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질환/ 5. 한포성 백선(무좀)/6. 여드름 피부과질환 5. 한포성 백선(무좀) 개 요 백선균이라는 일종의 곰팡이에 감염되어 일어나는 것으로 사시사철 볼 수 있으나 여름철에 심해진다. 원 인 피부가 곰팡이에 대해 저항력이 약해져 있거나 상처가 있을 때 감염되기 쉬운 것으로 주로 발가락 사이나 발바닥, 또는 손바닥 등에 발생한다. 신체중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피부과질환/3. 백전풍: 백선/4. 피부 소양증 피부과질환 3. 백전풍: 백선 개 요 얼굴 뿐만 아니라 몸전체에 어느 곳이나 생기고 그 부분은 지도처럼 특별히 희고 그 부분의 주위 피부색은 심술궂게 흑갈색을 띄고 있어 뚜렷이 돋보이게 된다. 원 인 영양결핍이나 신경의 장애로 인하여 발병되는데 장티푸스, 성홍열 등의 급성 전염병, 신경병, 정신..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피부과질환/1. 습 진/2. 두드러기: 담마진 피부과질환 1. 습 진 개 요 전체 피부병의 30~50%를 차지하고 있는 습진은 머리, 얼굴, 목, 손, 발등 피부 전체에 걸쳐 다양하게 발생한다. 습진이 많이 나타나는 연령층은 5세까지의 소아가 제일 많고 다음은 20~25세까지 많다가 점차 줄어들다 60세후에 다시 약간 증가되고 계절적으로는 봄에 많고 직업,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안과질환/15. 녹내장/16. 백내장/17. 결막염 안과질환 15. 녹내장 개 요 각막주변과 홍체 근부사이에 있는 틈이 막혀서 방수가 안구 위로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이 상태가 되기 전에는 어느 기간 동안은 다소 그 징후가 나타나므로 주의하면 갑자기 안압이 상승한 상태로 발작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급성, 만성, 선..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안과질환/ 13. 안검연염/14. 전기성 안염 안과질환 13. 안검연염 개 요 진무른 눈을 말하며 한방에서는 난현풍이라 한다. 이것은 포도상 구균, 누낭염, 비염, 습기차고 건조한 추운 냉기의 자극, 만성 결막염, 트라코마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즉 화농균에 의해서 감염되어 발병하지만 특히 허약자나 편식을 하는 소아에게 많다. 증 상 눈꺼..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안과질환/11. 누낭염/12. 수포성 결막염 안과질환 안과질환 11. 누낭염 개 요 눈 가장자리에 있는 눈물이 흘러 나오는 곳인데 이곳에 화농균이 침투하거나 매독균, 결핵균 등이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특히 트라코마나 비염에 걸리면 이 병을 일으키는 유인이 되기 쉽다. 증 상 누낭에 염증이 있으면 눈물이 쉴 사이 없이 흐르..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안과질환/9. 야맹증/10. 만성 축성 시신경염 안과질환 9. 야맹증 개 요 어두워지면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질병이다. 선천적인 체질을 이어 받은 사람이 걸리는 경우와 영양 실조에서 오는 경우가 있다. 증 상 몸이 아픈 곳은 없으나 낮에도 어두운 곳에 있는 물건이 보이지 않고 저녁때나 새벽녘의 어둑어둑한 때에도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각막의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안과질환/7. 사 시/8. 색 맹 안과질환 7. 사 시 개 요 두눈으로 어떤 물체를 주시할 때에 한쪽 눈의 시선은 정확히 갈 수 있으나 다른 눈의 시선은 정확히 주시할 수 없는 상태를 사시라 한다.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안쪽, 바깥쪽, 위쪽, 아래쪽의 구별이 있다. 그 원인은 많으나 안근의 일부 혹은 완전 마비성 사시와 백일해,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안과질환 /5. 안정피로/6. 노 안 안과질환 5. 안정피로 개 요 오랜시간 TV를 본다거나 독서를 장시간 사용할 때 일어나는 여러 종류의 증세군을 말한다. 원인은 문화의 발달로 말미암아 모든 정보를 눈을 통해 제공받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더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비단 과다한 눈의 사용뿐만 아니라 복잡한 인간관계와 심리적 갈등,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
안과질환/3. 근 시/4. 난 시 안과질환 3. 근 시 개 요 무한대의 먼 거리에서 오는 평행광선이 수정체에 굴절되어 망막보다 앞서 상을 맺는 경우를 말한다. 눈을 과로하게 사용하였을 때, 독서나 TV시청시의 나쁜 자세와 부적당한 거리, 부적당한 조명 아래서 눈을 사용하는 등이 근시에 미치는 중요한 원인들이며, 부모가 근시일 경..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