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근골격계 질환/3. 표 저 (생인손)/4. 염 좌

미션(cmc) 2011. 9. 10. 20:59

근골격계 질환

 

         

3. 표  저 (생인손)

개 요


표저란 화농성 염증을 말하며, 이렇다할 상처도 없는데 손가락 등에 동통이 생겨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쑤시며 화농하게 된다. 표저는 대체로 손에 상처를 내기 쉬운 직업인에게 많이 생긴다.
표저의 종류에는 가볍게 낫는 피부표저로부터 피하표저, 손톱 둘레에 나는 손톱표저(생인손), 손가락의 건에 생기는 건표저, 뼈표저, 관절표저 등이 있다. 표저중 손톱표저가 가장 많으므로 흔히 표저를 생인손이라 하기도 함.
 

원 인


손가락 또는 발가락에 작은 상처가 있거나 오염된 물건으로 찔리거나 할 때 그 곳에
감염이 되어 표저가 됨. 손이 트거나 갈라진 곳, 특히 손을 많이 쓰는 이에게 잘 발생함. 또는 둔도로 손가락, 발가락을 째서 손톱, 발톱 밑에 혈종이 생긴 곳에 화농하여 생기는 수가 있음.
 

증 세


초기 증상은 국소가
붓고 때로는 손가락, 발가락이 몽둥이처럼 딱딱하게 굳어지며 발적, 발열감이 있다. 욱신욱신 표현할 수 없는 동통을 수반하므로 불면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심한 경우 건이나 뼈까지 상하게 되면 팔, 발 전체가 부으면서 열이 오르고 겨드랑이 임파선이 부어 아플 때도 있다. 뼈까지 상한 표저는 농을 빼내는 방법으로는 치료가 안되며 상한 뼈를 잘라내야 하므로 상당히 위험한 경우도 있다.
 

치 료


상처가 크거나 깊으면 두꺼운 거즈 등으로 지혈을 시킨 후 의사의 치료를 받고, 상처가 가벼우면 소독약을 발라 잡균의 감염을 예방한다.

상용혈 : 풍문, 전중, 열결, 대릉, 지구,
         
위중, 경골, 신주
비용혈 : 합곡, 곡지, 족삼리, 위중,
         
견정, 임읍소해, 통리, 생간
 

이 침

족 침

  

 

4. 염  좌

개 요


염좌란 관절을 삔다는 말인데, 즉 관절사이의 인대가 외적인 타격을 받아 이완이나 수축되는 증상으로써 환처부위에 통증이나 부종을 수반하게 된다. 그러므로 관절이 있는 부위에는 어느 곳이든 염좌가 있을 수 있다.
 

종류와
치료


1)경항부 염좌
갑자기 머리나 목을 움직일 때 생기는 경우가 많다.
   ①
대추, 도도, 천주, 풍지, 견정
   ②
중저, 후계

2)수관절 염좌
외적 자극에 의해 갑자기 운동했던가 심히 팔을 잡았다던가 혹은 관절이 운동할 수 있는 범위이외로 운동했을 때 발생한다.

가) 액관절 : 손목 부위가 제일 많다.
 ㄱ)전측 염좌 : 압통 부위는 양지혈
   ① 법 : 천정,
양지
   ② 법 :
외관, 중저
   ③ 법 :
후계, 양계, 척택, 조구
 ㄴ)내측 염좌 : 압통 부위는
대릉
   ① 법 :
척택, 곡택
   ② 법 :
내관
 ㄷ)외측 염좌 : 압통 부위는 양계혈
   ① 법 :
곡지, 수삼리
   ② 법 : 합곡, 삼리
   ③ 법 : 전측 염좌, 내측 염좌

나) 주관절 : 전측 염좌, 내측 염좌
 ㄱ) 안으로 구부러지는데 갑자기 앞으로
     구부리게 된 경우
   ① 법 : 곡택, 척택
   ② 법 : 곡택, 척택
   ③ 법 : 내관
   ④ 법 : 중저, 후계, 양계, 척택,
 ㄴ)내측 염좌 : 손을 꺾었을 때 생김.
   ① 법 : 곡지
   ② 법 : 수삼리
   ③ 법 : 중저, 후계, 양계, 척택, 조구

다) 견갑관절 : 갑자기 물건을 든다든지
               멀리 던질 때 생긴다.
   ① 법 : 견우, 견료
   ② 법 : 곡지, 천장
   ③ 법 : 곡지, 후계, 견우
   ④ 법 :
중저, 후계, 양계, 척택, 조구

라) 지관절 : 손가락 부위도 많은데
             치료가 잘 안된다.
   ① 법 : 압통처를 찾아서 치료
   ② 법 : 염좌가 있는 경락의 정혈을 취함.
   ③ 법 : 염좌가 있는 경락의 유혈 : 원혈

3)족관절 염좌
대퇴관절, 슬관절, 족배관절에 많다.
가)대퇴관절 : 타박상에 의해 많이 발생함.
   ① 법 : 합혈로
양릉천, 음릉천
   ② 법 : 환조,
풍시, 현종
   ③ 법 : 반대측의
천종, 현종

나)슬관절
: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ㄱ)내측 염좌
   ① 법은 가급적 금함
   ② 법은 가급적 금함
   ③ 법 : 반대측의 천종, 현종,
음릉천, 혈해
 ㄴ)외측 염좌
   ①,② 법은 가급적 금함
   ③ 법 :
족삼리, 조구, 양릉천, 현종,

다) 족배 관절 : 발목에 생기는 것으로 제일 많다.
 ㄱ)내측 염좌 :
상구, 조해혈에 압통이 많다.
   ① 법 : 상구, 조해, 퇴계, 삼음교, 음릉천,
음곡
   ② 법 : 삼음교
 ㄴ)외측 염좌 : 구허, 신맥, 곤륜에 압통이 있다.
   ① 법 :
구허, 임읍, 현종, 신맥, 곤륜, 음릉천
   ② 법 :
현종, 조구, 곤륜
 

이 침

족 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