가 있는 귀. -腎氣손상; 귀가 엷고 작은 귀.
- 귀가 붓는다; 邪氣가 성한 것으로 火가 올라 침습한 것.
- 살이 없고 마른 귀; 精氣가 虛한 것으로 腎精, 腎陰이 부족.
- 주위가 위축된 귀 腎氣가 쇠갈된 것으로 死證이다.
4) 코의 망진
코는 肺가 外界와 통하는 곳으로 胃經脈이 지나며 호흡할 때 氣가 출입하는 통로이다.
肺와 胃에 병리변화가 생기거나 外邪가 침습하였을 때 코에 증후가 나타난다.
(1) 外形
- 코끝이 赤紅色을 띤다. 부스럼이 생기는 것. 딸기코- 肺와 胃에 熱이 성한 것.
- 콧등이 짓무른다(糜闌)- 문둥병 또는 매독에 나타난다.
- 自汗과 숨이 차고 四肢가 차고 힘이 없는 증상- 肺氣가 끊어진 위급증상.
- 천식, 발열과 함께 입술이 紫色인 경우- 熱邪가 肺에 몰린 것.
(2) 콧물
- 맑은 콧물과 惡寒이 나면- 風寒. - 탁한 콧물과 몸에 熱- 風熱.
- 탁한 콧물과 역한 냄새- 축농증(鼻淵)
5) 입과 입술; 입은 脾가 外界와 통하는 곳이고, 脾의 상태는 입술에 나타난다.
족양명위경은 입술을 순환한다. 입과 입술을 통해 脾胃의 병리변화를 알 수 있다.
(1) 입술 色의 變化
입술은 점막이 엷고 투명해 색의 변화가 명확하게 나타나 望診에 유리
- 홍습윤(紅濕潤)- 胃氣가 충족하고 기혈이 고른 것이다. (정상)
- 담백색(淡白色)- 血이 모자라 영양하지 못하는 것이다. (血虛)
- 담홍색(淡紅色)- 虛症, 寒症. 血虛, 氣血 兩虛인 病者. 또는 體質虛弱者.
- 심홍색(深紅色)- 實熱症으로
입술이 마른 것- 熱이 성해 津液枯渴, 붉고 붓고 마른 것- 熱이 極盛..
입술이 앵두 같은 분홍색인 것- 가스중독 등.
- 靑黑色; 淡紅色에 검은 색은 寒, 靑黑色은 冷, 靑色은 氣血瘀滯, 靑黑色은 疼痛,
靑紫色은 瘀血, 입 주위가 검은 색은 腎氣고갈, 입술이 마르고 紫黑色은 重症.
(2) 形態의 變化
- 입술이 건조 균열; 燥熱한 外邪가 津液을 損傷, 또는 脾熱이나 陰虛로 津液不足.
- 입에서 침이 흘러 나온다; 脾虛로 濕이 성하거나, 胃에 熱이 있을 때.
- 입술색이 靑色이고 경련이 멎지 않는 것; 肝風이 脾를 침범하였기 때문
- 입이 헐고 점막; 陽盛 陰虛, 또는 脾經에 濕熱瘀滯로 熱邪가 위로 항성 時.
- 口瘡; 입안과 입술에 작은 흰 물집 ; 心 脾 經脈에 熱이 쌓인 것.
- 아구창(鵝口瘡); 유아의 입에 흰 반점; 胎熱이 心과 脾에 쌓인 것.
6)치아와 잇몸 (齒, 齒齦)
치아는 뼈의 여분이다. 腎은 뼈를 주관한다.
수족양명경맥은 齒齦을 연결한다. 치아와 잇몸은 腎, 胃, 大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치아의 상태 |
설 명 |
하얗고 윤택하다 |
津液과 腎氣 充足 |
누렇고 건조하다 |
熱이 盛해 津液이 損傷된 것 |
돌같이 빛나고 건조하다 |
陽明經의 熱이 盛함 |
마른 뼈와 같이 건조하다 |
腎陰 枯渴 |
치아를 자신도 모르게 꽉 깨물어 열지 못한다 |
肝風內動 |
밤에 잘 때 이를 간다 |
胃熱瘀滯 또는 蟲積 |
병이 심해 이가 누렇게 되고 빠진다 |
骨絶 |
어린아이들이 이가 빠진 후 오랫동안 나지 않는다 |
氣虛 |
치아가 흔들리고 치근이 밖으로 드러난다 |
腎虛 또는 虛熱 |
상 태 |
설 명 |
담백색이고 핏기가 없다 |
血虛로 잇몸을 영양하지 못한 것. |
위축되고 색이 연하다 |
胃陰不足 또는 腎氣虛弱 |
붉게 붓는다. |
胃火 上炎. |
피가 나고 아프며 붉게 붓는다 |
胃熱이 낙맥을 손상시킨 것 |
7)인후(咽喉) ;인후는 肺와 胃의 門으로. 호흡과 음식이 통과하는 곳이다.
여러 경맥과 연결되어 특히 肺, 胃, 腎의 병리 변화를 진단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 정상; 인후의 색이 담홍색. 윤활하며 붓지 않고 아프지 않다.
- 인후의 색이 붉고 腫痛은 심하지 않다- 腎陰虛로 虛熱이 오르기 때문이다.
- 유아(乳蛾) (편도선염); 인후 양쪽에 紅腫- 궤양으로 고름 -肺에 熱毒
- 백후(白喉) (디프테리아); 인후에 회백색의 막-제거 어려움- 전염성 사기 감염
.8) 이음(二陰)
腎은 前後의 二陰을 통하여 외부와 통하여 大小便을 관리한다.
肝과 膽의 經脈은 생식기 주위를 순행한다.
前陰은 宗筋이 모이는 곳이고 太陰과 陽明의 經脈이 만나는 곳이다.
前陰은 肝, 膽, 腎, 膀胱 等의 臟腑와 太陰, 少陰, 闕陰, 少陽, 陽明經과 관계가 있다.
後陰은 直腸, 大腸과 通하며 肺, 脾, 胃와 관계가 된다. 前後陰은 任脈, 督脈과 관계된다.
(1)전음(前陰)
-陰腫; 음낭이 부으나, 가렵지도 않고 아프지도 않은 것 - 風濕邪 또는 水腫病.
-산증(疝證); 고환이나 음낭이 커지고 아랫배가 아픈 증상- 濕邪의 침입.
(2)후음(後陰)
항열(肛裂)- 항문이 갈라지고 아프고 대변을 볼 때 피가 나는 것. 大腸의 熱. 痔疾.
치루(痔瘻)- 치질부위에 농양이 생기고 구멍- 大腸에 濕熱風燥의 邪氣 침습.
탈항- 항문 밖으로 직장이 빠져나오는 것. 원인- 中氣不足. 脾氣虛
-허약자(노인, 어린이, 부녀의 산후, 설사에 오래 시달린 병자)
5. 피부(皮膚)
1) 色
(1)赤色-熱. 火, 炎症; 피부가 빨갛게 부어오른다(丹毒); 心火 왕성, 風熱침습,
-下肢가 붉게 부어오르는 것; 腎火가 몰리거나, 濕熱이 아래로 몰린 것.
(2)황색- 황달(黃疸)- 피부. 얼굴. 눈. 손발톱이 노랗게 변한다.
-양황(陽黃); 귤과 같이 선명한 황색을 띤다→ 脾胃나 肝膽의 濕熱
-음황(陰黃 ; 선명하지 못한 거무스름한 황색을 띤다→脾胃의 寒濕
(3)흑색- 피부가 흑황색으로 어두운 것. →흑달(黑疸)
-黑疸; 황달을 오래 앓아 肝腎虛하고 瘀血과 濁氣가 있어 생긴다.
-여로달(女勞疸); 色慾이 지나쳐서 腎을 손상하여 생기는 것이다.
피부와 솜털의 상태 |
설 명 |
피부와 솜털이 윤택한 것 |
폐기가 왕성한 것 |
피부와 솜털이 말라드는 것 |
폐기가 쇠퇴한 것 |
피부가 마르고 솜털이 끊어지는 것 |
폐기가 끊어진 것(肺絶) |
피부가 수축되고 솜털이 빠지는 것 |
폐가 손상된 것 |
피부가 마르고 거칠어져 고기비늘처럼 깔깔해지는 것 |
血虛 |
3) 종창(腫脹)- 붓는 것
-종(腫)- 頭部. 面部. 胸腹部. 腰部. 背部. 四肢가 붓는 것
-창(脹)-복부만 볼록해 진다. 고창(鼓脹)이라고 부른다.
4) 수두(水痘)-어린아이 전염병으로 風熱邪氣에 의해서 발생한다. (virus)
-타원형의 맑고 투명한 작은 반점이 나타나며 흠집이 남지 않는다.
5) 반진(斑疹)
(1) 반(斑)
양반(陽斑)→点으로부터 편상(片狀) 상태로 발전한다. 赤色 또는 紫色을 띤다.
피부 위로 도드라져 나오지 않는다. 만져서 알지 못한다.
원인- 外感熱病에서 熱이 熱血에 침입하여 피를 밖으로 몰아내서 생긴다
順證- 斑의 量이 적고 드물다. 色이 붉고 윤택하다. 흉복부에서 생겨 四肢로 번진다. 斑이 나타나면 熱이 내린다. 정신상태가 똑똑해진다. 輕證
逆證- 斑의 量이 많고 빽빽하다. 色이 深紅에 紫黑色을 띤다. 四肢에서 생겨 흉복부로 발전한다. 斑이 나타나도 熱이 많다. 의식상태가 똑똑하지 못하다.
邪氣가 체내로 깊게 침습한 증후이다. 重證
음반(陰斑)→斑의 크기는 일정치 않고 淡紅色 또는 暗紫色을 띠며 여기저기 散在한다.
面部와 背部에는 생기지 않으며 잘 변화하며 여러 가지 증상을 겸한다.
원인- 血熱 또는 脾氣虛로 血을 통제하지 못하여 발생된다.
(2)진(疹)
홍역진(紅疫疹)-어린아이의 전염성 질환으로 發熱 2-3일후 진이 발생.
얼굴, 흉복부, 사지로 퍼지며 疹은 점차 뻑뻑하게 많이 난다.
순증(順證)- 熱이 나고 약간 땀이 난다. 發疹되면 붉고 윤기가 있다.
진이 나온 순서에 따라 점차적으로 없어지는 동시에 열도 차차 없어진다.
역증(逆證)- 熱은 심하나 땀이 없다. 제대로 發疹이 되지 못한다.
淡紅色이며 어둡거나, 赤紫色이며 맑지 않고, 精氣가 허약하면 흰색을 띤다.
疹이 갑자기 소실되고 意識 不明하고 숨이 찬 것은 疹毒이 체내로 침입 한 것.
풍진(風疹)- 크기는 작고 약간 도드라져 나온다. 淡紅色이며 몹시 가렵다. 원인- 風熱 邪氣 발진시간은 규칙이 없다. 몸은 미열 또는 열이 없다. 생활과 활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은진(癮疹)- 疹이 생겼다가 모르게 없어지므로 은진이라 한다. 두두러기 (과민성질환)
원인- 氣血虛로 인해 風邪가 經絡을 침범하여 발생. 가려워 긁으면 붓는다.
風濕; 淡紅色, 風熱; 鮮紅色. 風寒; 白色을 띤다.
6)백배(白㾦) -피부에 생기는 작은 물집으로 白疹이라고도 한다.
-원인; 濕熱邪氣가 피부에 울체되어 생긴다.
-순증; 정배(晶㾦)- 백배가 맑고 포만된 것이다. 疹이 모두 나온 후 열이 없어진다.
-역증; 고배(枯㾦)- 백배가 말라 들가고 熱이 내리지 않는다. 반대로 혼수상태로 된다.
*백배의 출혈은 어체된 습이 外泄될 수 있는 기회이다.
7) 옹(癰), 저(疽), 정(疔), 절(癤); 피부가 곪고 허는 外科 疾病이다.
- 옹(癰); 국소가 붉고 붓고 범위가 넓다. 밑 끝이 단단하고, 發熱과 疼痛이 있다. 濕熱火毒이 체내에 몰리고, 氣血이 어체되고, 熱이 생겨 살이 곪아 형성된다.
- 저(疽); 잘 곪지 않으나 넓게 부어 오르고, 색이 변하지 않고, 열과 통증이 없다
기혈이 허하고, 寒과 痰이 응결된다. 風毒이 熱로 되어 근육과 골에 침입 한 것.
- 정(疔)- 초기에는 쌀알 같으며 단단하고 뿌리가 깊으며 형태가 못과 비슷하다.
피부가 저리며 가렵고 통증이 심하다. 疔은 일반 종창보다 重症이다.
- 절(癤)- 화농성모낭염. 얕은 부위에서 시작되고. 작고 동그랗다. 붉게 부으나
심하게 열이 나거나 아프지 않다. 곪기 쉽고 터지면 바로 낫는다.
피부에 몰린 暑濕과 장부에 몰린 濕熱이 체표에 발산되고. 氣血이 瘀滯되어 생긴다.
6.소아지문(小兒指紋)
수태음폐경의 낙맥이 지나는 집게 손가락 안쪽을 살펴 병의 상태를 본다.
3살 이하 어린이의 진단에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1) 삼관(三關)부위
풍관(風關)- 손바닥 첫째마디 가로금에서 둘째마디 가로금 사이.... 輕症.
기관(氣關)- 둘째마디 가로금에서 셋째마디 가로금 사이...重症
명관(命關)- 셋째마디 가로금에서 손끝까지의 사이...危急
2) 형색
담홍색(淡紅色)- 정상적인 색, 연한 색-輕症, 虛證, 진한색-重症. 實證.
자홍색(紫紅色)- 내열(內熱). 선홍색(鮮紅色)- 외감표증(外感表證),
청색(靑色)- 풍과 각종 통증. 자흑색(紫黑色)- 혈맥의 어체와 위급한 증후.
7.배출물(排出物);형태, 색, 성질, 양의 변화로 장부의 병리변화와 사기의 성질을 알 수 있다.
1)담연체타(痰涎涕唾)
-痰(담; 가래); 폐와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점액, 탁하고 끈끈한 것. (飮- 맑고 묽은 것)
-涎液(연; 침); 구강에서 나오는 맑고 묽은 점액.
-唾液 (타액); “ 거품이 섞인 끈끈한 점액.
-涕(체; 콧물); 비강(鼻腔)에서 분비되는 점액
(1)가래
熱痰; 熱이 津液을 졸여 가래가 누렇고 끈끈하며 뭉쳐 지는 것.
寒痰; 寒濕이 몰려 痰이 된 것. 가래가 희고 맑고 묽다.
風痰; 가래가 많고 묽고 포말이 많다.
濕痰; 가래가 희고 미끌미끌하고 뱉기 쉽다.
燥痰; 가래가 적고 뱉기 어렵고 끈끈하다
콧물- 맑은 콧물- 外感風寒. -탁한 콧물이 멎지 않는다- 鼻淵(축농증)
(2) 침; 涎液과 唾液
증 상 |
이 유 |
맑은 침 |
脾胃 虛寒 |
끈끈한 침 |
脾胃 濕熱 |
입에서 맑은 침이 흐른다. 잘 때 더 심 해진다 |
脾氣虛. 어린이가 침을 계속 흘린다면 胃熱이나 기생충이 있는 것을 의심할 수 있다. |
타액이 많다 |
腎寒證. 腎虛證 |
2)嘔吐; 胃氣上逆
-寒性嘔吐; 구토물에 냄새가 나지 않고 맑고 묽다. 脾胃 陽氣쇠약 또는 寒邪가 胃침범. -熱性嘔吐; 구토물이 탁하고, 역하고 시큼한 것. 胃熱 또는 肝火 울결로 胃熱 상승.
-食滯; 소화되지 않은 음식을 토하고 냄새가 시큼하다. 폭식으로 脾胃기능 손상.
-吐血; 胃에 積熱, 肝火가 胃를 침범. 瘀血.
8. 舌診
1) 설진의 임상의의
(1)正氣의 盛衰를 판단 한다
-舌質이 붉고 윤기 있는 것.-氣血이 왕성한 것, 淡白色--- 氣血이 허손된 것.
-舌苔가 엷고 희며 윤기 있다.--- 胃氣 왕성한 것.
-舌苔가 없으면 胃氣가 손상 되었거나 胃陰이 고갈된 것이다.
(2)병의 깊고 얕음을 안다
-舌苔가 얇으면 병의 초기, 침범된 부위가 얕고, 두꺼우면 깊게 침범한 것.
-舌質이 붉고 진하면 熱이 營血을 침범--- 병이 危重한 것이다.
(3)병사의 성질을 구별 한다.
-舌苔가 黃色이면 熱邪이고, 白色이면 寒邪이다.
-舌苔가 끈끈하고 많으면 食滯와 痰濁이며, 누렇고 두꺼우며 끈끈하면 濕熱이다.
-혀가 비뚤어지면 風邪이고, 혀에 斑點이 생기면 瘀血이다.
(4)병의 변화를 예측 한다.
-舌苔가 얇고 흰색에서 두텁고 황색으로 변화되면 병사가 체표에서 체내로,
輕한 것에서 重한 것으로, 寒에서 熱로 변화된 것이다.
-舌苔가 濕하다가 건조해지면 熱이 점점 왕성해지고 津液이 소모된 것이다.
-舌苔가 두텁다가 얇아지고 건조하다가 濕해지면 병이 약해지고, 津液이 다시 생성되는 것.
2)혀와 장부의 관계 및 설진의 원리; 혀는 경락을 통해 장부와 연결 된다.
- 수소음심경의 別絡은 혀와 연결되고, - 족태음비경은 혀 밑 부분을 순행하며
- 족소음신경은 혀의 주위를 돌며, - 족궐음간경도 혀로 연결된다.
-장부의 정기가 혀를 영양하므로 장부의 병리변화가 혀에 나타난다.
-心의 병은 혀에 나타나고 心氣는 혀와 통한다. 舌象은 心의 기능 상태를 반영한다.
-心은 모든 장부와 기혈을 주관하므로 장부기혈의 병리변화는 心을 통해 혀에 나타난다.
-脾는 입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고 혀는 입안에서 맛을 맡고 있다.
혀는 脾胃의 運化상태와 전신의 氣血津液의 성쇠를 반영한다.
(3) 혀에서 장부의 분포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눈다)
-胃의 경맥으로 나누면 혀끝은 上脘이고 혀 가운데는 中脘 혀뿌리는 下脘이다.
-오장으로 나누면 혀끝(舌尖)은 心과 肺에 속하고, 혀의 양옆(舌邊)은 肝과 膽에 속하고,
혀 가운데(舌中)는 脾와 胃에 속하고, 혀뿌리(舌根)는 腎에 속한다.
3) 설진의 방법과 주의사항
(1) 광선; 자연 광선이 풍부한 곳.
(2)자세; 앉은 자세로 입을 크게 벌리고 혀를 자연스럽게 내밀어 충분히 관찰.
(3) 순서; 혀끝에서 시작하여 혀뿌리 순서로 관찰
-먼저 舌苔의 유무, 두께, 색깔, 습윤 정도를 관찰한다.
-이어서 舌體의 색, 반점, 두께, 부드러운 정도 및 활동상태를 관찰한다.
(4) 음식; 음식도 설색에 영향을 미치니 참고할 것.
(5) 계절과 시간
1)무더운 여름에는 설태가 두텁거나 담황색을 띠고, 2)건조한 가을에는 설태가 얇고 건조.
3)추운 겨울에는 혀가 습윤 하다. 4)아침에는 설태가 두텁고 낮에는 식사로 얇다.
- 보통 아침에 혀의 색은 선명하지 못하나 활동 뒤에는 점차 붉어지고 윤기가 난다.
(6) 연령과 체질
1)노인은 氣血이 허약하여 혀가 흔히 갈라지거나 위축된다.
2)어린이는 혀에 병이 잘생기며 흰 막 같은 것이 덮이거나, 舌苔가 여기저기 벗겨지기도 한다.
3) 비만자는 혀가 좀 크거나 색이 연하고,
4)야윈 사람은 혀가 좀 작거나 붉은 편이다.
5)舌苔가 쉽게 긁어지나, 그리고 再生상태를 파악한다.
4) 설진의 내용
(1)설질의 망진
-舌神; 설질의 습윤 정도와 활동도를 판단하는 것.
-윤기 있고 잘 움직이며 생기가 있고, 광택이 있으면 舌神이 있는 것으로 無病.
① 淡白色- 虛症. 寒症. 氣血陽虛
-陽氣不足으로 血液을 생성부족, 血液을 運行하는 힘이 쇠약,
血液공급 부족으로 舌色이 연하게 된다.
-淡白色에 습윤하고 舌體가 유연하면 陽虛寒症. -淡白色이며 야위면 氣血兩虛.
② 紅色- 熱證
-熱이 있으면 血은 순행이 빨라지고, 熱이 盛하면 혀의 血脈이 充血 되어 鮮紅色.
-鮮紅色 혀에 혓바늘이 돋고 舌苔가 黃色이면 實熱症이고,
-鮮紅色 혀에 舌苔가 적거나 없고 혀가 갈라지면 虛熱症이다.
③ 深紅色- 外感病 또는 內傷病
-혀가 深紅色 또는 붉은 점이 생기고 혓바늘이 돋으면 熱이 營血을 침범한 溫病이다.
-內傷病에서 혀가 深紅色이고 舌苔가 적거나 없고 갈라지면 陰虛에 火가 심한 것이고,
-深紅色 혀에 舌苔가 적지만 윤기가 있으면 瘀血이 있다.
④ 紫色- 寒, 熱, 瘀血
-深紅色에 紫色을 띠고 마르고 津液이 적으면 熱로 津液이 소모되고 氣血이 瘀滯된 것.
-淡紫色 또는 靑紫色에 습윤하면 寒이 응결되고 瘀血이 있다.
⑤靑色- 寒의 응결로 陽이 어체되는 것. 瘀血
-陰寒의 邪氣가 왕성하여 陽氣와 血液이 瘀滯된 것이다.
-혀 전체가 靑色이면 寒邪가 肝과 腎을 침범하고 陽이 어체되어 宣發되지 못한 것..
-혀의 가장자리가 靑色이거나 또는 목마르나 물을 마시기 싫어하면 체내에 瘀血이 있다.
舌形 (舌의 형상)
强度 -혀가 거칠고 굳은 것; 實證, 熱證. -연하고 부드러운 것; 虛症, 寒證.
크기; 살찌고 부은 것은 水濕과 痰飮으로 색깔의 변화에 따라 구별을 요함.
갈라짐; 陰液不足을 의미 함.
-혀가 갈라지고 淡紅色이나 淡白色이고 부드러우면 血虛.
-혀가 갈라지고 深紅色에 설태가 적고 건조하면 熱로 陰液이 손상된 것.
치아자국이 나타나면 虛症 (脾虛)
혓바늘; 熱
-열이 營血을 침범하거나 장부의 열이 성하면 혓바늘이 붉게 돋는다.
-혀의 양쪽에 혓바늘이 돋으면 肝과 膽에 熱이 있고
-혀 가운데 혓바늘이 돋으면 胃火가 왕성하고
-혀끝에 혓바늘이 돋으면 心火가 왕성 한 것이다.
설태(舌態); 혀의 動態
-혀가 위축된 것.; 오랜병으로 氣血虛, 熱이 津液을 손상, 陰液이 극도로 허손 된 것.
-外感 熱性病에서는 열이 심포락을 침범하여 진액을 손상시켜 혀가 붉고 뻣뻣하다.
-內傷에서는 중풍, 간질, 파상풍으로 혀가 굳어 말이 잘 나오지 않는다.
-혀가 비뚤어지는 것은 風症.
(2)舌苔의 망진
舌苔의 色
① 白苔- 表證, 寒證, 濕證
-風寒表證이면 邪氣가 아직 체내에 침범하지 않았으므로 정상적인 얇은 白苔로 나타난다.
-혀의 색이 연하고 舌苔가 白色이며 습윤하면 裏寒症 또는 寒濕症이다.
-積粉苔; 白苔가 熱症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는데 白色의 분말을 씌워놓은 것과 같고
건조하지 않으면 邪氣의 침입으로 熱毒이 체내에 강성해져 발생.
② 黃苔- 裏證, 熱證
-黃色 舌苔는 색이 진할수록 열사의 침입이 심한 것.
-外感病에서 白色에서 黃色으로 변하면 邪氣가 체표에서 체내로 침범하여 熱로 변한 것.
-舌苔가 얇고 淡黃色이면 風熱 表證이고
-暗黃色이고 혀가 갈라지고 혓바늘이 돋으면 熱邪가 심한 것이다.
-舌苔가 두텁고 深黃色이고 마르면 熱이 津液을 손상시킨 것이고
-舌苔가 두텁고 深黃色이나 끈끈하면 濕熱이 어체된 것이다.
③灰色苔- 裏證
-灰色苔에 혀가 건조한 것은 熱이 심해 津液이 손상되었거나, 陰虛로 火가 심한 것.
-灰色苔에 혀가 습윤한 것은 寒濕瘀滯, 또는 痰飮停滯 한 것.
④黑色苔- 裏證
-裏證에서 熱이 극도로 심하거나 혹은 寒이 왕성한 것을 의미한다.
-黑色苔에 혀가 건조해서 갈라지고 혓바늘이 돋는 것은 熱이 심해 津液이 마르는 것, -黑色苔에 濕潤한 것은 寒이 성해 陽이 쇠퇴한 것이다.
⑤매장태(霉醬苔)- (된장 곰팡이)紅色, 黑色, 黃色이 겸한 것
濕熱이 어체된 것으로 食滯를 겸한 中暑나 內熱이 오래 어체된 증상에서 나타난다.
태질(苔質); 舌苔의 形態와 性質.
1) 厚薄; 병사의 침범한 부위 및 병증의 輕重을 구별
-薄苔; 舌苔 얇은 것은 胃氣에 정상적인 舌苔이고, 病邪가 침범 하였어도
正氣가 손상 받지 않았고 邪氣가 심하지 않은 것이다.
-厚苔; 두꺼운 것은 병증이 重한 것으로 胃氣가 습탁한 邪氣와 겹친 것으로
邪氣가 심하거나 체내에 痰飮, 濕濁, 食滯 등이 있는 것이다.
②윤조(潤燥)- 津液의 정도를 구별
-조태(燥苔)- 外感熱性病- 熱이 津液을 손상. 內傷病- 陰液이 손상, 陽虛로 津液생성불리.
-윤태(潤苔)- 윤택한 것. 위기 충만- 津液이 손상 받지 않음.
-활태(滑苔)- 침이 너무 많이 흘러나오는 것- 寒濕.
③부니(腐膩)- 胃의 濕濁을 설명 함.
-부태(腐苔)- 설태가 두텁고, 과립이 크고, 두부찌꺼기와 비슷, 닦아진다. - 食滯, 痰濁.
-이태(膩苔)- 설태가 세밀하고, 잘 닦여지지 않고, 끈끈한 점액이 위에 있다.
원인- 濕濁. 痰飮. 食滯. 濕熱--濕이 정체
④박락(剝落)- 사기와 정기의 소장(消長) 설명
-화박태(花剝苔)- 설태가 불규칙적으로 벗겨진 것.- 胃氣와 陰이 손상.
-경면설(鏡面舌)-설태가 전부 벗겨져 반들반들한 것- 胃陰고갈, 胃氣損傷.
⑤胃氣有無
-有根苔,(眞苔)- 舌苔가 긁어서 떨어지지 않는다. 원인- 實證, 熱證, 胃氣 왕성
-無根苔.(假苔)- 설태가 푸석하며 긁으면 떨어진다. 원인- 虛證. 寒證. 胃氣 쇠약
5)舌質과 舌苔의 종합적 진찰
舌質과 舌苔는 그 자체를 관찰해야 할 뿐 아니라 상호 결합하여 분석해야 한다. (四診合參)
6)병증과 설상의 변화
(1)병이 輕한 것에서 重하게 변화되면 舌象도 이에 따라 변화한다.
舌質- 熱邪가 輕한 것에서 重한 것으로; 홍색(紅色)→ 심홍색(深紅色)→ 자색(紫色)
氣血의 虛弱- 담홍색(淡紅色)→ 담백색(淡白色)
舌苔- 병사가 체표에서 체내로 침입 熱邪가 심해짐; 白色→ 황색(黃色)→회흑색(灰黑色)
(2)질병이 호전되면 설상도 점차 정상적으로 변화한다.
(3)설태가 갑자기 없어지거나 증가된다.
갑작스런 증가와 소멸은 병증의 급격한 변화를 뜻한다.
薄苔가 갑자기 두꺼워지는 것- 病邪가 체내를 갑자기 침범한 것.
厚苔가 갑자기 쇠퇴되는 것- 胃氣가 쇠약해 지는 것.
종 류 |
진 퇴(眞 退) |
가 퇴(假 退) |
차이점 |
설태가 변화된 후에 천천히 없어진다 |
설태가 갑자기 없어진다 |
증 상 의 미 |
두터운 설태가 엷게 되고, 조밀한 것이 드물게 된다. 혀의 根部로부터 혀끝으로 점차 드물고 엷게 . 그 후에 엷은 박태 생성. - 사기가 쇠태하고 위기가 회복되는 것. |
새로운 태가 생기지 못한다. 혓바닥이 거울과 같이 맨들맨들하다. 위가 허쇠되면 박락이 생긴다. -위기와 위음이 쇠갈 된것. |
상 태 |
원 인 |
설태는 없다 |
열병에 의한 음액 손상 |
혓바닥이 깔깔하고 혓바늘이 돋는다. 마르고 갈라짐 |
진액 고갈 |
혓바닥이 갈깔하게 위축되어 있다. 윤기가 없다 |
열이 극도로 올라 진액이 고갈된 것 |
혀가 돼지 간 또는 마른 곶감 색이다 |
기혈 쇠약 |
혀가 위축되고 음낭이 위축된다 |
간기 쇠갈 |
혀의 색이 암홍색에 흑색이다 |
신기 쇠갈 |
혀에 눈꽃처럼 흰 것이 일어난다 |
비양 쇠갈 |
-病이 위중하게 되면 陰陽. 氣血. 精津이 고갈되고 舌質과 舌苔도 변화한다.
'침구학 > 침구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구 진단법 (0) | 2011.11.20 |
---|---|
주요혈의 부위별 분류, 주요혈의 경락별 분류 (0) | 2011.11.20 |
문진(聞診), 문진(問診) (0) | 2011.11.20 |
절진(切診) (0) | 2011.11.20 |
팔강 변증 (0) | 2011.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