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소아과질환 /11. 소아의 간질/12.이 질

미션(cmc) 2011. 9. 10. 21:54

소아과질환

  11. 소아의 간질

개 요


간질 이외의 다른 병으로 경련을 일으키는 수가 많으므로 잘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즉 폐렴, 감기, 소화불량 등으로 고열이 있을 경우 경련이 일어 나며, 신경질적인 소아는 몹시 흥분하든지 울 때에는 경련이 일어나는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 간질의 발작과 흡사하므로 구별하기가 곤란하다. 소아의 경풍은 어린이가 경련을 일으키면서 깜짝 깜짝 놀라는 병이다. 소아의 간질은 진성 간질인 태경과 증후성인 경풍으로 나눈다. 태경은 임신부가 놀라거나 분노하거나 풍사에 상하여 생긴 것으로 태어나면서부터 발작 증세를 보인다. 즉 증후성 간질은 경풍이 여러번 일어나서 얻은 악병이다. 가장 위급한 병중에 하나가 바로 경풍이다.
소아놀라서 얻은 경사심장에 들어가면 얼굴빨개지며 깜짝 깜짝 놀래며, 간장에 들어가면 얼굴푸르고 눈을 흘겨보고, 신장에 들어가면 얼굴빛이 검어지고 고함을 지르고 이빨을 갈며, 폐장에 들어가면 얼굴빛이 창백하고 기침을 하며 숨이 가빠지고 비장에 들어가면 얼굴빛누렇게 되며 구토하고 먹지 못한다. 증세악화되어 열성 오간이 되고 이것이 골수에 사묻혀 냉성 오간이 되어 15세 이후에 나타난다.  즉 놀라서 얻은 경사을 만들고 흉격간에 머물면 소발작을 일으키고 흉격간을 넘어서면 대발작을 일으키는 것이다.소아의 경풍을 크게 급경풍, 만경풍, 만비풍으로 분류한다.
 [종류]
1)급경풍

큰 소리를 듣고
크게 놀라서 졸지에 얻은 양증으로 발작은 갑자기 큰소리를 지르며 의식을 잃고 땅에 엎어져서 전신경련이 일어나고 입에서 거품을 흘리는 발작 증세를 멈추고 깊은 잠을 자고 나면 평상시와 같다. 이것은 급격한 장열을 받아서 일어난 양증이다.
2)만경풍

큰 병앓으면서 설사와 구토를 많이한 후나 선천적으로 허약체질이거나 열성병이나 급경풍등의 병으로 한랭한 약을 많이 먹어서 하고 해져서 발생한다. 눈을 반쯤 감고 자는 것 같으며 자지는 않고 열손가락을 벌리거나 오무리며 허열로 한열왕래하는 음증이다.
3)만비풍

만경풍 후의 구토와 설사로 인하여 비장손상하여 병이 위급해지면 허한 곳으로 돌아가는 허열을 비장이 홀로 받는다 하여 만비풍이라 한다. 을 다스리면 풍이 없어지고 을 다스리면 경이 없어지는데 비장 속에 응체되어 있어서 허열왕래하므로 비장위중하게 된 것이다. 얼굴이 푸르고 이마에 땀이 나며 혀가 짧고 머리가 낮으며 눈을 감고 자면서 머리를 흔들고 혀를 내밀며 자꾸 구토하고 입을 꼭 다물고 팔, 다리에 약간 경련을 일으키며, 몸이 한열이 왕래하므로 사지하고 깊고 약하다.
치료법놀란 증세진정시키며 마음편히 하고 물리치고 담제거한다. 경련이 일어나면 상하의 치아 사이에 나무 조각 등을 끼워주며 깨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치 료


급경풍 : 인당, 백회, 수구, 승장, 십선혈
비용혈 :
곡지, 대추, 중완, 찬죽, 위중
수족경련 : 태충, 행간, 구금불개, 협거, 하관
만경풍 : 중완, 족삼리, 곡지, 양릉천, 태충,
         
비유, 위유, 신유
설사 : 천추, 건리
혼수 : 대릉, 신문
소아만경풍 : 척택
만비풍 : 비수, 인중, 대추, 이문,
         
열결, 대돈, 백회, 상성
 

이 침

족 침

영양요법


보조 식품은
조청죽염을 쓰고 매실엑기스를 적절히 보급해 준다. 배설제로는 상쾌효소어성초효소를 먹고, 씨앗기름, 맥주 효모, 클로렐라 같은 보조식품을 먹으면 회복이 빠르다.
 

식이요법


파초의 줄기에서 나오는 즙을 마신다. 작약이나 백작약에 감초를 넣어 끓여 마신다. 발작을 시작할 때 웅담을 물에 개어 콧구멍에 주입한다.
 

 

 

12.이  질

개 요


이 섞여 나오면서 대변을 보는 횟수잦은 것을 말하는데 원인에 따라 세균성 이질과 아메바성 이질이 있다.
 

원 인


음식물에 의해 전염되며 또 감염된 사람의 대변을 통해서도 전염된다. 세균성 이질의 잠복기는 1~7일이지만 4일 이내인 수가 많으며 전염 기간은 급성증세가 있는 동안과 그 이후의 수주일 동안인 것과 1~2년간 지속되는 것이 있다. 아메바성 이질의 원인은 아메바라는 기생충이며, 아메바시스트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오염된 물건을 통하여 전염되며 파리는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잠복기간은 보통  3~4주일이나 수개월 후에 발병 하는 수도 있다.
 

증 상


급성인 경우 설사 횟수가 잦아지면서 콧물같이 끈끈한 점액이 섞인 곱똥, 피가 섞인 혈변이 나오며 이 나고 복통이 있게 된다. 하루에 열번 정도, 심하면 수십회씩이나 변을 본다. 대체로 하루에 6~10회 정도 화장실을 가며 아랫배가 살살 아프고, 때로는 전신증세가 있다. 때로는 설사와 변비가 교대로 나타나며 복부에 불쾌감이 있다. 만성이 되면 혈액과 점액성의 대변이외에 고름이 섞여 나오기도 한다.
 

치 료


상용혈 : 거허상렴, 천추, 족삼리,
        
비유, 수분, 신궐
비용혈 : 지사, 곡지, 내관
 

이 침

족 침

식이요법


완두, 꿀물, 대엽쑥갓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