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질환/7. 야경증/8. 경 기 소아과질환 7. 야경증 개 요 일명 야제증이라고도 한다. 특히 3~7세 사이의 신경증적인 어린이에게 많은데, 주간에 몹시 흥분하였거나 자기 전에 무서운 이야기를 들었다가 혹은 심한 꾸지람을 들었거나 자기 전에 과식을 한 경우, 혹은 만성비염이 있거나 소변이 충만한 경우에도 일어 난다. 그러나 대..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소아과질환 / 5. 뇌성마비/6. 척수성 소아마비 소아과질환 5. 뇌성마비 개 요 뇌의 발달과정에서 뇌의 손상과 병변으로 더 이상 진행되지도 회복되지도 않는 중추성 운동장애 및 지능장애를 말한다. 특징으로 지능 저하인데 IQ가 50~75이면 경증이고 35~50이면 중증, 35이하이면 아주 심한 정신박약이다. 이밖에 언어장애, 시력장애 등이 있다. 원 인 유..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소아과질환/ 3. 기관지 천식/4. 유아의 소화불량증 소아과질환 3. 기관지 천식 개 요 목에서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나며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질환 이다. 원 인 근본적으로 개체의 소질에 의한 자율신경실조에 따르는 기관지 경련이며, 선천적으로 체질을 타고 나오는 것이며 유전으로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알레르기로 오는 경우에는 흡입성, 음식믈..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소아과질환 /1. 유행성 이하선염/2.백일해 소아과질환 1. 유행성 이하선염 개 요 바이러스에의하여 전파하는 것으로 발병초기에 전염력이 강하고 바이러스가 들어가는 곳은 구강, 코 등이고 한번 앓으면 평생면역이 된다. 증 세 잠복기는 17~21일이고, 가벼운 열이 나지만 때로는 39~40℃의 고열이 나는 어린이도 있다. 이하선이 붓는데 한쪽이 먼..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내분비질환 /5. 당뇨병/6. 빈혈증 내분비질환 5. 당뇨병 개 요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결핍되어 체내의 물질 대사장애를 일으켜 포도당이 많이 들어 있는 소변을 계속 배설하는 질환이다. 원 인 유전소질, 비만체질, 내분비 장애, 정신적 장애 등이 원인이 되어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 분비 부족을 초래하여 체내의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내분비질환 /3. 통 풍/4. 비만증 내분비질환 3. 통 풍 개 요 인체내에서 생산된 요산이 다량으로 혈액 속에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혈액 내에 상승된 요산이 관절액, 신장조직, 요도 및 관절 조직에 침착하여 급성 관절염, 결절, 신장염, 요로 결석 등의 임상 증세를 일으킨다. 원 인 육류를 많이 섭취해서 요산이 다량으로 만들어..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내분비질환 /1. 바세도우씨병(갑상선 기능 항진증)/2. 갑상선 기능 저하증 내분비질환 1. 바세도우씨병(갑상선 기능 항진증) 개 요 비교적 자주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특히 여자에게 많으며 20~30세 가량 되는 사람에게 많다. 원 인 갑상선의 기능이 항진되어 갑상선 홀몬이 많이 분비될 때 일어나고 전염병을 앓은 후에 발생할 때도 있고 체질적으로 흥분성의 사람과 불안정한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산부인과질환 /13. 입 덧/14. 불감증 산부인과질환 13. 입 덧 개 요 임신이 되어 빠르면 2주 정도 지나면서부터 오심, 경미한 구토 증세를 보이는데 대개 6~8주경부터 자연히 나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원 인 내분비의 기능 변화, 정신적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증 상 오심, 구토, 식욕부진, 두통, 구토물, 황달증세, 정신노곤 등이 나타나고, 그 ..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산부인과질환/11. 냉 증/12. 대하증 산부인과질환 11. 냉 증 개 요 손, 발, 허리를 차게 하면 월경 불순, 자궁 내막염, 신장염, 방광염, 요통, 관절염 등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된다. 원 인 미세한 신경섬유의 변화로 혈액순환이 활발하지 못한데서 온다고 한다. 한방에서는 혈액의 부족 즉 빈혈에서 오는 것, 반대로 혈액이 울혈되어 순환 장..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
산부인과질환 /9. 불임증/10. 습관성 유산 산부인과질환 9. 불임증 개 요 결혼 후 3~4년이 경과 하여도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하며 한번도 임신하여 보지 못한 경우를 선천성 불임이라 하고 한번 임신하였으나 그 후 임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후천성불임이라 한다. 원 인 남자의 경우에는 정력부족, 임포텐스 조루증, 중병 등에 의한 정자 결.. 침구학/침구치료학 2011.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