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더우드 이 름 : 언더우드휴대폰 : 비공개 성 별 : 남E-mail : 없음 출석교회 직 분 선교사 훈련경력 세례여부 세례교인 봉사경력 소속/구역 소속기관명 주 소 부서명 직 위 전화번호 팩 스 홈페이지 직업 관심분야 없음 입학년도 졸업년도 출신학교 및 전공 학력 비고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 1859-1916)는 미국 .. 신학연수과/신앙의 인물 2009.10.19
로버트 저메인 토마스 이 름 : 로버트 저메인 토마스휴대폰 : 비공개 성 별 : 남E-mail : 없음 출석교회 직 분 선교사 훈련경력 세례여부 세례교인 봉사경력 소속/구역 소속기관명 주 소 부서명 직 위 전화번호 팩 스 홈페이지 직업 관심분야 없음 입학년도 졸업년도 출신학교 및 전공 학력 비고 토마스는 9살 때 아버지의 새 부.. 신학연수과/신앙의 인물 2009.10.19
존 번연 이 름 : 존 번연휴대폰 : 비공개 성 별 : 남E-mail : 없음 출석교회 직 분 훈련경력 세례여부 미세례 봉사경력 소속/구역 소속기관명 주 소 부서명 직 위 전화번호 팩 스 홈페이지 직업 관심분야 없음 입학년도 졸업년도 출신학교 및 전공 경력 및 활동 비고 영국의 청교도 작가이자 설교자였던 존 번연은 .. 신학연수과/신앙의 인물 2009.10.19
허드슨 테일러 이 름 : 허드슨 테일러휴대폰 : 비공개 성 별 : 남E-mail : 없음 출석교회 직 분 선교사 훈련경력 세례여부 세례교인 봉사경력 소속/구역 소속기관명 주 소 부서명 직 위 전화번호 팩 스 홈페이지 직업 관심분야 없음 입학년도 졸업년도 출신학교 및 전공 인물 소개 허드슨 테일러(Hudson Taylor, 1832-1905)는 1832.. 신학연수과/신앙의 인물 2009.10.19
존 칼빈 이 름 : 존 칼빈휴대폰 : 비공개 성 별 : 남E-mail : 없음 아이디 : 출신지역 : 프랑스 출석교회 직 분 훈련경력 세례여부 세례교인 봉사경력 소속/구역 소속기관명 주 소 부서명 직 위 전화번호 팩 스 홈페이지 직업 관심분야 없음 입학년도 졸업년도 출신학교 및 전공 학력 비고 1523년 마르세대학 몽테규.. 신학연수과/신앙의 인물 2009.10.19
아우구스티누스 이 름 : 아우구스티누스휴대폰 : 비공개 성 별 : 남E-mail : 없음 출석교회 직 분 훈련경력 세례여부 미세례 봉사경력 소속/구역 소속기관명 주 소 부서명 직 위 전화번호 팩 스 홈페이지 직업 관심분야 없음 입학년도 졸업년도 출신학교 및 전공 경력 및 활동 비고 "순결을 주소서. 절제를 주소서. 그러나 .. 신학연수과/신앙의 인물 2009.10.19
스콜라 시대의 설교(토마스 아퀴나스) 스콜라 시대의 설교(토마스 아퀴나스) Ⅰ. 서론 1. 연구의 동기와 목적 토마스 아퀴나스는 로마 카톨릭의 위대한 신학자이며 철학자이다. 그는 1244년에 도미니크 수도회에 가입하였고, 알베르투스 마그누스(Albretus Magnus)에게 배우고, 파리에서 가르쳤다. 그는 피터 롬바드(Peter Lombard), 보테투스(Boethius), .. 신학연수과/신앙의 인물 2009.10.10
토마스 아퀴나스의 기도문 토마스 아퀴나스의 기도문 전능하시고 지극히 자비로우신 하나님, 간구하옵나니 주님 기쁘시게 하는 모든 일을 갈망하게 하시고 지혜로이 탐구하게 하시며 그것들을 모두 이루게 하소서 세상의 지위 있는 제가 주님 이름에 영광 돌리게 하시고 제게 행하도록 명령하신 것들 따라 저의 가는 길 주께 이.. 신학연수과/신앙의 인물 2009.10.10
토마스 아퀴나스 이성과 신앙 토마스 아퀴나스 이성과 신앙 이성과 신앙(信仰) 토마스는 이성과 신앙의 관계를 인간 이성에 의해 신의 존재와 본성을 증명할 수 있다고 믿었다. “신은 모든 존재를 능가하는 것이 없기에 신에게는 아무런 잠세태도 없다. 신은 모든 존재의 현실태 즉 순수 존재 또는 절대 존재 안에 지니고 있다. 신.. 신학연수과/신앙의 인물 2009.10.10
아퀴나스의 도덕론 VI. 도덕과 자연법 1. 아퀴나스의 도덕론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이 윤리를 행복의 추구에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행복은 인간의 목적(telos)과 긴밀한 관계가 있는데, 이런 목적이 충족될 때에 인간은 행복을 이룰 수 있는 것입니다. 이를 ‘자연주의적’ 도덕이라고 부를 수 있고, 아퀴나스는 .. 신학연수과/신앙의 인물 2009.10.10