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배경
1)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역사
진보주의 시대인 20세기에 이르러 여성의 인권이나 평등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교육 분야에서도 새로운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에 1916년 뉴욕시에서 루시 스프라그 미첼 여사가 교육 실험국을 설립하였다.
연구진이 유아의 학습방법이나 유아의 성장 발달을 증진시키는 상호작용 패턴에 관한 여러 연구를 하였으며, 1917년부터는 연구의 목적으로 실험학교가 정식으로 설립되었다.
1930년까지는 교사를 위한 협력학교가 조직되었으며, 1943년부터 뱅크 스트리트와 뉴욕 교육시 교육위원회의 협력하에 아동발달 지식과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발달적 상호작용 접근법)
1950년부터 뱅크 스트리트 사범대학으로 변경되었으며 1956년에 존슨 유아원이 Bank street school로 통합되었다.(유아원에서 8학년까지 이르는 아동을 위한 실험학교로서 운영)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보상교육의 영향으로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에서도 유아의 인지능력과 언어능력에 새로운 강조를 두게 되었고 자아증진 방법에 관한 새로운 개념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2) 이론적 배경
Bank street 프로그램은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철학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는 가장 현대적 의미의 아동중심, 아동발달을 강조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운영하는 과정에서 심리학, 그 중에서도 프로이드의 정신 역동적 이론의 직접적 영향을 받았다. 1950,60년대에 정서가 학습과 발달에 끼친 영향을 강조하는 교육자들의 영향을 받아 뱅크 스트리트에서도 인지발달보다 정서발달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교육과정에서는 자기 선택 활동과 흥미영역 중심의 자기 주도적 활동을 강조하였다.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은 다음의 세 가지 접근에 이론적인 근거를 두고 있다.
첫째, 프로이드와 프로이드 학파의 역동적 심리학에 기초하며 특히 자율적 자아형성과정의 발달에 관심을 둔 에릭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둘째, 피아제와 같이 인지발달에 주된 관심을 가진 형태심리학자나 발달심리학자의 이론에 기초하였다. 최근에는 비고스키의 이론이 교수학습의 발달적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적용되고 있다.
셋째, 듀이, 존슨, 아이작, 미첼과 같은 교육이론가와 교육실천가의 교육적 접근방법에 기초한다.
2.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
▪깨어 있는 오감각으로 세상에 참여하며 갖게 되는 삶에 대한 열정
▪세상을 흥미 있는 실험실로 바꾸고 학습자로서 유지하는 살아있는 지적 호기심
▪변화에 대한 융통성과 더 이상 현재에 맞지 않는 것에 대해 포기할 줄 아는 아량
▪새로운 욕구와 문제 그리고 새로운 생각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용기
▪다른 사람에 대한 정의롭고 관용적인 판단
▪다른 사람의 삶의 표준에 대한 민감성
▪학교 안과 밖에서 민주주의의 개념을 실현시키는 삶을 위한 노력
일반적으로 발달의 방향은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그리고 좀 더 통합된 형태로 나아간다.
3.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1) 교육목적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은 정서적 안정감과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것, 아동의 창의성과 안전감을 최대화시키는 것 외에 인지적 숙달과 관련된 기쁨이나 자존감 그리고 아동의 호기심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은 아동의 정서적 안녕이나 심리적 성장에 필요한 필수조건인 유능감을 향상시켜 주는 데 목적이 있다.
2) 교육목표
① 학교는 유아가 신체. 운동적 영역, 사회. 정서적 영역 및 지정영역에서 잠재능력을 발휘하도록 도와줌으로써 그의 능력이 가능한 최고 점수에 이르도록 한다.
② 학교는 유아의 가치관, 정서순화능력, 독립적 정체감 확립 등에 기여하도록 여러 가지 형태로 개성과 개별적 학습방식을 육성한다.
③ 학교는 유아가 사회적 기능화의 요건에 적응하도록 안내해 준다.
④ 학교는 유아의 창의적인 표현과 발명을 격려해 준다.
⑤ 학교는 위의 목적들을 더욱 진전시킬 수 있도록 자신감, 능력, 동기, 대인관계의 방식과 모델 등을 자극함으로써 유아의 학교생활 자생력을 극대화 시킨다.
3)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환경 구성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환경은 유아들에게 운동적, 지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작업장으로 조직된다. 교실에는 다양한 흥미영역을 두고 각 영역에는 여러 가지 교구를 배치한다. 이때 배치되는 교구는 아래의 범주에 의해 선정한다.
① 실험적이고 탐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
②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표현할 수 있는 것
③ 개인적으로 의미 있고 목적 있는 표현을 할 수 있는 것
④ 지각적 구별이나 조작적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
⇒조직적이고 표현력을 장려하는 환경 속에서 유아들은 자신을 바르게 인지하고 조정, 통제할 수 있게 되며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과 학습하는 방법을 아동 스스로 배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교사의 역할
교사는 아동의 개인적 관심사와 경험을 객관적이고 질서 있는 영역의 세계와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발달에 대한 지식을 가져야 하고 각 아동의 개별성을 이해하며, 교과과정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한다.
5) 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다양한 가족구조에 대해 이야기하고 학교와 가까운 이웃을 방문해서 아동들의 세상을 넓혀준다. 지역사회의 관심과 나의 가족에 대한 공유를 통해 사회적 배려가 생기기 시작한다.
6) 평가
요지: 아동들이 어떻게 학습하고 성장하는지 알게 해 주고 교과과정 결정에 중요한 지침을 제공한다.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에서는 학습자가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바탕을 두고 단순한 검사 결과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폭넓은 의미의 평가를 한다.
☞ 평가방법
정책적인 차원에서 평가 틀의 질을 가늠한다.
교실환경에서 평가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아동의 행동이나 활동을 엄격하고 체계적이며 반영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한다.
4.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사례
1) 아동학교의 역사
아동학교는 뱅크 스트리트 대학원에 있는 발달적 상호작용 접근방법의 학습과 교수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기관이다.
아동학교에서의 교육은 경험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통합적이며 협동적이고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지적으로 유능한 전인아동을 교육시키는 것을 강조하며 동시에 학습자, 교사, 또래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아동의 통합성을 강조하고 격려한다.
2) 아동학교의 철학
아동학교에서 표방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원칙 중의 하나는 아동이 학교에서 배우며, 또한 평생 동안 배울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그들의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그들의 경험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 경험적 교육 : 이야기하기, 그리기, 쌓기, 움직이기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반영되고 재구조화되는 교육적 경험들이 세심하게 계획되고 이루어진다.
(2) 구조주의 : 아동은 스스로의 관찰, 실험, 경험, 탐색을 통하여 발견하며 이해한다.
(3) 학습의 주도자 : 아동들에게 스스로 의미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시간을 주어 주제를 더욱 완전하고 심도 있게 다루도록 발전시키고 구성한다.
3) 교과내용 및 활동
(1) 현장학습
현장학습은 초기부터 여유아의 학습을 깊이 있게 하기위해
직접경험의 중요성을 알게 하기위해
개념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그리고 적극적인 탐색활동을 북돋아 주기위해 이용된다.
(2) 사회 교육과목에 대한 강조
사회는 사람과 환경간의 관계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과 지역에 대해 공부하는 것으로 학교는 기본적으로 영유아가 민주적인 생활을 경험하는 기회를 끊임없이 제공해야 한다. 또한 사회교육을 통해 사회적, 물리적 환경에 대한 질문과 문제해결 그리고 상호작용에 대한 다양한 기회가 제공되고 이를 통해 영유아는 자신과 세상에 대한 이해를 넓혀 가게 된다.
(3) 언어의 역할 강조
말하기와 쓰기 모두 즐겁고 유용한 수단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책과 그림이 광범위하게 제공되고 읽기는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학습되며 영유아는 언어의 발달과 사고의 발달을 상호 연결된 것으로 이해한다.
(4) 과학과 수학에 대한 접근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에서는 과학과 수학을 사고하는 방법과 문제해결 방법으로 접근한다. 수학은 실생활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구체적인 접근을 한다. 수학은 실생활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구체적인 자료 및 교구와 상호작용하면서 수학적 경험에 대해 스스로 유능하다고 느끼게 한다.
(5) 통합된 교과과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에서는 영유아는 스스로 의미를 창출하는 존재로 여기며 통합된 교과 과정을 통해 경험과 아이디어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강조한다.
사회 교과목 프로그램은 통합된 교육을 이룰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과목이다.
또한 영유아는 독자성을 인정받는 동시에 집단의 구성원이 되는 자율적인 사고자다. 집단과의 만남을 통해 적극적인 경청자로 가르쳐 집단의 구성원 각자를 존중하도록 해서 집단의 소속감을 굳건히 한다.
5.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미국의 대표적인 영유아 보육. 교육 프로그램의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우리나라에 적용된다면 유능하고 능력 있는 아동, 스스로 발견해 가는 즐거움을 아는 아동, 또래 및 환경과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아동으로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이기숙(2000) 유아교육과정. 서울 : 교문사
'사 회 복 지 > 사회복지 과제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해 정리하시오 (0) | 2009.05.11 |
---|---|
[EBS다큐프라임]'아이의 사생활' (0) | 2009.05.06 |
포테이지 프로그램 (0) | 2009.04.23 |
발도르프 프로그램 (0) | 2009.04.23 |
정신건강론-딥스 독후감 (0) | 2009.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