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이비인후과질환/3. 내이염/4. 이 명

미션(cmc) 2011. 9. 10. 21:57

이비인후과질환

 

3. 내이염

개 요


중이염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고 그밖에 뇌막염에서 오는 경우와 혈관을 통해서 매독, 장티푸스, 유행성 이하선염, 폐염, 골수염, 백일해에서 오는 경우가 있다.
 

증 상


난청, 이명이 있고 또 신체균형장애, 특발성안진, 현기증, 오심구토 등이 일어난다. 이통대개 없으나 때때로 볼 수 있으며, 발열은 내이염으로는 오지 않으며 열이 있으면 이것은 다른 곳에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치 료


화농이나 염증을 촉진시키는 식품을 먹지 않도록 한다.

상용혈 : 청궁, 후계, 청회, 신유,
         
중저, 이문, 예풍, 합곡
비용혈 : 소부, 소해, 천창, 족삼리,
         
곤륜, 완골, 대공골, 소상
뇌막염 후유증 : 백회, 아문, 풍지, 신유, 간유,
                
태충, 내관, 신문, 용천
 

이 침

족 침

  

 

4. 이  명

개 요


귀울림은 아픔이나 열처럼 어떤 질병의 병명이 아니라 증상 이지만 귀에 질병이 생겼을 때는 아주 중요한 증상의 하나이다.
 

원 인


중이염, 직업성 난청, 메니엘 증후군 등의 경우에 나타난다. 또는 동맥경화나 빈혈, 심장병, 부인의 갱년기 장애가 있을 때는 때때로 현기증과 함께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증 상


외계에서 나는 어떤 소리가 공기속을 지나서 귀에 들어와 들리는 것과 다르다. 바람소리, 물소리, 금속성 소리등 대체적으로 낮은 소리와 높은 소리로 나눌 수 있다. 귀울림은 끊임없이 나는 때와 간혹 나는 때가 있는가 하면 갑자기 시작됐다가 잠시후에 사라지는 것이 있는데 지속시간은 약 10초 간이다. 이렇듯이 귀울림의 증세는 여러 가지이다. 이것은 때로 왼쪽 귀에서 나는 것 같기도 한데 어느쪽 귀에서 나는지 전혀 분간하지 못하는 경우와 어느쪽 귀에서 울림이 있는지 아는 경우가 있다.
 

치 료


상용혈 : 풍지, 예풍, 이문, 중저,
         
간유, 청궁, 천용
비용혈 : 행간, 풍륭, 태계, 신유,
         
객주인, 소상, 상양, 중충
 

이 침

족 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