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소아과질환/9..뇌막염/10.구내염

미션(cmc) 2011. 9. 10. 21:53

소아과질환

 9..뇌막염

개 요


염증성 병변이 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뇌막에 생긴 질환을 말한다.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곰팡이 등의 감염이며 임상적으로 흔히
세균성, 결핵성, 바이러스성의 세가지로 구분한다.
 

후유증


뇌막염을 심하게 앓은 환자일수록
후유증이 남기 쉬우며 일반적으로 세균성 뇌막결핵성 뇌막염에 비해 후유증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능기억력저하되고 반신불수가  될 수도 있으며 난청, 시력장애, 수두증이나 간질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결핵성 뇌막염은 보통 부작용후유증이 심각하여, 지능저하, 실어증, 시신경장애, 난청, 팔.다리의 마비등의 후유증이 생긴다.
 

이 침

 

족 침

 

 

 10.구내염

개 요


젖먹이 아기에 한정되어서만 있는 것이 아니고 어른에게도  걸리는 병이다.
카다르성 구내염: 입안의 점막이 빨갛게 부어서 아픈데, 구강 내를 불결하게 하면 흔히 염증을 일으키며 온 몸쇠약하거나 위장 장애로 인해 구내염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입안악취를 풍기는 것은 위장 장애
와 깊은 관계가 있다.
구각괴은 입술 양쪽 끝이 하얗게 부은 것처럼 된다. 그러므로 입을 크게 벌리면 심하게 통증을 느끼게 되며 괴양을 일으킨 곳이 갈라져서 피가 나오기도 한다. 원인에 관해서는 비타  민 B가 결핍해서 또는 일종의 화농균에 의한 것이라고도 하지만 결정적인 것은 알 수 없다. 
아프타성 구내염: 제일 악성
이고 감기나 홍역이 원인이 되는 것도 있으며 위장 장애로부터 오는 수가 있다. 입술의 안쪽과 혓바닥, 입천장, 잇몸등에 콩알 크기 정도의 둥글고 노란 빛을 띤 반점이 생겨서 그것이 물집이 되어커진다. 끈기있게  양치질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치 료


연곡, 신궐, 천추, 소장유, 비유
 

이 침

족침

영양요법


실러드채(버터헤드)는 영양면에서 양상추보다 우수하여 비타민A가 3배, C가 1.3배, 철분이 4배나 많이 들어 있고 최유 효과가 있어 구내염에 좋다.
 

식이요법


폴리페놀이 함유된
녹차로 입가심을 한다. 식후에 프로폴리스로 입가심을 한다. 도두(작두콩), 바실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