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 초대교회의 탄생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사역과 더불어 시작 되었고 오순절 성령강림으로 예수님의 제자들과 성도들이 예수님의 증인된 삶을 살기 시작하면서 예루살렘 초대교회가 시작되었다. 교회는 예수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신자들의 모임이고 유기체이요 공동체이다.
1. 예수의 사역.
예수님의 탄생 : B.C. 4년 유대 땅 베들레헴에서,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호적 정리하라는 명령을 내림에 따라 나사렛 동네에 거주하던 요셉과 마리아 부부가 베들레헴으로 돌아오게 되어 미가 선지자의 예언대로 베들레헴에서 탄생하였다.
헤롯대제의 폭정에 의해서 애굽으로 피신하였다가 나사렛 동네로 돌아가서 유년시절과 청년시절을 보내게 되었다.
1) 공생애 첫 사역
요단강에서 세례요한에게 세례를 받은 후에 광야에서 40일 동안 금식기도하신 후에
복음을 전하기 시작하였다.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고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막 1:14-15)
회개는 하나님의 율법에 대한 불순종을 담고 있다.
율법을 하나님을 무엇보다도 사랑하고 이웃을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이다.(마 22:34-40)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시다.(롬13;8-10)
제1-4계명을 하나님을 향한 사랑으로 종적인 사랑이다.
5-10계명까지를 인간을 향한 횡적인 사랑이다. 종적인 사랑과 횡적인 사랑이 만날 때 ✝가 된다. 곧 예수님의 십자가의 사랑이다. 십계명의 완성은 바로 십자가의 사랑, 예수님의 사랑이다.
예수의 메시지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라 구약의 메시지를 세상적인 기준에서 더 깊은 영적인 수준에서 말씀하시는 것이다. 죄인들, 병자들, 버림당한 이들을 위하여 이적을 베풀며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였고, 하나님의 나라를 선포하였다.
제자선택 : 베드로라 하는 시몬, 베드로의 형제 안드레,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 야고보의 형제 요한, 빌립, 바돌로매, 도마, 세리 마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다대오(야고보의 아들 유다), 가나안인 시몬, 가룟 유다(예수를 판 자) : 이상 12명
2) 십자가 죽음과 부활
예수님의 영적인 메시지와 바리새인들의 율법의 외적인 준수 사이에 충돌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예수님은 자신의 십자가 죽음에 관해서 말씀하셨다. 산해드린 공회원의 고소에 의해서 빌라도총독의 허락 하에 골고다에서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음을 당한다. 그의 죽음은 순교자적인 죽음이 아니라 구원자로서의 죽음이다. 그를 믿는 자들에게 그의 생명을 대속물로 주셨다. 그리고 3일 후에 죽음을 이기고 다시 살아나셨다.
3) 예수 그리스도의 신비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 곧 인성과 신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구원자, 기름부음을 받은 자
예배를 받으시고(요20: 28), 성령을 받아 주시고(요 20:23), 메시아적 소망이 성취되는 것은 그리스도를 통해서이다. (요4:25-26)
2. 오순절 성령강림과 예루살렘 교회 탄생.
행1-2장
오순절 성령 강림은 하나님의 백성의 근본적 성격 변화를 가져왔다.
a. 신약의 보편적 교회는 성전과 회당에 나타나 있는 이스라엘 회중이었다.
b. 하나님의 사람들은 이제는 이스라엘의 선민의식에 사로잡힌 한 민족으로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적이고 보편적인 사람들이 되었다.
c. 설교자가 제사장을 대신하고 강단이 제단을 예수그리스도의 제사에 대한 교회의 증언이 동물의 제사의식을 대체했다.
유대종교의 수도는 예루살렘이고, 율법과 안식일과 할례가 있었지만, 초대교회는 수도가 없고 성전도, 제사장도, 제단도, 성지도 없다.
★★★ 유대인의 절기 ★★★
*** 유대인의 달력 : 니산월(3-4월), 이야르월(4-5월), 시완월(5-6월), 담무스 월(6-7월), 압월(7-8월), 엘룰월(8-9월), 리스리월(9-10월), 마르헤스완월(10-11월), 기슬래월(11-12월), 데벳월(12-1월), 스밧월(1-2월), 아달월(2-3월) ***
1. 안식(Sabbath) : 가장 오래된 이스라엘의 절기 가운데 하나로서 매주 금요일 해질 때부터 토요일 해질 때까지 지켰다. 하나님께서 6일 동안 세상을 창조하신 후 제 칠일 되는 날, 쉬면서 안식하신 날을 기념하는 날로서 어떠한 일도 하지 않고 오직 예배와 신앙학습을 위한 시간으로 살았다. === 성수주일
2. 월삭(New moon) : 매달이 시작될 때, 안식일처럼 일을 하지 않고, 번제를 드리며, 택한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기쁨을 상징하는 나팔을 불었다. == 첫 시간, 첫 소산, 첫 날을 하나님께 봉헌하는 신앙
3. 안식년(Seventh year) : 매 칠 년마다 땅을 경작하지 않고 일 년 동안 땅을 쉬게 하였다. 이 해에 종들은 자유롭게 되고, 가난한 자들은 밭과 포도원에서 그대로 자란 모든 소산을 거두어들일 수 있도록 하였다.
4. 희년(Jubilee) : 일곱 번째 안식년 즉 49년 다음 해는 희년으로 지키도록 하였다. 희년에는 종들은 자유를 얻었고, 백성들은 그들이 획득한 재산을 본래의 주인에게 되돌려 주었고, 땅은 또 다른 안식 기간을 누리게 되었다.
5. 성경적인 절기
1) 유월절(Passover) 과 무교절(Feast of Unleavened Bread) : 유월절은 니산월14일에 시작되고, 곧 이어 일주일동안 무교절로 드려졌다. 이 때는 어린양을 구워서 먹고 무교병과 쓴 나물을 먹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이다.
2) 칠칠절(Feast of Weeks) : 유월절 이후 50일이 되는 날로서 오순절이라고도 한다.
밀 추수의 첫 소산물들을 하나님께 드렸는데 초실절, 맥추절이라고도 한다.
오순절에 성령강림으로 초대교회가 막을 올리게 된다.
3) 초막절(Feast of Booths) : 티쉬리 월 15일에서 일주일동안이다. 이 절기동안에는 나뭇가지로 만든 장막이나 초막에서 거주하면서 광야생활을 기념하는 절기로 삼았다. 가을 추수와 저장을 기념하는 절기이기 때문에 수장절이라고도 하였다.
6. 관례적인 절기
1) 수전절(Feast of Dedication) : 안티오쿠스 4세에 에피파네스가 성전을 더럽힌 지 3년 째인 B.C.164년에 유다 마카비가 성전을 다시 청결케 하고 봉헌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 기슬르월 25일에 시작해서 8일동안 축제가 열렸다.
2) 부림절(Purim) : 마지막 달인 아달월 14일과 15일(2월말)에 B.C.473년경에 페르시야에 살고 있던 그들의 조상들을 살육하고자 했던 하만의 계략에서 기적적으로 구원받은 날을 기념하기 위한 절기이다.
3. 예수님의 제자. 사도들의 전도와 죽음
1. 스데반(Stephen) : 스데반은 첫 번째로 순교당한 사람이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를 죽인 배반자들과 살인자들에게 신실하게 복음을 전했으며, 이것이 그의 죽음을 야기 시켰다. 죄의 찔림으로 흥분한 유대인들의 광란적 반응은 그를 성읍 밖으로 내몰아 돌로 쳐 죽이기에 이르렀다. 스데반이 박해받았던 때는 예수님께서 죽으시고 부활하셨던 이듬해의 봄인 오순절 시기였다고 추정되며, 이 견해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사건 이후 즉시, 그리스도를 메시아로 또는 선지자로 고백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대 박해가 가해졌다. 이 사실은 누가가 사도행전에서 “그 때에 예루살렘에 있는 교회에 큰 박해가 가해졌으니, 사도들을 제외한 모든 사람이 유대와 사마리아 전 지역으로 흩어지더라.”(행 8:1)고 기록한 것을 보면 즉시 알 수 있다. 일곱 집사 중 한 명이었던 니가노르를 포함한 약 2천 명의 그리스도인들이 "스데반에 의해 일어난 박해" 기간 중에 순교 당했다.
2. 야고보(James) : 예수님의 제자 중에 가장 먼저 순교당한 순교자는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이다. 그는 요한의 형제이며, 예수님의 친척이기도 하다. (그의 어머니와 마리아는 종자매이다). 대야고보라고 불렸다고 한다. 야고보의 순교는 스데반이 죽은 후 약 10년이 채 지나지 않아 일어났다. 이는 헤롯 아그립파가 유대의 총독으로 임명되자마자 유대인들에게 환심을 얻을 목적으로 그리스도인들에 대하여 매서운 박해를 가하기 시작했을 때였다. (A.D44)
3. 빌립(Philip) : 그는 갈릴리 벳새다에서 태어났으며 최초로 "제자"로 불린 사람이다. 그는 북아시아(Upper Asia)에서 신실하게 주를 섬겼으며, 프리기아의 헤리오폴리스에서 순교당했다. 그는 채찍에 맞았으며, 감옥에 갇힌 후 A.D. 54년에 십자가에서 처형되었다.
4. 마태(Matthew) : 마태는 세리였으며, 나사렛에서 태어났다. 그는 마태복음을 기록하였고, 파티아와 에디오피아에서 사역을 하였고, 에디오피아에서 박해받았으며 A.D. 60년 나다바에서 미늘창으로 살해당하였다.
5.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James) : 마리아의 아들 야고보(막27;56, 막15;40)로서 소야고보라고 불렸다고 한다. 예수님의 제자들 중에서 기도를 가장 많이 했다고 알려진 사람이다. 시리아에서 전도하다가 예루살렘에 돌아와서 전도를 하다가 유대인들에게 돌에 맞아 죽임을 당하게 되는데, 유대인들이 돌을 들어 쳤는데도 야고보의 목숨이 쉽게 끊어지지 않자 그들은 톱을 가지고 야고보를 켜서 죽였다고 한다. 역사가 지나간 후일의 그리스도인들은 작은 야고보를 묘사할 때 그의 인생을 상징하기 위해서 톱 그림을 그려 톱에 켜서 죽임을 당했던 사람이라고 묘사를 한다.
6. 주의 동생 야고보(James) : 예수님의 형제인데 처음에는 예수님을 구주로 믿지 않았으나 예수님의 부활하신 이후에 영접하였다. 그는 예루살렘 교회의 감독으로서 야고보서를 기록하였다. 94세 때 그는 유대인들에게 구타당하고 돌로 맞아, 결국 뇌에 손상을 입고 순교했다.
7. 맛디아(Matthias) : 맛디아는 다른 대부분의 제자들보다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갸룟 유다를 대신하여 제자들의 선거로 임명되었다. 그는 예루살렘에서 돌매질을 당하여 순교했다.
8. 안드레(Andrew) : 안드레는 베드로의 형제로서 가장 먼저 예수님을 믿었고, 베드로를 전도한 사람이다. 많은 아시아 국가들에게 복음을 전파하였다. 아카이아 지방에서 붙들려서 X형의 십자가에서 처형되었는데, 땅에서 십자가의 두 끝을 수직으로 못 박혀 죽었다. X형의 십자가를 안드레의 십자가라고 불린다.
9. 마가(Mark) : 마가는 레위 족속의 유대인 부모 밑에서 태어났다. 베드로의 생질이고, 바나바와 바울이 제2차 전도여행을 떠나려고 할 때 다툼의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었는데 바나바를 따라서 전도 여행을 하면서 변화 받은 후에 든든한 바울의 동역자가 된 사람이다. 신약성경에서 처음으로 기록한 마가복음을 기록한 사람이다. 마가는 알렉산드리아 사람들에 의하여 그들의 우상인 세라피스를 기리는 웅장한 종교 의식을 할 때 순교당하였다. 그는 무자비한 처형 방법으로 몸이 찢기며 그의 생을 마감하였다.
10. 베드로(Peter) : 예루살렘 초대교회의 실질적인 지도자역할을 감당하였고, 베드로전후서를 기록하였는데 AD64년경에 네로황제에 의해서 죽음을 선고받아 십자가에서 처형당했다. 제롬은 베드로의 죽음에 관하여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베드로는 머리가 땅으로, 다리가 위를 향하는 자세로, 즉 거꾸로 십자가에 못 박혔다. 그는 이렇게 주님과 같은 자세로 죽을 만큼 자신이 고귀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하였다고 전해진다."
11. 유다(Jude) ; 야고보의 아들이고, 다대오(Thaddeus)로 불렸다. 유다는 시리아로, 아라비아로, 페르시아로 찾아다니면서 복음을 전한다. 특별히 가장 많은 활동을 한 중심지는 아르메니아이다. 그 도시에서 그는 정말 놀랍고 눈부실만한 선교 활동을 한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특별히 바돌로매라는 제자와 둘이서 동역하면서 A.D. 301년에 벌써 그 나라가 기독교화될 만큼 복음으로 가장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고 기록되고 있다. 그는 다시 해외 선교를 나갔다가, 시리아라는 곳에서 칼을 맞아 마지막 순교를 하였다고도 하며, A.D.72년 에데사(Edessa)에서 십자가형을 받았다고 한다.
12. 바돌로매(Batholomew) ; 바돌로매는 여러 나라에서 복음을 전파하였는데 인도에서 복음을 전하다가 물에 빠뜨림을 당하여 순교당했다는 이야기도 있는가하면, 그는 오랫동안 잔인하게 폭행당하였으며, 포악한 우상 숭배자들에 의하여 십자가에서 처형당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13. 도마(Thomas) ; 도마는 디두모(Didymus)라고 불리며, 파티아와 인도에서 복음을 전했고, 이곳에서 이교도 제사장들을 격노케 하였다. 그래서 그는 창으로 몸이 관통되어 죽었다.
14. 누가(Luke) ; 누가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기록자이며 복음 전파자이다. 그는 바울과 함께 많은 나라에서 선교하였으며, 그리스의 우상 숭배 제사장들에 의하여 올리브 나무에 목이 매달려 순교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15. 시몬(Simon) ; 시몬의 다른 이름은 셀롯(Zelotes;열심당원)이다.
시몬의 상징은 성경에 누운 물고기인데 시몬은 소아시아, 북아프리카, 흑해 지역과 바벨론 등지에서 복음을 전했는데 아프리카 마우리타니아(MAuritania)에서 복음을 전파했으며, 영국에서도 선교하였다. A.D. 74년에 그는 영국에서 십자가 처형을 당했다는 이야기도 있고, 페르샤에서 폭도들에게 살해당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16. 요한(John) ; "사랑받는 제자"로 알려진 요한은 세베데의 아들로서 대야고보(James the Great)의 형제이다. 에베소로부터 로마로 강제 송환 명령을 받았으며, 그곳에서 기름이 끓는 솥에 던져지는 형을 받았었다. 그러나 기적적으로 피해 달아나는데 성공했다. 그 후 도미티안(Domitian)은 그를 밧모 섬으로 추방하였고, 요한은 그 곳에서 "요한계시록"을 기록하였다. 도미티안이 후계자인 네르바가 요한을 재송환하였다. 그는 사도들 중에 유일하게 참혹한 죽음을 피한 사람으로 AD100년경에 죽었다.
17. 바나바(Barnabas) ; 바나바는 구부로(사이프러스;Cyprus) 출신이며, 유대인 자손이다. 그는 약 A.D. 73년경에 순교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디옥교회의 초대목사로 파송되어 길리기아 다소에 있는 바울을 동역자로 초빙하여 함께 동역하다가 바울과 함께 선교사로 파송되었다.
이처럼 계속되는 모든 박해와 끔찍한 처형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매일 성장하였고, 사도들과 사도직분을 수행했던 형제들의 가르침 안에 깊이 뿌리를 내렸으며, 그 위에 성도들의 피가 풍성한 자양분이 되어 주었다.
4. 사도 바울
1) 생 애
a. 출생 : 소아시아의 길리기아 평원에 위치한 다소 (Stoicism의 중심지)
b. 가정 : 순수한 베냐민 지파, 귀족이며 재산이 많았다. 로마 공화정 후기에 많은 이들에게 로마시민권을 부여할 때 시민권을 취득하고, 다소의 시민권도 갖고 있었다. 그는 사울(여호와께 간구하다)과 바울(작은자: 파울로스의 파생된 이름)이라는 이름을 동시에 갖고 있었다. 유대인 디아스포라들이 헬라문화와 유대문화를 동시에 습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c. 교육 : 전통적 유대인 가정교육을 받았고, 예루살렘에 유학하여 엄격한 가말리엘 율법사 문하에서 바리새주의를 수학하였다.
d. 회심 : 지나치게 율법에 흠이 없도록 살려고 했던 바울은 예수그리스도를 믿는 이들을 심각하게 핍박하여 스데반 집사가 순교당할 때 동참하는 인물이 된다. 다메섹으로 가던 길에 부활하신 예수님의 음성을 듣고 회심하게 된다. 곧 전도자가 되지만 주님의 제자들과 성도들의 반대에 의해 3년 동안 아라비아 광야에서 훈련받게 되고, 길리기아 다소의 집으로 돌아가서 지내게 된다.
e. 부르심을 받음 : 이방인의 교회인 안디옥교회에 초대목사로 부임한 바나바에 의해 회심한 지 10년 만에 사역자로 부르심을 받는다.
f. 순교 : 네로황제 핍박 때에 로마에서 A.D.64경에 순교당했는데 압디아스(Abdias)는 진술하기를, 네로가 바울에게 처형을 선고하기 위하여 그의 병사 네레가(Nerega)와 파테미우스(Parthemius)를 보냈다고 한다. 그 두 병사는 바울에게 오면서 사람들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바울이 자신들을 위해서 기도해 줄 것을 소원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리스도를 믿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사람들에게 곧 자신들이 그리스도를 믿고 예수님의 무덤가에서 세례 받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이 일이 있은 후에 그 병사들은 바울을 마을 밖 사형 집행 장으로 끌고 갔으며, 그곳에서 바울은 기도를 마치고 칼에 목이 베여 순교 당했다.
2) 사역
안디옥교회에서 바나바를 도와서 사역하다가 선교사로 부르심을 받고 파송된다.
a. 제 1 차 전도 여행 ;
* 출발지 ; 안디옥
* 동행자 ; 바나바
* 여행지 ; 구브로, 비시디아 안디옥 ,이고니온, 루스드라(바나바를 쓰스(제우스신), 바울을 허메신이라 하면서 제사하려 한 곳) 더베.
* 예루살렘 회의
* 동기 ; 이방인의 할례 문제
* 결정 ; 할례에 상관없이 믿음으로 구원 얻음.
b. 제 2차 전도 여행 : 유럽으로 건너가 빌립보, 데살로니가, 아덴(아테네), 고린도에서 전도
c. 제 3차 전도여행 : 마케도니야, 헬라를 돌아 에베소에서 전도
d. 로마행
* 유대인의 율법과 성전의 신성을 범하였다고 피소됨.
* 가이사랴에 3년 수감되었다가 로마에 호송 도중 파선됨=멜리데 섬 전도
* 로마에서 전도의 기회를 가짐
3) 신 학
a. 하나님의 주권 강조 == LORDSHIP
b. 믿음으로 구원 얻음을 강조 ==이신득의(以信得義)신앙
c.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증거 == onLY JESUS,
4) 성경기록
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데살로니가 전서, 데살로니가 후서, 옥중서신(빌립보서, 에베소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목회서신(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
이상 13권
'신학연수과 > 초대교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대교회 변증가 (0) | 2009.12.16 |
---|---|
초대교회의 속사도들 (0) | 2009.12.16 |
예루살렘성의 멸망과 초대교회 (0) | 2009.12.16 |
박해받은 초대교회 (0) | 2009.12.16 |
초대교회 형성의 배경 (0) | 2009.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