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인 |
요통은 요추부의 골격 및 부속 연부조직의 병적 상태에 기인함이 대부분이나 이밖에 다른 장기의 병적 상태 (골다공증, 신장기능이상, 척추암, 신장결석, 위하수, 장하수, 척추염, 자궁종양, 척추변형) 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도 있으며, 한방에서는 그 원인을 10종류로 분류 설명한다.
① 신허요통 : 과다한 육체노동과 성욕과다로 일어나는 요통으로써 항상 은은한 통증이 지속되고 거동이 어려운 경우로 대개 만성 요통이 여기 속한다. ② 담음요통 : 담음이 경락에 따라다녀 등, 허리가 아프며 상하에 동통이 유주하는 특징이 있다. ③ 식적요통 : 술에 많이 취한 후 포식하고 성행위를 하면 습열이 신의 허한 틈을 타서 침입해 요통이 나타나 허리를 굽히지도 펴지도 못하게 된다. ④ 좌섬요통 : 무거운 것을 들다가 또는 몹시 힘들여 어떤 동작을 하던 중 허리를 삐어 요통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⑤ 어혈요통 : 타박상 혹은 추락상으로 인한 것. 낮보다 밤에 통증이 더 심하고 환부를 만지면 더욱 통증이 심하게 나타난다. ⑥ 풍요통 : 풍사가 신장에 침입해 요통을 일으키면 동통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일정 부위 없이 떠돌아다니며 심한 경우 양쪽 발뒤꿈치까지 당겨 심한 경련이 일어나기도 한다. ⑦ 한요통 : 한기가 신장에 침입해 요통을 일으키면 일어날 수도 돌아누울 수도 없을 만큼 동통이지만, 따뜻히 하면 통증이 경감되고 다시 차게 되면 통증이 심하게 된다. ⑧ 습요통 : 습한 곳에 오래 거처하거나 우로의 습기가 신장에 침입하면 요통이 일어나는데 마치 허리에 돌을 얹은 것 같이 무겁고 얼음을 댄 듯이 차고 아프다. ⑨ 습열요통 : 평소 기름진 음식을 늘 먹고 지내는 사람의 요통은 거의 습열로 인한 음허증이며, 항상 흐린날이나 오래 앉아 있으면 요통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⑩ 기요통 : 정신적 근심과 걱정으로 기가 울체되어 요통이 일어나면 오래 서 있거나 멀리 걸어가면 요통이 더욱 심해진다.
|
치 료 |
급성기에는 안정과 보온이 가장 중요하고 갑자기 무거운 것을 허리힘으로 들어올리거나,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은 금물이다. 무거운 짐을 들 때는 허리를 낮추고 들며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일도 피해야 한다. 또한 침대나 두꺼운 요는 너무 푹신하지 않은 것이 좋다. 평소부터 주의를 하면 발병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자주 목욕을 해 근육을 풀어주는 것도 통증을 가라앉히는 방법이다.
상용혈 : 양계, 신수, 위중, 환조, 족삼리, 풍시, 신맥, 태릉 비용혈 : 관원, 양보, 삼초수, 수구, 승산, 곤륜, 상료, 차료 허요통 : 명문, 관원, 기해, 태계, 지실 풍한습요통 : 요수, 양릉천, 곤륜, 관원 풍습요통 : 비수, 음릉천, 풍문, 풍부 좌섬요통 : 지구, 양릉천, 척택, 기해, 승산, 곤륜 어혈요통 : 연곡, 대추 한요통 : 음릉천, 복류, 지실
|
식이요법 |
요통에 좋은 음식은 연, 부추, 참마, 쑥, 개다래 등이다. 연 : 요통에는 연잎을 사용한다. 연잎은 건조한 것을 사용하며 비만증이나 더위먹은 데, 건위약으로서도 유명하다. 연잎 건조한 것 10~15g을 400cc의 물로 절반되게 달인다. 이것을 1일 3회, 식전에 마신다. 부추 : 부추는 마늘과 나란히 2대 강정식품이다. 혈액의 순환을 좋게 하고 요통에 효과가 있다. 부추 60g을 적량의 물로 달인 즙에 술 60ml을 가해 마신다. 참마 : 참마 적량을 강판으로 갈아서 프라이팬에 참기름으로 구워서 먹는다. 꿀을 얹어 먹으면 더욱 좋다. 쑥 : 외용. 쑥잎 건조된 것 40g과 접골목 줄기 40g을 헝겊 자루에 넣어 탕에 넣은 다음 욕탕에 들어간다. 개다래의 과실을 달여서 마신다. 개다래의 덩굴이나 잎을 탕에 넣고 입욕하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