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학/침구치료학

소아과질환/7. 야경증/8. 경 기

미션(cmc) 2011. 9. 10. 21:52

소아과질환

 

 7. 야경증

개 요


일명 야제증이라고도 한다. 특히 3~7세 사이의 신경증적인 어린이에게 많은데, 주간에 몹시 흥분하였거나 자기 전에 무서운 이야기를 들었다가 혹은 심한 꾸지람을 들었거나 자기 전에 과식을 한 경우, 혹은 만성비염이 있거나 소변이 충만한 경우에도 일어 난다. 그러나 대체로 불편한 상황에 의한 신경성에 의한 것으로 알고 있다. 특히 야제증은 어린이가 야간에 간헐적으로 울고 심하면 밤중 내 울고 낮에는 평상시와 같다.
 

증 세


밤중에 갑자기 깨어나 울기 시작하면 좀처럼 그치지 않는다. 어떤 일에 놀란 듯 느닷없이 일어나 불안해 하며 겁을 먹고 몹시 울어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한다. 특히 주의할 것은 안색이 좋지 않고 원기가 없는 때와 배가  팽창 되어 있고 열이 있으며 오른쪽 배 아래를 누르면 통증이  있다든가 그 부분이 열기가 있는 경우와 3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우유, 젖등을 먹이면 토하는 경우 등이다.
 

치 료


상용혈 : 은백, 합곡, 신주, 수구, 풍부,
         
풍지, 곡택, 대추, 용천
열이 있는 경우 : 소상, 이간, 합곡, 소택, 후계
놀라며 우는 경우 : 신문, 간사, 후계
 

이 침

족 침

 

 

8. 경  기

개 요


경기란 어린아이의 경련을 통틀어 일컫는 것으로
경풍이라고 한다. 열성 경련은 대개 생후 6개월부터 6세 사이소아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특징은 전신적경련을 일으키고 경련기간이 수분 이내로  짧으며 출생부터 6개월 사이경련출생시 뇌손상으로  인한 간질의심하고 생후 6개월부터 2세까지는 고열을 수반하는 경우의 경련이 있으면 뇌막염을 의심하여야 한다. 
 

원 인


인두염, 기관지염, 이질, 유행성 수막염, 유행성 뇌염, 간질, 일사병 등이 있으며 신생아의 경련은 파상풍, 패혈증, 수두증  등에 의하고 분노경련은 유아가 분노, 고통, 욕구 등의 정신 감동에 의해 몹시 울게 되면 경련이 있게 된다. 이밖에 신염, 중증 황달, 뇌종양, 열사병 등에 의해 나타난다.
 

증 세


열성 경련의 경우 의식을 잃고 눈동자에 맥이 풀리고 혀를 깨물기도 하는 등 의식장애가 나타난다. 신생아의 경련은 이를 악물고 손을 꽉 쥐어 온 몸을 떨거나 얼굴과 입술이 파랗게 되고 맥은 고르지 못하여 호흡도 고르지 못한 상태로 된다.
분노경련은 숨을 내뿜은 채로 들이 마시는 숨이 끊어지고 몸을 뻗고 눈을 치켜 뜨며 입술이 새파래지고 의식을 잃게 된다. 항상 울음 끝
에 나타나며 대개 수초, 또는 길어야 수십초이고 성장함에 따라서 저절로 낫게 된다. 원인이 되는 병의 판단이 중요한 근거가 되는 것이므로 증세를 잘 관찰할 필요가 있다. 첫째, 의식이 차차 없어지고 그후에 경련이 일어났나 둘째, 의식은 있는데 갑자기 경기를 일으켰나 셋째, 열은 있었나 없었나 넷째, 경련이 가라앉은 후에도 정상적 의식이 아닌 상태인가 또는 그 즉시 의식을 회복하는가 등을 관찰하도록 한다.
 

치 료


완골, 백회, 금문, 협차, 하관, 태충, 행간
 

이 침

족 침

식이요법


경기가 주기적으로 올 경우에는
범의 귀풀을 즙 내어 먹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