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질환/7. 사 시/8. 색 맹 안과질환 7. 사 시 개 요 두눈으로 어떤 물체를 주시할 때에 한쪽 눈의 시선은 정확히 갈 수 있으나 다른 눈의 시선은 정확히 주시할 수 없는 상태를 사시라 한다.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안쪽, 바깥쪽, 위쪽, 아래쪽의 구별이 있다. 그 원인은 많으나 안근의 일부 혹은 완전 마비성 사시와 백일해,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안과질환 /5. 안정피로/6. 노 안 안과질환 5. 안정피로 개 요 오랜시간 TV를 본다거나 독서를 장시간 사용할 때 일어나는 여러 종류의 증세군을 말한다. 원인은 문화의 발달로 말미암아 모든 정보를 눈을 통해 제공받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더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비단 과다한 눈의 사용뿐만 아니라 복잡한 인간관계와 심리적 갈등,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안과질환/3. 근 시/4. 난 시 안과질환 3. 근 시 개 요 무한대의 먼 거리에서 오는 평행광선이 수정체에 굴절되어 망막보다 앞서 상을 맺는 경우를 말한다. 눈을 과로하게 사용하였을 때, 독서나 TV시청시의 나쁜 자세와 부적당한 거리, 부적당한 조명 아래서 눈을 사용하는 등이 근시에 미치는 중요한 원인들이며, 부모가 근시일 경..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장 안과질환/1. 다래끼(맥립종)/2. 원 시 장 안과질환 1. 다래끼(맥립종) 개 요 눈꺼풀에 있는 검판선, 피지선 등의 급성 화농성 염증을 말한다. 원 인 세균 감염에 의한 것으로 눈썹 뿌리에 있는 피지선에 포도상 구균이 침범하여 나타나고 세균이 잘 침입하고 번식할 수 있는 요인으로써 눈 주위의 불결, 당뇨병 등을 들 수 있다. 증 상 초기에..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이비인후과질환/13. 편도 비대증/14. 인두염 이비인후과질환 13. 편도 비대증 개 요 아이들의 편도는 2~3세 때부터 차츰 커져 5~6세 무렵에 가장 크고 12~13세부터 차츰 작아져서 어른이 되면 거의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아이들의 편도가 어른이 되어서도 아이들처럼 커다랗게 남아있는 것은 정상이 아닌 것이다. 원 인 유전성의 체질에 의..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이비인후과질환/11. 후두염/12. 편도선염 이비인후과질환 11. 후두염 개 요 상기도에 염증이 있을 때 부분증세로 생기며 급성과 만성으로 나눈다. 원 인 급성 : 바이러스, 인풀루인자, 폐렴균, 연쇄상구균등에 의해서 감염되거나 뜨거운 공기, 자극성 있는 가스, 먼지 등의 흡입, 술, 담배의 과용, 과도한 발성 등으로 발생하게 된다. 만성 : 급성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이비인후과질환/9. 부비강염(축농증)/10. 비출혈 이비인후과질환 9. 부비강염(축농증) 개 요 부비강염은 상악동염, 전두동염, 사골동염, 설상골동염 등이 있으며 이 중에 1개동 혹은 2~3개동이 같이 침해 당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중에 상악동염이 가장 많다. 특히 우리나라 청소년들을 많이 괴롭힌다. 원 인 급성 : 감기로 인해 비강내 염증이 여러번 되..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이비인후과질환/7. 급만성 비염/8. 비염 알레르기 이비인후과질환 7. 급만성 비염 개 요 감기가 들었을 때 갑자기 오는수가 많고, 비강 내점막의 염증으로 종창, 발적, 동통등을 가져오는 질환을 말한다. 원 인 감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연쇄상구균, 인풀루인자, 비루스등에 의해 환절기에 따라 유행성으로 온다. 직업적 비염이라 하는 공장의 먼지,..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이비인후과질환/5. 난 청/6. 메니엘 증세군 이비인후과질환 5. 난 청 개 요 대부분의 경우 언제부터인지 잘 모르겠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 청력과 이명이 조금씩 악화되어 난청이 일어난 것이다. 원 인 청각 기관의 발육부진이나 기형에 의해 일어나며 귓병에 의해 일어나기도 하고 그 밖에 장티푸스, 골수염, 결핵, 매독에 의해 일어나기도 하고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이비인후과질환/3. 내이염/4. 이 명 이비인후과질환 3. 내이염 개 요 중이염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고 그밖에 뇌막염에서 오는 경우와 혈관을 통해서 매독, 장티푸스, 유행성 이하선염, 폐염, 골수염, 백일해에서 오는 경우가 있다. 증 상 난청, 이명이 있고 또 신체균형장애, 특발성안진, 현기증, 오심, 구토 등이 일어난다. 이통은 대개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